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 는 자신의 책 [도시는 왜 불평등한가 The New Urban Crisis]에서 도시의 이중적 본질을 이렇게 지적했다. "도시는 낙관론자들의 찬양처럼 혁신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동력원이며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제시하는 모형인가? 아니면 비관론자들의 토로처럼 불평등과 사회적 분열을 더 키우는 곳에 불과한가? 도시는 이 두 가지 모습을 모두 갖고 있다." 2030년이 가까워질수록 점점 더 많은 도시가 이런 분열을 경험할 것이다. 고학력 전문직 주민들이 신분 상승을 꾀하는 지역과 성인 인구의 15퍼센트를 차지하는 기능적 문맹들의 원래 거주지가 도시 안에서 혼재돼 나타날 것이다. - P220

전문가 계층은 "특별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복잡한 지식 체계를 이용한다." 플로리다 교수는 도시가 역동적인 전문가 계층을 한자리에 모이거나 길러내는 데 필요한 것들을 ‘3T‘ 개념으로 요약했다. 바로 인재 talent, 관용 tolerance, 기술 technology 이다.
그중에서도 관용이란 개념은 많은 관심을 끌었다. 플로리다 교수는 자신이 제시한 성 소수자 지수 Gay Indes와 방랑자 지수 Bohermian Indes가 높은 도시가 경제적으로 크게 성장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관용을 특히 남녀 성소수자들, 그리고 화가나 음악가처럼 자유분방한 방랑자 기질이 있는 다양한 사람들을 한곳에 모을 수 있는 개념으로 정의했다. 폭넓게 보면 모든 전문가 계층은 편견 없는 열린 마음을 키울 수 있는 특별한 생활 방식과 밀접하다. "다양성에 대한 관용과 열린 마음은 물질만능주의적 가치 이후의 시대로 향하는 광범위한 문화적 변동의 일부다." 플로리다 교수의 지적이다. "관용과 열린 마음은 기술, 그리고 인재와 함께 경제 발전을 돕는 또 다른 요소다." 인재와 관용, 그리고 기술은 힘을 합해 지식 경제를 주도하는 사람들을 한곳으로 이끈다. 플로리다 교수의 주장은 특히 도시의 부활과 밀접하다. 그가 말하는 "거리의 문화"는 "찻집과 길거리 음악 그리고 작은 음식점이나 전시관들이 뒤섞여 있어서 참여자와 관찰자, 혹은 창의성과 그 창조자 사이의 경계가 흐릿한 환경"을 의미한다. - P224

본질적으로 이중적인 이 도시 집합체들은 집에 틀어박혀 텔레비전이나 스마트폰만 바라보는 과체중 인구들로 가득 찰 것이다. 이런 현상은 사회적 참여가 아닌, 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질 것이다. 많은 도시가 전문 지식을 갖춘 창의력 넘치는 사람들의 집합소가 될 것이며, 또한 오염과 혼잡, 그리고 안전에 관한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 기후변화에 가장 많이 노출된 도시들은 깨끗한 물이 부족한 현상과 해수면이 점점 높아지며 밀려오는 바닷물 때문에 고통을 겪을 것이다. 우리의 어떤 행동이 이런 변화를 완화할 수 있을까? 수직 농업은 우리가 원하는 만큼 빠르게 발전할 수 있을까? 과학기술로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만들 수 있을까? - P227

오스트리아 출신의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 조지프 슘페터 Joseph Schumpeter는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들의 본질을 설명하기 위해 역사상 가장 절묘한 비유를 제시했다. 바로 "창조적 파괴"라는 개념이다. 슘페터는 새로운 기술을 바로 받아들이는 시장경제의 특성과 그로 인하여 발생하는 낡고 비효율적인 것들을 몰아내는 지속적인 영향력 모두 시장경제의 빛인 동시에 그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1942년에 이렇게 말했다. "자본주의를 움직이는 엔진을 설치하고 계속 움직이도록 만드는 근본적인 동력원은 새로운 소비재와 새로운 생산 혹은 운송 방법, 새로운 시장, 그리고 자본주의 기업들이 만들어낸 새로운 형태의 산업 조직들로부터 나온다." 또한 슘페터는 이러한 동력원을 "내부로부터 끊임없이 경제 구조를 혁신하고 낡은 것들을 파괴하며 새로운 것들을 창조하는 산업적 돌연변이의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러한 창조적 파괴 과정이야말로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사실"이라고 결론지었다. - P2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첫 번째 원칙은 ‘평범함의 위력‘으로, 탁월한 성과는 엄청난 도약이 나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대개 작은 개선들이 연이어져 나타난다는 개념이다. - P206

