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ㅣ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출판사 '다산책방'에서 새로운 소설 시리즈 하나를 런칭한 것 같다. 바로 '페미니즘' 소설이다. 첫 시작을 연 것은 이번에 나온 '현남 오빠에게'. 단편집이다.
이번에 '82년 김지영'으로 큰 주목을 받았던 조남주와 작년에 '쇼코의 미소'로 특히 여성들의 관심을 많이 받았던 최은영을 비롯하여 오늘날 가장 핫(hot)하다고 할 수 있는 일곱 명의 여성 작가가 쓴 단편이 여기에 들어있다. 기존에 쓴 작품을 모은 게 아니고, 먼저 작가들에게 여성주의 소설이라는 주제가 부여되고 거기에 따라 쓴 작품을 모은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읽으면서 언뜻 일곱 작가의 백일장을 구경하는 기분도 느낄 수 있었다. 아, 왜 이 소설을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생각하는지 이유를 아직 말 안했다. 그건 뒤에 있는 책날개에 '다산책방 페미니즘 소설 1'이라고 나와있기 때문이었다. 1이라는 건, 2가 있다는 뜻이니 시리즈라 여길 수밖에. 말하고 보니 별 거 아닌 단서이긴 하다만.
그러나 이 단편집은 결코 별 거 아닌 게 아니다. 미리 주어진 주제에 따라 집필된 단편집이긴 하지만 그래도 꽤나 읽을만 했다. 시작은 조남주 작가의 '현남 오빠에게'가 연다. 연인인 현남 오빠에게 청혼을 받은 여인이 1인칭 화자가 되어 왜 그 청혼을 거절하는지 밝히는 게 단편의 주된 줄거리다. '현남'이라는 이름 자체에서 느껴지듯이, 이 여인의 메시지는 그저 한 개인의 남자가 아니라 '현대 남자' 전체라고 볼 수 있다. 그 보통의 현대 남자에게 단편은 여성의 주체적인 삶을 자기 마음대로 지배하려 들지 말라고 통박한다.
오빠가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나를 돌봐줬던 게 아니라 나를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사람으로 만들었더라. 사람 하나 바보 만들어서 마음대로 휘두르니까 좋았니? 청혼해줘서 고마워, 덕분에 이제라도 깨달았거든. 강현남, 이 개자식아!(p. 38)
뒤이은 최은영의 '당신의 평화'는 유진이라는 주인공의 엄마인 정순의 며느리를 맞이하면서 생긴 울화에 관한 것인데, 이 정순이란 인물은 어떻게 보면 '현남 오빠에게'에 나왔던 여성 화자가 아무 것도 깨닫지 못하고 현남 오빠와 결혼하여 내내 살았다면 되었을 것 같은 인물이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자기 주체적인 삶을 전혀 누려보지도 못하고 그저 남성 가부장제에 매몰되어 있었던 인물. 그런 정순이 새 며느리 선영을 맞아 문득 자신의 인생에 정작 자신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고 그 울화를 하나밖에 없는 딸 유진에게 며느리에 대한 험담으로 풀려한다. 그러나 그런 엄마와 대학 때 진보 운동에 참여하면서 진보를 부르짓는 남성들마저 아무렇지 않게 여성을 차별하고 착취하는 것을 보면서 한국의 남성 가부장제에서 살아가는 여성의 삶이라는 게 어떤 것인지 진작에 깨달은 유진은 그동안 그토록 정순을 무가치하게 대했던 할머니의 모습을 엄마인 정순이 닮으려 하자 이렇게 매섭게 비판한다.
