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가 이별의 날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치매만큼 무서운 것도 또 없는 것 같다. 다른 병들은 비록 육신이 고달퍼도 자신의 영혼만은 그대로다. 내가 누구인지, 사랑하는 사람들, 그들과의 기억, 결코 놓치고 싶지 않은 추억 등은 고스란히 남아 오히려 병으로 인한 통증과 절망을 이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치매는 그 모든 것을 잃는다. 육신은 멀쩡해도 그 멀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영혼은 없는 것이다. 거울을 봐도 내가 누구인지 알 수 없고 날 아끼고 사랑하는 이의 얼굴도, 지금 나를 보는 그들의 아픔도 알 수 없다. 육신이 아픈 자들은 죽음이 임박했을 때, 자신의 삶을 돌이켜 보고 그 의미와 가치를 생각하면서 회자정리 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치매는 삶을 정리하기는 커녕 죽는 것이 뭔지도 모른 채 죽는다. 치매 걸린 이에게 허락된 것은 느닷없는 종결 뿐이다. 적어도 그의 입장에선 그렇다. 사정이 이러하니 어떻게 치매가 가장 무섭고 끔찍한 병이 아닐 수 있을까?



 당신에게 조금은 뜬금 없을 지도 모를 치매의 이야기를 한 것은 최근 이와 관련한 책을 하나 읽었기 때문이다. 소설이다. 바로 '오베라는 남자'로 우리에게도 제법 유명해진 프레드릭 배크만이 지은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이라는 책이다. 노인 전문 작가답게(지금까지 그의 소설이 네 권 나왔는데 주인공이 모두 노인이다. 그러니 이렇게 불러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이번 소설의 주인공도 할아버지인데, 이 할아버지가 그만 치매 환자인 것이다. 하지만 완전히 기억을 잃은 것은 아니다. 차츰 잃어가고 있는 것이다.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이라는 소설 제목은 사실 주인공 할아버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나 다름없다. 때문에 모든 것을 다 잃어버리기 전에 할아버지는 귀여운 손자에게 인생에 관한 소중한 교훈을 들려주려 한다. 그것을 할아버지가 된 자로서의 의무요, 손자를 향한 자신의 마지막 사랑이라 여긴다. 자신의 삶과 손자를 기억할 날이 얼마남지 않았다는 절박함까지 여기엔 가미되어 있기에 예쁜 삽화도 많고 문장은 담백하며 내용은 우리에게도 아주 이로운 교훈들로 가득하지만 그래도 그 모든 대화들이 애처롭게 다가오는 것을 어찌할 수 없다. 삶은 유한하고 인간은 시간 앞에서 속절없이 노쇠해 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이 참 아프게 다가오는 것이다. 겨우 160페이지의 적은 분량의 소설이지만 읽는 시간은 한 3배 정도 더 걸리는 듯한 느낌인데, 그것은 이야기의 어떤 한 순간, 문득 느껴버린 삶의 둔중한 울림에 다소 마음이 먹먹하여 한동안 서성이기 때문이다. 이 소설엔 그런 말들이 있다. 일단 멈춤 표지판을 본 자동차처럼 자신도 모르게 마음의 브레이크를 밟게 되는 말들이... 


 '여기는 내 머릿속이란다, 노아노아.

 그런데 하룻밤 새 또 전보다 작아졌구나' (p. 43)

 '그렇지, 노아노아야, 그렇지. 위대한 사상은 이 세상에 머무를 수 없는 법이란다.' (p. 63)

 '네 발이 땅에 닿을 때쯤 이 할애비는 우주에 있을 게다, 사랑하는 노아노아야.'

 '우리 작별하는 법을 배우러 여기 온 거예요, 할아버지?'(p. 73 ~ 74)

 '나는 계속 한 페이지가 없어진 책을 읽고 있는데 그게 항상 제일 중요한 부분이야.'(p. 85)

 '주머니에서 뭔가를 계속 찾는 기분. 처음에는 사소한 걸 잃어버리다 나중에는 큰 걸 잃어버리지. 열쇠로 시작해서 사람들로 끝나는 거야'(p. 103 ~104) 등등...


 어조가 격렬하지 않아서, 그 담담한 어조가 어떤 마음에서 비롯된 것인지 알기에 더 슬프게 다가오는 말들. 그리고 슬픔의 끝에서 나의 삶은, 나와 사람들은 어떤가를 되새겨 보게 하는 말들. 그 말들로 인해 나는 목초지에 방목된 말처럼 고개를 늘어뜨리고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일렁이는 말들의 물결 속에서.


 나와 아주 가까운 분이 지금 치매에 걸려 있다. 벌써 한 4, 5년 정도 되는 것 같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어쩔 수 없이 그 분이 많이 생각났다. 치매는 당하는 사람보다 지켜보는 사람을 더 많이 힘들게 만드는 병이다. 그토록 눈부셨던 영혼이 하루가 다르게 그 빛을 잃어가는 모습을 눈으로 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때로는 격렬한 슬픔이, 때로는 한없는 무력감이, 때로는 가없는 자책이 또 때로는 그렇게 속절없이 빛을 잃어만 가는 것에 대한 원망이 동반되는 과정이다. 소설을 읽으며 많은 날들이 생각났다. 그 날 중에 밝게 채색된 것은 하나도 없다. 그래서 소설 속 할아버지가 부러웠다. 이 할아버지처럼 완전히 모든 것을 잃기 전에 당신의 영혼과 인생에 대해서 내게 보다 많은 말을 들려주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고. 또 자책했다. 그렇게 되시기 전에 내가 먼저 당신에게 말을 걸어 더 많이 알았어야 했는데 하고.


 어쩌면 나는 거짓말을 했을 것이다. 내가 이 소설을 오래 읽은 것은 말 때문이 아니었을 지도 모른다. 실은 그동안 너무 무신경했던 나 자신에 대한 죄책감과 미안함이 계속 곱씹어져 읽는 걸음을 주저 앉게 했을 것이다. 지금 이 순간 나는 소설의 제목이 정녕 진실이라 여긴다. 우리네 삶은 정말 하루하루가 이별의 날이라는 것을 말이다. 이것을 잊고 있었다. 언제까지나 그 모습 그대로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랬기에 지금 커다란 후회가 되는 일을 해 버리고 말았다. 언제나 너무 늦게서야 깨닫는다. 그렇게 되기 전에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지금 당장 그 사랑에 걸맞는 관심을 표현하고 대화를 하는 게 좋을 것이다. 너무 뒤늦은 후회는 그 시간만큼 깊고도 짙은 아픔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