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음의 과학 - 위대한 석학 16인이 말하는 뇌, 기억, 성격, 그리고 행복의 비밀 ㅣ 베스트 오브 엣지 시리즈 1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존 브록만 엮음, 이한음 옮김 / 와이즈베리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학문간 분화가 점점 조밀해지고 그 사이의 경계 역시 두터워지면서 학문적 성과가 점점 지엽적인 것에 머무르자 거기에 대한 반성으로써 각 학문들이 쌓아왔고 그 최신의 성과에 대해서 영역을 넘나들며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학문간 소통의 창구를 보다 넓혀보고자 출범한 것이 바로 EDGE FOUNDATION 이다.
EDGE FOUNDATION 은 1996년, 편집자이자 브록만 출판사의 대표이기도 한 존 브록만에 의해 설립되었다. 리처드 도킨스와 같은 학자들에게 보다 대중적인 책을 쓰도록 만든 바도 있던 존 브록만은 그렇게 학문이 자신의 영역에만 갇혀 대중과 점점 괴리되는 것에 문제의식을 느껴 보다 각 학문들이 광장으로 나와 다른 영역의 학문들과 만나고 좀 더 대중 친화적이 될 수 있도록 이 EDGE FOUNDATION 을 만들었다. 무엇보다 이 EDGE FOUNDATION 이 유명한 것은 여기에 참여한 회원들의 면면 때문인데 이제는 별 다른 설명이 필요 없는 리처드 도킨스를 비롯, '빈 서판'의 스티븐 핑커, 서울대 도서관 대출 순위 1위라는 '총, 균, 쇠'의 저자 제레미 다이아몬드,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가운데 한 사람이며 심리학자로서 드물게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생각에 대한 생각'의 저자인 대니얼 카너먼까지 이른바 각 학문 분야에서 가장 명망있는 유수의 학자들이 여기에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영화로 치면 '초호화 배역진'이라고나 할까. 아무튼 EDGE FOUNDATION 의 홈페이지엔 지금도 각 학자들이 연구한 것들이 차곡차곡 쌓여 누구든 볼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는데 바로 그러한 집단 지성의 산물과도 같은 성과를 한 권의 책으로 만든 것이 이번에 나온 '마음의 과학'이라는 책이다.
이 '마음의 과학'은 제목 그대로 우리의 두뇌, 마음, 성격 그리고 기억 등에 관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인지과학, 진화심리학, 이론심리학, 신경과학, 신경생물학, 행동유전학등의 최신의 연구 성과를 담고 있다. 말하자면 우리의 뇌와 마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있어 최신 업데이트 판이라 할만하다는 것이다. 이것이 이 책이 가진 커다란 장점이지만 개인적으로 더 주목하게 되는 장점이 또 하나 있다. 바로 비용에 있어서의 장점이다. 일단 이 책에 실린 저자들을 한 번 훑어보자. '빈 서판', '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로 유명한 진화심리학의 거장, '스티븐 핑커'가 있다. 또 '명령하는 뇌, 착각하는 뇌'로 너무도 유명한 뇌인지과학의 거장, 라마찬드란이 있다. 거기다, 영화로 까지 만들어졌었던 '스탠퍼드 감옥 실험'을 만들었던 주인공이자 그 실험을 한 권의 책으로 만든 '루시퍼 이펙트'의 저자 필립 짐바르도도 있다. '타고난 반항아'를 읽어보신 분이라면 이 학자의 열정에 감동을 받지 않을 수 없는 거기다 몇 번째의 자녀로 태어나느냐가 사실은 우리의 성격을 형성시키는 주된 원인이기도 하다는 것을 밝혀내 놀라움을 준 학자 프랭크 설로웨이를 비롯 우리나라에도 소개된 '스트레스'의 저자이자 신경생리학의 권위자인 로버트 새풀스키에 진화심리학의 권위자, '제프리 밀러' 거기다 신경과학 최고의 권위자 중의 한 사람인 스타니슬라스 드엔, '코끼리는 생각하지마'로 우리에게도 일약 유명해진 하지만 그 보다는 인지과학에 있어 권위자이며 인지언어학의 창립자이기도 한 '도덕 정치를 말하다'와 '몸의 철학'으로도 너무도 유명한 조지 레이코프까지 있다. 이쯤되면 무슨 말을 할지 눈치채실 분도 있으실 것 같다. 즉 이 '마음의 과학'이 비용면에서 꽤나 효율적이라는 말은 바로 이렇게 유명한 학자들의 논문이 총망라되어 있으니 권당 2만원이 훌쩍 넘는 그들의 개별 저작들을 보지 않고도 얼마든지 그들의 이론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이 '마음의 과학'은 단적으로 그들의 개별 저작들에서 살펴온 논의들의 액기스만 모아놓은 것과도 같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다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그들의 최신 견해들을 훑어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최상의 경제적 효율성을 가진다. 하지만 책이 어찌 그 효율만 가지고 평가될 수 있으랴. 정작 중요한 것은 물론 내용이다. 이 책은 모두 16인의 최고 권위자들의 글이 모여있지만 각각의 단편 하나가 일련의 흐름으로 이어지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편, 한 편이 모두 각자 나름의 연구 성과인데도 그것이 너무도 자연스럽게 물흐르듯이 이어져 새삼 과학책의 편집자로 잔뼈가 굵은 존 브록만의 편집 솜씨가 얼마나 뛰어난지 느끼게 한다. 