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젠더와 국가의 이론 정립
이 책의 목표는 이러한 민족과 민족주의의 젠더적 이해를 위한 분석적인 기획을 도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젠더 관계가 몇 가지 주요한 차원 - P18
의 민족주의 기획에 중대하게 기여한 바를 체계적으로 점검할 것인데, 여기에는 국민 재생산, 민족 문화, 그리고 민족 시민권과 아울러 민족갈등과전쟁이 포함된다. - P19
그러나 공/사의 이분법은 페미니즘을 비롯한 사회과학 문헌에서 여성을 남성의 정반대 극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이분법들 가운데 단지 하나일뿐이다. 그 밖에 자연/문명의 구분도 있다. 여성과 자연의 동일시는 ‘문명‘화된 공적 정치 영역에서 여성을 배제하기 위한 명분이었을 뿐만 아니라어느 문화에서나 남성보다 여성이 사회적으로 가치가 덜하다는 사실을 설명하기도 했다. 시몬 드 보부아르simone de Beauvoir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인간/남성man이 동물보다 우위에 있는 이유는 생명을 제공하기 때문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류를 지배하는 것은 출산하는성이 아닌 살해하는 성이다. (Harding, 1986: 148에서 인용) - P23
젠더는 ‘실제‘ 사회적 남녀 차이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젠더는 이들의사회적 역할들이 인종 및 민족 집합체에서 이들이 갖는 경제적 위치나 구성원권과는 정반대로, 이들의 성차나 생물학적 차이에 따라 정의되는 일단의 주체들과 관련된 담론의 양식이다. 성차 역시 담론 양식으로 이해해야한다. 담론을 통해 일단의 사회적 주체들은 상이한 성적/생물학적 구성물을 지닌다고 정의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젠더‘와 ‘성‘ 모두 담론 양식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다만 그 사안이 다를 뿐이다. ‘성‘과 ‘젠더‘ 모두에 대해 이들이 담론을 통해 의미를 구성한다는 주장과 비자연적이고 비본질주의적 성격을 갖는다는 주장으로 인해 성과 젠더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그러나 비영어권 국가에서 페미니즘 정치에 관여했던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곳 페미니스트들의 최우선적인 그리고 가장시급한 과제 가운데 하나가 그 지역 언어로 ‘젠더‘에 해당하는 단어를 ‘발명해 내는 것임을 알 것이다. ‘성‘ 담론과 ‘젠더‘ 담론을 구분하지 않는 한, 생물학은 그 사회의 도덕 및 정치 담론에서 운명으로 구성될 것이다. - P29
도나 해러웨이(Haraway, 1990)의 ‘상황적 지식‘ 등의 개념을 따르고 있는 게이튼스의 마지막 주장은 젠더 관계를 분석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자아는 언제나 상황적이다"라는 주장의 중요성은 젠더 관계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 관계의 분석과 관련이 있다. 몸의 상황은 생물학적이든 담론적이든 오로지 성차와 관련하여 구성되지는 않으며 자아의 상황이오로지 혹은 언제나 일차적으로 몸에 영향을 받는 것도 아니다. 게이튼스나 그녀와 같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에게 성차가 중요한 것은 이들이 중산층 서구 중심 정신분석이론, 특히 라캉의 시선(Lacan, 1982)으로 사회를 관찰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계급, 민족, ‘인종‘과 국가와 같은 거시적사회 구분도 특수한 신체 ‘유형‘이나 연령, 능력과 같은 보다 주체적인 몸과관련된 차이들만큼이나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하다. - P30
이 허구는 한 집단체의 헤게모니와 국가나 시민사회 모두의 이데올로기적 장치들에 대한 이 집단체의 접근을 자연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 자연화는 민족주의와 인종차별주의의 내재적 연관성에 뿌리내리고 있다. 자연화는 소수집단들을 ‘정상‘에서 벗어났다고 추정되는 이들이라 구성한다. 이는 또한 결국에는 ‘인종청소‘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를 해체하는 것은한편으로는 인종차별주의를 다루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 자체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P33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정의들에서 빠진 요소로, 오토 바우어가 강조한 요소인 ‘같은 운명‘common destiny은 민족 구성에 매우 중요하다(Bauer, 1940;Yuval-Davis, 1987a). 같은 운명은 그 방향이 단순히 과거라기보다는 미래를 향해 있으며, 특정 민족 안에서의 개인과 공동체의 동화 이상을 설명할수 있다. 한편으로 사람들이 정착민 사회나 식민지 이후 국가들에서와 같이 한핏줄의 신화가 전혀 없는 집단체와 민족들에 참여하는 주체의식을 설명할 수 있다(Stasiulis and Yuval-Davis, 1995). 동시에 이민이나 국적 취득, 개종, 그리고 기타 이와 유사한 사회적·정치적 과정들을 통해 국경 안에서벌어지는 빈번한 국경의 재구성 과정과 민족집단체의 역동적 성격을 설명할 수도 있다. - P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