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가 처음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토마스 만에 대해 강의하면서 가장 많이 다룬 작품은 중편 <토니오 크뢰거>(1903)다. 대표작 가운데 하나인 만큼 특별한 선택은 아니다. 하지만 매번 다룰 때마다 작품의 문제성에 감탄하게 된다. 만의 작품세계와 문제의식을 집약하고 있는 작품으로서 가성비도 만점인 작품. 만의 작품세계에 한정하면 앞서 발표한 장편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1901)이 어떤 작가에 의해 쓰였는지 알게 해준다. 토마스 만의 자기소개서 역할을 한다고 할까.

그렇지만 다른 작품이 그렇듯이 얼마든지 다른 문맥에도 위치시킬 수 있다. 가령 앙드레 지드의 <지상의 양식>(1897), 릴케의 <말테의 수기>(1910)와 나란하게 놓인 <토니오 크뢰거>도 있는 것. 세 작품이 나란히 호명된 건 대학 1학년 때 읽은 김윤식 선생의 <한국근대문학의 이해>란 책에서였다. 별도의 출처가 없다면 이 카테고리의 저작권은 김윤식 선생에게 있다.

대학 신입생들에게 막연한 동경과 경탄을 불러일으킨, 이 세 작품에 대해서 나대로의 인식을 갖게 된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지난해에야 오랜만에 <말테의 수기>를 다시 읽고서 강의했기 때문. 세 작품을 아우르는 시야를 갖게 되기까지 30년이 걸린 셈이 된다. 스무살 때의 느낌이 개념적 인식으로 구성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이다.

통시적으로 이 세 작품은 세기 전환기 유럽의 교양계급 혹은 문화귀족의 세계 인식과 감정을 잘 대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런데 그런 시대사적 의미를 제쳐놓고 좀더 보편적인 맥락에서 보자면 내게 세 작품은 ‘28세의 의미‘를 다룬 작품들로서 의미가 있다. 지드와 만, 릴케는 비슷한 연배로 같은 세대에 속하는데 1869년생인 지드가 1875년생 동갑내기인 만과 릴케보다 여섯 살 많은 정도다. 그리고 <지상의 양식>과 <토니오 크뢰거>는 두 작가가 각각 28세에 발표한 작품이고 <말테의 수기>는 릴케가 35살에 발표한 작품이지만 28세 때인 1903년 파리 체류시에 쓴 소설로 주인공 말테의 나이가 28세다.

산술적인 나이로 28세가 특별한 나이는 아닐 테지만 어림해서 28세는 인생의 중요한 전환점이다(대학을 졸업하면서 진로가 정해질 때쯤의 나이라는 점에서 지금도 마찬가지겠다). 인생의 진로를 처음 정하는 나이는 아니지만, 이를테면 중간점검과 진로의 변경이 모색될 수 있는 나이다. 작품에 적합한 나이가 있다면 이 세 작품은 28세에 읽어야 하는 작품이다(내가 <말테의 수기>를 두번째 읽은 게 그 나이 때였다).

당신이 다시 스물여덟 살이라면 무엇을 하겠는가? 아무도 묻지 않기에 자문자답하자면 나는 이 세 작품을 다시 읽고 싶다. 그곳이 아프리카건, 파리건, 덴마크 해변이건, 어느 곳이든지 간에. 무정형이었다가 마침내 어떤 꼴이 되어가고 있는 인생의 남은 진로에 대해서 숙고하고 싶다. 그 숙고가 결국은 아무것도 바꾸어놓지 못할지라도. 적어도 스물여덟은 그 정도 기분은 낼 수 있는 나이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4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맘 2019-03-29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물이라는 숫자로 시작하는 말들은 참 아련한 느낌을 지니나 봅니다 그것도 스물셋이나 다섯이 아닌 스물 여덟이라고 하시니 이번에는 쓰린 느낌이 쏴하니 전해오네요 쌤덕분에(?) 오늘밤 저에게도 질문 한번 던져봐야겠습니다~다시 스물여덟이 된다면?

로쟈 2019-03-30 13:13   좋아요 0 | URL
어젯밤에 던져보셨나요?^^

2019-03-29 23: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30 13: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로제트50 2019-03-30 0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중학동기였다가 고등학교를 다르게
가면서 편지왕래를 시작한 친구가
있었죠. 첫 3년간 우린 딱 한 번 만났고 전화통화도 없이 편지만 오고 갔지요.
저는 이과반, 교내에서 열공분위기로
유명한 반이었고 그 애는 문과반.
학교생활이 매일매일 재밌다고 했지요. 그 때 그 애 편지에 적힌
많은 작가와 작품들. 그 속에 <지상의 양식> <토니오 크뢰거> <말테의 수기>도 있었죠.
지금도 기억하는 귀절.
‘ ...‘지상의 양식‘ 한 권을 들고서 나는
이상한 감동을 느끼고 있어...‘
그 시절의 떨림과 감동으로 어떤 책에
몰두하는 일이 요즘 아이들에겐 있을까요?
나의 28세. 삶의 변화가 일어난 때. 그러고 보면 그 후 10년 주기로
삶의 변화, 이동이 일어났네요,
제 의지와 무관하게. 그리고 그 때
저를 지켜준 책은 없었지요...

로쟈 2019-03-30 13:15   좋아요 0 | URL
한 세대의 기억이네요. 지금은 사라진...

2019-03-30 14: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30 14: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30 14: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30 17:3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30 23: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3-30 23: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tintin2506 2019-04-08 1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른 살이지만 늦기 전에 세 작품은 꼭 읽어보고 싶네요.

summer 2019-07-27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27살인 지금. 평범함에서 벗어나려 발버둥 중입니다. 이 세 권의 책 읽어볼게요. 추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