그렇게 우리의 마음이 본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절묘하게 가공된 장치'이며 그것도 자연선택이 작용한 진화의 산물임을 말하며 언어야 말로 그러한 인류의 생물학적 진화에서 진정한 혁신이었다는 것으로 스티븐 핑커가 그 포문을 열면 그 바통을 받아 라마찬드란이 기원전 4만년 전에 갑자기 출현한 언어의 발명을 비롯한 인간의 정신능력과 문화가 갑자기 폭발적으로 발달한 것이 무엇보다 인간과 영장류 특유에게만 있는 타인을 모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거울 뉴런' 덕분임을 말하고 바로 이 거울 뉴런의 존재로 말미암아 우리의 마음이 오늘날처럼 이렇게 복잡하게 되었음을 설명하면 그 마음이 가장 단적으로 드러나는 형상이기도 한 성격은 또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해 그것이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유기적 협업(즉 '공적응(COADAPTATION)')에 의한 산물임을 같은 부모를 가진 형제들간의 대비효과를 통해 프랭크 셜로웨이가 보여주며 바로 그렇게 우리의 마음이나 성격 그리고 정체성마저 본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 환경의 영향 역시 많이 받는다는 것을 스탠포드 감옥 실험으로 '루시퍼 이펙트'가 있음을 밝혀내었던 필립 짐바르도가 더욱 확증한다.
책은 이렇게 마치 릴레이 경주를 하듯 이전의 학자가 단언했던 것을 보다 세부적으로 확인해주면서 또 다음 학자에게 자신의 작업의 미진한 부분들을 말하게끔 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데 그래서 읽는 우리들은 각자 저마다 다른 학자의 글들을 읽지만 '마음'이라는 것에 대하여 오늘의 최신 과학은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 하나의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읽게 된다. 그래서 보다 쉽게 더욱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 이 책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던 상식들이 얼마나 과학적 오류였는지 제대로 깨닫게 한다. 우리는 흔히 우리의 마음이나 성격 같은 것들이 본래적으로 형성된 것이라 여기지만 최신의 과학적 연구가 보여주는 바에 따르면사실 그것은 타고난 것과 환경이 서로 조응하면서 이루어낸 산물이었다. 그렇게 우리는 우리의 타자로 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 바깥으로 열린 존재였다. 무엇보다 우리의 학습 능력을 만들고 지금처럼 복잡한 마음을 갖도록 만든 '거울 뉴런'이라는 존재가 그렇다. 애초에 우리가 지금과 같은 마음의 상태를 가지게 된 것도 타인에 대한 모방 덕분이었던 것이다. 스타니슬라스 드엔에 따르면 환경의 영향이 얼마나 지대한지가 더욱 드러난다. 그녀는 특히나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무한에 가까운 수까지 헤아려 경이롭기까지한 '수를 헤아리는 능력'을 연구의 초점으로 삼았는데 그 연구 결과 그토록 경이로운 수를 헤아리는 능력 역시도 인간이 본래적으로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문화적 축적의 산물에 지나지 않았다. 그녀는 단적으로 이렇게 말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구구단을 기억하기가 왜 그렇게 어려울까? 무엇보다도 우리 뇌가 구구단을 배우도록 진화한 적이 결코 없었기 때문에, 이 목적에 덜 적응된 뇌 회로를 갖고 진땀을 빼야 하는 것이다. 유감스럽게도 수학에 약한 것은 우리 인간의 정상적인 증상이고 수학을 잘하려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실제로 아이들이 수학을 배울 때의 정서 상태와 집중량의 차이를 근거로, 왜 일부 아이들은 수학을 잘 못하고 일부 천재백치들은 계산에 놀라운 능력을 보이는지 그 이유를 꽤 많이 설명할 수 있다. 성차를 비롯하여 수학 능력에 타고난 차이가 있다는 증거들을 다수 검토한 나는 수 능력에 개인별 차이가 나타나는 상당 부분이 타고난 '재능'의 차이 때문이라고는 믿지 않는다. 교육이 핵심이며 긍정적인 정서가 수 능력의 성공을 추진하는 행위이다. (P. 193 ~ 194)
그녀는 나아가 우리가 잘 아는 수학 천재들도 마냥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오롯이 수학에 바쳐진 집중력과 오래된 훈련의 산물일 뿐이라고 말한다. 즉 태어나면서 천재는 없다는 것이며 있는 것은 보통 사람 이상의 압도적인 집중력과 훈련이 빚어낸 숙련자가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들 스스로 본래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라 여겼던 사람의 많은 부분들이 사실은 인류라는 종 자체가 겪어온 환경과 내가 처한 환경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 산물이었다. 다시 말해 '나'라는 존재 자체가 하나의 단독 집합이 아니라 여러 많은 것들과의 '교집합'이었던 것이다. 이렇게 최신의 과학 이론들은 왜 우리가 타자에 대해서 좀 더 포용적이어야 하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애시당초 우리라는 존재 자체가 그렇게 함으로써 지속해왔던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얻는 것은 이것 뿐만이 아니다. 달리 얻게 되는 것 또 하나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우리 자신에 대한 생각 중 많은 부분이 사실은 오해에 근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를 위해 일부러 스타니슬라스 드엔의 저 말을 인용했다.
