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쓴 것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21년 6월
평점 :
단편을 모아둔 소설집을 굳이 하나의 메시지로 관통하여 해석하고자 한다면 하나하나의 작품의 개별성을 무시하고 납작하게 만들어 내 멋대로 소화해 버리는 결과가 되어버릴 수도 있겠다. 그래서 소설집 전체에 관한 리뷰를 쓰는 일은 조심스럽다. <82년생 김지영>으로 유명세를 치른 조남주 작가의 소설집이라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작가의 목소리에 응답하여 목소리를 내는 일은 중요하다. 꼭 크고 아름다운 목소리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가부장제에 의하여 은폐되고 억압되었던 여성의 이야기를 보여주기 위해 작가가 택한 방법은 ‘부재’다. 이 책에 실린 단편들에는 유독 아버지나 남편, 혹은 아들이 부재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들이 상징하는 가부장제가 함께 부재 상태에 이름으로써 비로소 여성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작가는 이들의 목소리를 전하면서, 가부장제가 사라진 이후, 그 너머의 세상을 꿈꾼다.
<매화나무 아래>의 동주는 남편이 죽고서야 어릴 때부터 싫어했던 ‘말녀’라는 이름을 개명한다. 아버지와 남편이 사라진 자리에서 동주의 자매들은 어릴 적과 같은 친밀한 관계를 회복한다. “아버지의 그늘도, 남편의 굴레도 참 지긋지긋해해 놓고 그래서 도망친 게 아들의 어깨였다니.”(41쪽)라고 말하는 동주는, 아들이 죽고 나서야 며느리 효경과 진정한 관계를 맺는다. “준철이가 없어서 그래. 이제 내가 준철 에미가 아니고 너도 준철이 집사람이 아니잖아.”(<오로라의 밤> 233쪽)라는 동주의 말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뒤틀리고 반목했던 고부관계에 화해의 실마리를 제공한다.
가부장제의 부재로써 그것이 존재할 때 가졌던 권능과 그것이 사라진 자리에 나타나는 효과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은 <가출>이다. 아버지가 가출했다는 소식에 오랜만에 한자리에 모인 어머니와 자식들은 아버지가 싫어한다는 이유로 그의 정년퇴직 후 한 번도 먹지 못했던 청국장찌개를 먹는다. 여기서 등장하는 아버지는 <오기>의 화자 초아와 김혜원 선생님의 아버지들처럼 폭력을 휘두르는 나쁜 아버지가 아니다. 그는 화자인 ‘나’를 오빠들보다 예뻐했고 “그건 내 일이지. 그러라고 내가 이 집에 있는 건데.”(97쪽)라고 말하며 공과금 내는 것을 포함한 모든 돈 관리와 가족들 부양을 모두 자신의 일이라고 여기는, 가부장제 하에서 전형적으로 ‘훌륭하다’고 평가될 만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 훌륭한 아버지와 살면서 어머니는 공과금조차 낼 줄 모르는 사람이, 의견을 내는 아버지 옆에서 혼잣말하듯 중얼거리는 사람이 되어 있었다. 어머니는 아버지가 가출하고 나서야 “간결한 문장과 정확한 발음으로 의견을 말할 수 있”는 모습을 찾았다(96쪽). 이처럼 남성의 입장에서는 나름대로 상대를 위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했던 행동들이 여성의 본모습을 지우고 억압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현상을, 작가는 <현남 오빠에게>에서 상세하게 다룬다.
한편, <오로라의 밤>은 관습을 거부한 자리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희망이 있음을 시사한다. 화자 효경은 딸 지혜가 손주 한민이를 돌봐주길 바라는 것을 알면서도 이를 거절한다. 아이를 낳은 부모가 책임져야 할 육아 문제에서 남성인 아빠는 쏙 빠지고 엄마와 그 엄마 사이의 갈등만 커져간다. 효경은 손주의 육아를 맡아주기를 거절하고 어릴 적부터 꿈꿔왔던 오로라를 보기 위해 캐나다로 떠난다. 그의 동반자는 함께 사는 시어머니 동주다. 돌봄노동에서 해방된 두 사람은 “딱 내 몸 하나만 보살피는 지금은 일상이 얼마나 가뿐한지”(235쪽) 느끼며, 오로라를 보는 순간 관습이 요구하는 것과 정반대의 소원을 빈다. 효경은 “한민이 보기 싫어요!” 동주는 “죽을 때 고와 뭐해? 곱지 않더라도 오래 살 거야.”(248-249쪽)라고 외치며 웃는다. 지혜가 고민하던 육아의 문제는, 그 부담을 어머니가 아닌 남편에게 지우기로 하면서 뜻밖에 해결된다. “아이를 보는 내내 멍하니 창밖만 보던” 자신보다 “아이를 보느라 창밖을 볼 틈도 없던” 남편이 더 육아에 적합하다는 것을 깨닫고(256-257쪽), 시터 고용 및 시터와의 의사소통, 어린이집 상담 등을 남편에게 맡기는 것이다.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반목하고 뒤틀렸던 관계를 바로잡고 다른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 작가가 전하는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자. 이름조차 상실한 미스 김(<미스 김은 알고 있다>)에게도, ‘되바라진 요즘 여자애들’로 싸잡아 폄하되는 주하(<여자아이는 자라서>)에게도, 할 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