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러브 디스 파트
틸리 월든 지음, 이예원 옮김 / 미디어창비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그래픽 노블 좋아하시나요? 저는 좋아합니다. 이번에도 독특한 그래픽 노블 하나를 만났네요. 탈다 윈튼의 '아이 러브 디스 파트'란 작품입니다. 일단 작가의 나이가 너무 젊어서 눈길이 갔습니다. 96년생이었거든요. 2015년에 첫 책을 냈으니, 와! 몇 살 때 데뷔한 건가요? 작가의 나이보다 더 이 작품을 이채롭게 기억하게 된 건 내용 때문이었습니다. 10대 레즈비언의 이야기였거든요. 나중에 알았는데, 작가 역시 레즈비언이라고 해요. 자신의 이야기를 그래픽 노블로 풀어간 것이죠. 누군가 그러더군요. 자기 얘기를 할 때 가장 잘 말할 수 있다고. 아마, 라이너 마리아 릴케일 겁니다.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런 말을 했던 것 같아요.


  미국 사회가 아무리 성소주자의 사랑에 대해 관대해졌다고 해도 막상 밑바닥 현실로 들어가보면 아직 벽이 높은 것이 사실이죠. 처음 사랑을 할 때는 세상을 다 가진 것 같지만, 시간이 흐르면 점차 넘지 못할 현실의 벽 때문에 이런 사랑을 해도 될까 하는 두려움이 슬금슬금 고개를 듭니다. 성인이 아니라 십대라면 더 하겠죠. 그런 과정을 이 그래픽 노블은 담아내고 있습니다. 목소리를 크게 하지 않고 장면의 연출로 느끼도록 하면서 말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잔함과 더불어 나의 첫사랑은 어떠했던가 추억까지 하게 되니 작가의 실력이 꽤 좋다고 해야겠죠. 만화 부문에서 뛰어난 성취를 이룬 작품에 주는 이그나츠 어워드 신인상을 탈만 합니다.





 책의 표지입니다. 처음에 전 옆의 흑인 아이를 남자로만 생각했어요. 그래서 흑인과 백인의 사랑 이야기를 다뤘구나 여겼죠. 하지만 이내 곧 흑인 아이도 여자 아이란 게 밝혀지더군요. 그러므로 이 둘은 두 가지나 사회에서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 사랑을 하는 셈입니다. 하나는 인종 간, 다른 하나는 동성 간. 부모와 또래 그룹의 시선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10대이니만큼 이들의 사랑 행로가 그리 평탄하지 않을 것임은 명약관화죠.


 미래야 어찌되었든 서로에게 호감을 갖고 사랑을 쌓아가던 무렵에는 세상을 다 가진 것만 같았습니다. 당신도 사랑을 하셨다면 이들의 마음을 잘 알겠지요. 우리도 그러지 않았나요? 내가 세상의 중심이 된 것마냥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존재가 된 기분을 느끼곤 했었죠. 다음과 같은 장면은 바로 그것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누구보다 큰 존재가 되어, 세상에 오직 단 둘만 있는 것 같은 느낌을 가졌던 때를.





 이건 마치 제목처럼 음악에서 제일 좋아하는 부분을 반복해서 듣는 것과 같죠. 가장 환하게 사랑이 밝았던 시간. 사랑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그런 부분이 있기 마련입니다. 음악의 가장 좋은 부분이 그러하듯이, 언제 떠올려도 먼저 흐뭇함으로 다가오는 사랑의 기억이...





 하지만 음악은 가장 좋은 부분만 계속해서 들을 수 없습니다. 아무리 좋은 음악도 언젠가 끝이 납니다. 사랑과 현실 또한 그러합니다. 사랑에 마냥 취했던 시간이 시나브로 지나가면 눈에서 콩깍지가 떨어져 나가며 자신의 사랑을 위협하는 차디 찬 현실의 냉기를 느끼게 됩니다. 사회가 인정하지 않는 사랑을 하는 사람일수록 더욱 그러하겠죠. 작품은 그런 과정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공간이나 풍경의 단편적인 묘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합니다. 공개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사랑의 괴로움, 부모에 대한 두려움과 주위 사람들의 수군거림 등 현실 앞에서 약해져만 가는 사랑을 고요하게 소묘합니다. 너무나 거대했던 그들의 존재가 서늘한 현실 속에서 자꾸만 작아져가는 과정을...

 결국 그들의 사랑은 이뤄지지 못하고 이렇게 거대한 현실 안에서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지고 맙니다.





 여름의 햇살만큼 눈부셨지만 짧았던 사랑은 그렇게 끝나고 이젠 추억만 남았습니다. 마지막의 장면들은 그걸 묘사합니다. 음악이 끝나고 난 뒤 선율의 여운이 기억되듯이 사랑도 그렇게 남는다는 걸 말이죠. 이토록 잔잔하게 사랑의 시작과 끝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그러면서 어느 순간 묻고 있죠. 이들의 사랑이 당신의 사랑과 얼마나 다른가 하고? 왜 이들은 당신과 닮은 사랑을 했는데, 당신은 할 필요가 없었던 걱정과 두려움을 가져야 했냐고. 사랑은 햇살입니다. 누구도 배척하지 않고 두루 환한 빛 속에 있게 만들죠. 그런데 우리는 왜 사랑이 특정한 사람에게만 허락되는 것처럼 굴고 있는 걸까요? 사랑이 마치 입장권처럼 자격이 되는 이에게만 부여되는 것으로 여기는 걸까요? 음악이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것처럼, 인종과 성별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삶의 가장 좋은 부분인 사랑을 영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 작품의 아이들이 그러했듯이, 사랑이 아닌 다른 이유로 이별의 고통을 겪어야 하는 이들이 없는 세상이 하루빨리 다가오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