사실 저 말은 내게 참으로 위안이 되는 말이기도 했다. 난 학창시절 수학을 정말 못했다. 과학자가 되고 싶었지만 인문으로 전공을 택해야 했던 이유도 고등학교 수학을 정말 못했기 때문이다. 나는 타고난 내 머리가 나빠서 그런줄로만 알았는데 스타니슬라스 드엔의 말에 따르면 절대 그런 것은 아니니 참으로 위안이 되었다. 다만 내 집중력과 훈련이 부족할 뿐이었던 것이다.(그러고보니 수학을 별로 열심히 한 적이 없다. ㅡ ㅡ;) 아무튼 스타니슬라스 드엔에 따르면(이 사람의 말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이 분야에 관해서 가장 최고의 권위자이기 때문이다. 이 '수'에 관한 그녀의 연구는 많은 학자들을 놀라게했다.) 모든 건 교육과 훈련의 결과요 우리 노력의 산물이다. 타고난 머리만 탓하며 노력을 게을리 한 나 자신이 참으로 한없이 부끄러워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이 말은 어쩐지 힘이 된다. 집중력과 훈련만 제대로 하면 웬만큼은 다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니까. 비유하자면 생래적인 차이라 여겼기에 한없이 높아만 보였던 농구 골대가 그 키가 내가 던질 수 있을 만큼으로 작아진 느낌이랄까 아무튼 그렇다. 그러니 다른 사람에게 함부로 머리가 나쁘다는 이야기도 하지 말아야겠다. 다만 '네가 집중을 못하고 훈련을 잘 하지 않아서 그래.' 정도로만 말해야겠다. 어쩐지 머리가 나쁘다는 말 보다 훨씬 더 긍정적으로 들린다. 그래서 듣는 사람도 낙관적이 될 것 같다. 진지 모드로 죽 이어지다가 갑자기 개인의 잡설로 나오고 말았는데 그만큼 이 책은 과거의 나 자신을 되돌아보게 만든다는 것도 아울러 알리기 위해서였다. 이 책이 사람이라는 존재에 대하여 가진 많은 오해들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동안 나 자신을 이렇게 저렇게 규정하며 그 이유로 때로는 방기하며 때로는 나태했던 스스로를 꾸짖게 되는 것 같다.
아무튼 '마음의 과학'이란 이 책은 이런저런 장점이 참 많은 책이다. 인간이라면 한번쯤 궁금해봤을 두뇌와 마음 그리고 성격과 의식이란 것에 대하여 정말 많은 것들을 그것도 쉽게 알려주는데다가 생각지도 못했던 것들을 깨우쳐 우리의 오해들을 짚어주고 그러한 오해에 빠져 그른 판단을 했었던 나 자신 역시 되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내겐 정말 좋은 책이었다. 같은 궁금증이나 언제 한 번 이런 책을 보아야겠다고 생각하셨던 분들이라면 이 책이 아주 좋은 벗이 되어줄 것 같다. 이쯤에서 더 좋은 소식은 이 엣지 시리즈가 이 한 권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책 날개에 보면 문화, LIFE, 우주, 사고에 관한 책들이 목록으로 나열되어 있다. 아마도 출간 예정인 책들 같다. '마음의 과학'으로 이 엣지 시리즈에 대해 무한 신뢰가 생겼다. 빨리 만나보게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