"그래서 할머니가 엄마에게 어떻게 했는데. 나쁘고 부당하게 대했다는 걸 엄마도 잘 알잖아, 왜 그걸 부정해. 지금 엄마 누구에게 화났어? 정말 선영씨야?"(p. 69)
계속되는 김이설의 '경년'는 '갱년'을 '재생 혹은 다시'라는 뜻을 더 강조하기 위하여 살짝 바꾼 것으로, 그런 갱년기에 도달한 중학생 아들을 둔 중산층 엄마의 이야기다. 소설 속 내용이 다소 충격적이라 이게 정말 현실인지, 아니면 소설적인 과장인지 모르겠다. 아무튼 어느날 주인공은 중학생인 자기 아들이 여러 여자와 문란한 성관계를 맺었다는 말을 듣는다. 충격 속에서 아들을 닥달해 보니, 아들은 아무런 죄책감도 느끼지 않고 오히려 '엄마가 하라는 공부 잘 하고 원하는 대학 가려면 나도 숨통 트일 곳이 필요하니 거기에 대해선 간섭하지 마라'고 하면서 당당하다. 남편과 상의해도, 자식만 두둔할 뿐 어울린 여학생들이 문제지 아들은 아무 문제없다고 말한다. 이 사건으로 인해 주인공은 지금 사람들에게 여자를 가르는 기준이 '골빈애'와 '되바라진 애', 두가지 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윤서 엄마의 논리대로라면 성적에 목숨 건 여자아이는 되바라진 여자애였고, 성적에 관심 없는 여자애들은 아이돌이나 따라다니면서 화장이나 하는 골빈 여자애였다. 윤서도 내 딸아이도 요즘 여자애들이라는 것을 잊은 사람 같았다.(p. 111~112)
혼란에 빠진 주인공은 이 시간이 그저 갱년기처럼 푹풍우가 지나가길 바라는 마음으로 그저 겪고 참아내기만 하면 되는 시간이 아니라 변화를 위해 뭔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네번 째인, 최정화의 '모든 것을 제자리에'는 남성에게 당한 성폭력이 트라우마로 남은 여성의 이야기다. 자기 신체의 일부분마저 그 남자의 것으로 여겨질만큼 삶 깊숙이 자리한 상처를 그녀가 주로 하는 일인 붕괴된 빌딩 촬영을 통해 암시적으로 보여준다. 다섯 번째인 손보미의 '이방인'은 근미래의 어딘가로 남성 중심 사회에서 고립을 자처하는 여인의 이야기를 느와르 적으로 그리며 여섯 번째인 구경모의 '하르피아이와 축제의 밤'은 회사 동료를 대신하여 여장 축제에 참여한 '표'가 축제가 열리는 고립된 섬에서 느닷없이 당하게 된 살육의 밤을 그린다. 알고보니 그 축제는 단순한 축제가 아니라 여성을 성추행하거나 성폭력을 행한 가해자 남성들을 모아 피해자의 모습으로 만들어 처벌하는 장소였던 것이다. 그런 짓을 하지 않았던 표는 하지만 그런 추행이나 폭행을 보면서도 그저 내 일이 아니기에 관망했던 자로 소설은 그런 자마저 가차없이 처벌함으로써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지켜만 봤던 자 역시 가해자와 다를 바 없다는 것을 은연 중 강조한다. 마지막은 김성중의 '화성의 아이'다. 제목에서 얼른 느껴지듯, SF다. 화성으로 쏘아올린 열두 마리 실험 동물 중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개가 주인공이다. 화성에 도착한 뒤, 그는 '라이카'란 개를 만나는데, 그 '라이카'란 57년에 소련에서 쏘아올린 스푸트닉 2호에 탔던 바로 그 개다. 이 두 마리의 개가 중심이 되어 인간이 완전히 사라진 세상에서 모든 인간적인 관념에서 해방된 새로운 존재의 탄생을 그려간다.
다 소개한 김에 총평하자면, 재밌게 읽었다. 마지막 단편은 좀 모호하게 여겨졌지만 그래도 장르마저 다양하여 계속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여성의 오늘과 달라져야 할 지금의 현실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이런 각성의 시간을 가져다 줄 수 있는 목소리를 더 많이 만나봤으면 좋겠다. 의욕적으로 시작된 '페미니즘 소설 시리즈'에 건투를 비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