여기서 아빠는 입을 열지 않고 일할 수 있다. 여기서 아빠는 공격을 당할까 두려워하지 않는다. 아빠는 동물들과 같이 살면서 땅을 경작하는 것을 좋아한다. 아빠는 자신을 보호해주는 이 야생 환경에 이제 적응했다. - P29

떠나기 전에 어머니는 냉장고 속 물건들을 보여주며 도시로 다시 가져가고 싶지 않다고 한다. 그녀는 이 집이 매우마음에 들었으며 벌써 그리워지고 있다고 말한다. 아마 불안할 때나 바쁘게 일할 때 이곳이 생각날 거라고 말한다. 깨끗한 공기, 언덕, 해질녘에 붉게 빛나는 구름. - P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리고 나는 손에 든 책을 보고야 비로소 종일 나를 사로잡은 깊은 상실감의 원인을 알 수 있었다. 우리가집을 잃어서도, 이웃을 잃어서도 아니었다. 우리가 정말 상실한 건 결국 좋은 이웃이 될 수 있고, 또 될지 몰랐던 우리 자신이었다는 뼈아픈 자각 때문이었다.  - P142

그러다 어느 순간 지수의 눈이 차분하게 빛났다. 그간 고민해온 문제의 답을 얻은 얼굴이었다. 지수는 자신이 이 집 말고또 갈 데가 있음을 깨달았다. 거기 수호가 있다는 것도. 다시는 못 볼 줄 알았는데 만날 방법이 있다는 데 작은 기쁨마저 일었다.  - P281

그러자 어디선가 방금 전 낙숫물에섞인 목소리가 다시 들려왔다. 마치 누군가 이 집에 일부러 흘리고 간 단어마냥 툭툭. 안 된다고, 그러지 말라고, 부디 살라고 얘기하는 물소리가. 지수의 두 뺨 위로 빗방울 같은 눈물이뚝뚝 흘러내렸다. - P294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5-10-09 13: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142쪽의 글을 읽으니 이런 생각이 떠오르네요. 좋은 이웃을, 좋은 친구를 찾지 말고 좋은 이웃이 되고 좋은 친구가 되어 주려고 해야 한다.

모나리자 2025-10-15 22:11   좋아요 0 | URL
맞아요. 먼저 다가가야 하겠지요. 좋은 친구도 이웃도요.
이 소설집 좋았습니다.^^
 

직장 일로영혼이 어둑해지거나 인간에게 자주 실망할 때면 혼자 이국의낯선 도시를 검색해보곤 했다. 태블릿 피시와 다정히 얼굴을맞댄 채 열대지방 햇볕 쬐듯 전자파를 쐬었다.  - P50

 실은 적는다기보다 그린다는 표현이 더 어울리는 동작이었다. 중간에 글씨를 자꾸 틀려 만족할 만한 모양이 나올 때까지 종이를 몇 차례 구겼다. 그러자 새삼 이 나라 사람들, 이걸로 수백 년간 뭔가 읽고, 쓰고, 기록했겠구나, 거기 내가 모르는 삶도 많이 담겨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 P81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5-09-30 22:0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사 볼까 어쩔까 했어요. 김애란 책을 한 권 읽었는데-제 정신머리가... 소설집이 생각이 안 납니다.ㅋㅋ-참 좋았거든요.

모나리자 2025-10-03 13:12   좋아요 1 | URL
네 그러셨군요.ㅋㅋ 저는 이 작가의 산문집 한 권 읽고 소설은 처음 읽네요. 이제라도 소설을 좀 읽으려고요.ㅎ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작가이고 평도 좋은데 읽어보니
알겠더구요.^^

페크pek0501 2025-10-09 13:30   좋아요 1 | URL
생각났어요. 달려라 아비, 라는 소설집입니다. 위의 댓글 쓸 때 아버지가 들어가는 그런 제목의 책이었는데, 라고 썼다가 지웠답니다. 지우길 잘 했죠. 아버지가 아니라 아비, 입니다.ㅋㅋ^^

모나리자 2025-10-15 22:06   좋아요 0 | URL
네, 저도 제목만 알고 있는 소설이네요. 언젠가 읽어 보려구요.^^
 

나무쟁반을 들고 다가왔다. 멀리서부터 신선한 커피 향이 오대표를 졸졸 따라오다 어느 순간 공기 중에 확 퍼졌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제로 이십여 년간 이연이 여러 인물에게자신의 몸을 빌려주며 깨달은 사실은 단순했다. 그건 ‘한사람이 다른 사람의 자리에서보는 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라는 거였다. 그리고 그로부터 오해와 갈등이, 드라마가 생겼다.

이제 이연은 착한 사람보다 성숙한 사람에게 더 끌렸다. 그리고 자신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었다.  - P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