두 번째 원칙은 행동과학자들이 ‘부드러운 개입‘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긍정적 강화 혹은 직접적인 제안으로 행동을 변화시켜 집단이나 개인의 동기와 열의, 그리고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이다.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스카 와일드의 소설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을 보면 헨리 경이 이렇게 말한다. "여성은 다시 한 번 운을 시험하고 남성은 다시 한 번 위험을 무릅쓴다." 위험을 대하는 태도는 소비와 저축을 포함한 대부분의 선택들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경제적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생각하는 투자 유형에도 영향을 미친다. 리먼 ‘브라더스‘가 아니라 리먼 ‘시스터즈‘가 있었다면 2008년의 금융 위기는 없었을 거라는 주장은 결코 허황된 이야기가 아니다. - P160

런던 정경대학교 교수 폴 돌란 Paul Dolan은 미국인들의 행복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이렇게 설명했다. "우리는 사람들의 인생을 시간에 따라 추적하면서 좋은 자료들을 얻곤 한다. 이제는 뭔가 다른 말을 해야 할 것 같다. 당신이 남성이라면 결혼하는 게 좋을 것이다. 여성이라면 결혼에 신경 쓰지 마라." 차이점은 결혼과 자녀가 여성과 남성의 인생 경험을 얼마나 바꾸느냐와 관련 있다. "남성은 결혼해도 어려움 없이 직장 생활을 계속하며 수명도 조금 늘어난다. 반면에 여성은 달라진 인생을 참고 견뎌야 하며 한번도 결혼한 적이 없는 여성에 비해 수명이 줄어든다." - P165

찰스 디킨스는 이런 말을 했다. "성공의 가장 중요한 비결? ‘그렇게 하고 싶다‘ 라고만 말하지 말고 ‘그렇게 할 것이다‘라고 말하는 것이다." 불가능하다고만 생각하지 말고 수평적 사고방식으로 도시가 직면한 문제들에 맞서자. 그리고 가능성의 확률을 높이자. - P1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술이 모든 것을 바꾼다‘는 주문은 노년층과 관련해서는 틀림없는 사실이다. 의학과 영양학, 생명공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일어난 혁신으로 더 많은 사람이 더 오랫동안 삶을 즐기게 되었다. 2030년이 되면 70대의 평균적인 삶은 지금의 50대의 평균적인 삶과 엇비슷해질 것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가상현실과 인공지능, 나노 기술 같은 새로운 기술이 젊은 세대의 욕구와 필요에 따라 주도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지금 나타나는 놀라운 혁신과 발전의 상당 부분은 60대 이상 노년층의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고 있다. - P85

중국의 경제와 인구 분포가 그처럼 빠르게 변해버린 결과, 2030년이 되면 2020년에 비해 15~35세의 인구가 6000만 명쯤 줄어들고, 60세 이상 인구는 1억 1400만 명이 늘어날 것이다. 톈진 난카이대학교의 인구통계학자 신위안kin Yuan 은 이렇게 이야기한다. "서방 선진국들이 인구 노령화 시대로 걸어 들어가고 있다면 중국은 그야말로 달려 들어가고 있다." - P107

지금 우리가 밀레니얼 세대를 이해한다고 해서 미래의 그들도 잘 이해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그들의 행동은 시간이 흐를수록 당연히 진화하기 때문이다. 각 세대의 구성원들은 인생의 여러 단계를 거치며 태도와 행동을 조금씩 바꾼다. 현재 60세 이상인 사람들과 미래의 60세 이상 사람들은 때로 판이하게 다를것이다. 그 이유는 세대보다 노년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개념의 변화와 더 밀접하다. - P110

예전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중산층은 일종의 과도기적 상태였다. 당대의 누구보다도 19세기 영국인들의 삶을 잘 알았던 작가 찰스 디킨스charles Dickens는 이렇게 주장했다. "우리는 중산층이야말로 영국의 안전을 지켜준다고 끊임없이 내세우고 있지만 중산층이란 그저 상류층 끄트머리에 붙어 있는 가난한 계층에 불과하다." 1937년에는 영국식 삶에 대한 또다른 신랄한 비평가였던 조지 오웰George Orwell이 『위건 부두로 가는 길RoadioVigan Pier』에서 이렇게 썼다. "사립학교 교사, 반쯤 굶고 있는 비정규직 언론인, 사무원, 공무원, 영업 사원, 그리고 몇 번이고 장사가 망한 장사꾼같은 이 나라의 침몰하는 우리 중산층은 이제 별 수 없이 노동자 계층으로 주저앉게 될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그렇게 된다고 해도 생각했던 것만큼 크게 두렵거나 무섭지 않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더 이상 잃을 게 없으니까." - P122

"중산층에 중요한 것은 소득수준뿐 아니라 느낌이다." 재치 있는 입담으로 유명한 미국 작가 마거릿 할시 Margaret Halsey는 이렇게 말했다. 중산층이라는 지위는 이렇게 소득만큼이나 사회심리적인 마음의 상태를 반영한다. 프랑스 소설가 귀스타브 플로베르 Gustave Flaubert는 1856년 발표한 소설 『보바리 부인Madame Bovary』에서 중산층의 심리 상태를 꿰뚫어 보았다. 이 소설에서 주인공은 자신이 중산층이라는 굴레에 갇혀 있다고 느낀다. "중산층이란 참 재미있다." 영국 작가 J. K. 롤링.. K. Rowling 의 말이다. "중산층에 관해서라면 나도 잘 안다. 사실 중산층처럼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내세우기 좋아하는 사람들도 없다. 그래서 중산층은 참 재미있는 것이다." - P123

"개인이 집단에 대한 소속감을 중시하면서도 제대로 소속되어 있는지 불안감을 느낄 때 더 강하게 체제에 순응하는 경향이 있다. 상류층에 속한 개인은 사회적 지위에 확신이 있으므로 굳이 먼저 나서서 순응할 이유가 없다. 하류층에 속한 사람들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이미 배척받고 있기 때문에 오히려 기존의 관습에 더 자유롭게 저항한다." 순응에 대한 압박을 느끼는 쪽은 중산층이다. 그들은 순응해서 어떻게든 더 위로 올라가고 싶은 욕망과 순응하지 않으면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두려움을 동시에 느낀다. - P125

정말 우려되는 점은 자녀가 생기는 순간 그 가정은 중산층에 진입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는 사실이다. 이런 현상이 계속 유지되면 출생률은 더욱 떨어질 수 있다. - P1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교해보면, 중국과 같은 정책을 한 번도 실시하지 않은 이웃의 타이완이나 한국의 여성 한 명당 출생률은 중국의 1.6명보다도 훨씬 낮은 1.1명 수준에 불과하다. 결국 "경제발전이 최고의 피임"이라는 유명한 구호가 중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사실로 증명된 셈이다. 얄궂은 일이지만 한 가구 한 자녀 정책이 낳은 가장 큰 결과는 세대차이, 혹은 세대 사이의 단층이 될 전망이다. 2030년 무렵 중국에서는 15~35세 인구가 9000만 명 줄어들고, 60세 이상 인구는 1억 5000만 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대규모로 가장 빠르게 인구 노령화 현상을 겪을 것이다. - P39

이민자에 대한 인지적 편향
이민 문제에 관해 우리는 긍정적인 측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맞추는 경향이 있다. 심리학자 에이머스 트버스키 Amos Tversky와 대니얼 카너먼paniel Kahneman은 우리가 살면서 여러 문제에 대해 잘못된 결정을 내리는 이유는 우리의 사고가 ‘손실 회피 편향 loss aversion bia‘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수많은 실험을 시행한 두 사람은, 사람들은 이익을 보는 것보다 손실을 피하는 쪽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놀라운 일이지만 사람들 대부분은 10달러를 얻는 것보다 10달러를 잃지 않는 쪽을 택한다. - P58

가까운 장래에 젊은 소비자들이 등장하고, 일부 국가에서는 이민자들이노령 인구를 빠르게 대체할 것이다. 그사이에 시대에 뒤처지는 사람들을 새로운 현실에 적응시키는 데 들어가는 비용이 커지면서 불안과 심지어 분노도 함께 커질 것이다. 이런 모순적인 충돌이 빚어내는 결과는 우리가 현재의 불안을 어떻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회로 바꾸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미국을 포함한 수많은 국가가 직면한 이 문제의 해결책은 각기 다른 세대별 집단의 욕구와 희망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느냐에 달려 있다.
늘 그렇지만 젊은 세대와 나이 든 세대는 미래를 완전히 다른 시각으로바라본다. 젊은 세대는 희망을 바라보지만 나이 든 세대는 상실을 생각한다. - P65

우리는 역사상 유례가 없이 혼란한 갈림길 위에 서 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비슷한 여러 세대가 활동 무대를 공유하며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이 세대들은 자신들이 성년이 되었을 때와 현재의 상황 모두에 맞춰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한다. 소설가 존 더스 패서스John Dos Passos는 이렇게 썼다. "세계관은 개인이 아닌 세대의 작품이다. 그렇지만 우리 각자는 좋건 나쁘건 그 세계에 벽돌 하나씩을 더하고 있다." - P7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