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웠던 안나를 구슬려서 왕국을 통채로 삼키려던 한스 왕자는, 본국에선 아무도 챙겨주지 않던 열세번 째 아들....그러니 아들없는 왕가에 데릴 사위로 들어가는 길만이 그에겐 유일한 희망이었다.

 

 

 

한국의 시오노 나나미를 꿈꾸는 박신영 작가의 재미있는 동화 속 역사를 미리 읽은 덕에 나는 한스 왕자의 검은 속내를 간파했더라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의 러시아 문학 강의 19세기 - 푸슈킨에서 체호프까지 로쟈의 러시아 문학 강의
이현우 지음, 조성민 그림 / 현암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 19세기 문학의 친절한 입문서. 모출스키 책에 체호프가 추가된 형식이지만 문장이 더 매끄럽다. 사진들이 많아서 좋다.그래도 각 작가의 스케치 인물화가 접혀 있는 건 과한 느낌. 본문에 언급되는 참고 도서들의 목록이 빠진 것이 아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4-01-21 14: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이 책 궁금해서 저도 장바구니로 쏙 넣었습니다. 그런데 유부만두님 벌써 읽으셨군요! 읽는데 오래 걸리지는 않던가요?

유부만두 2014-01-21 1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 안걸려요~ 하지만 빨리 읽기엔 아까워요
 
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 - 흔들리는 부모들을 위한 교육학
현병호 지음 / 양철북 / 2013년 12월
평점 :
절판


화가 난 저자의 주장은 거칠고 투박하며 이런 저런 비유가 넘친다. 힘들게 겨우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40110130653

오역 '지적질'로 그칠 것인가? 더 좋은 독서를 원한다!

[번역 비평의 기쁨과 슬픔] 번역가 공진호와 서평가 이현우의 대담

공진호 : 저는 사실 미국에서 살고 공부를 했기 때문에 원서와 번역서 간 비교 독서를 생각해본 적은 없어요. 다만 몇 년 전부터 미국에서 번역을 하기 시작하고 한국에 와서 번역서를 접했을 때 많은 오역이 눈에 띄더군요. 대개는 제가 잘 아는 작품의 첫 단락에서 제가 아는 것과 다른 내용을 발견할 때가 많았어요.

가령 이런 것입니다. 조지 오웰의 <1984>를 열면 첫 문장에 "the clocks were striking 13."이 나옵니다. 시중에 나온 번역을 보면 "괘종시계가 13시를 알렸다" 혹은 "시계는 13시를 치고 있었다"는 식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오웰은 첫 문장부터 자기 소설 속의 세계가 정상적인 세계와 다르다는 것을 알리고 있습니다. "13시"라고 하면 전혀 이상하지 않습니다. 군대에서나 철도 시간표 같은 경우 24시 시스템으로 시간을 말하잖아요. 시계들의 종소리가 13번 울리고 있었다고 해야 하는데,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는 것입니다. 종을 13번 치는 시계는 이 세상 어디에도 없으니까요.

게다가 일제히 여기저기서 시계들이 그 종소리를 울리는 광경을 떠올리게 하는 것입니다. 사소한 문구나 실수라면 기억을 못해서 알아채지 못할 텐데, 작중 세계를 규정하는 중요한 구절이라 기억하는 것이죠. 그런 게 의외로 많더란 것입니다.

 

****

괘종시계가 13시를 알렸다. (민음사, 정회성 역)

시계는 13시를 치고 있었다. (문학동네, 김기혁 역)

벽시계가 13시를 가리켰다. (열린책들, 박경서 역)

괘종시계가 오후 1시를 알리고 있었다. (더클래식, 정영수 역)

시계 종소리가 13시를 알렸다. (북로드, ??)

시계들이 13시를 알리고 있었다. (을유문화사, 권진아 역)

괘종시계가 열세 번 울렸다. (부클래식, 김설자 역)

 

**********

Thirteenth stroke of the clock or "thirteen strikes of the clock" is a phrase, saying, and proverb to indicate that the previous events or "strokes to the clock" must be called into question. This is illustrated in the fictional case of "Rex vs Haddock" in which a remark by one of the parties is compared to the thirteenth stroke of a clock: not only is this thirteenth strike itself discredited, but it casts a shade of doubt over all previous assertions.

 

Adolf Hitler is quoted as saying, "I make it a principle not to stop until the clock strikes thirteen". This was in reference to him never giving up as Germany did in the First World War. This was said in November 1942 at almost certain defeat because at the time Paulus's army had surrendered and the German army had retreated in North Africa. He wanted to point out to his enemy that he was not going to surrender under any circumstances, by using an analogy that theoretically could not happen. (wikipedia)

********

 

The thirteenth stroke here doesn't refer to military time but to an old saying. References to a thirteenth stroke of the clock indicate that some event or discovery calls into question everything previously believed. Put another way, the thirteenth stroke of the clock calls into question not only the credibility of itself but of the previous twelve.

But notice in this opening line that it isn't just one clock malfunctioning, but the clocks. Presumably all of them. In this world, the clocks striking thirteen is not an aberration, but a normal way of life.

In this way, Orwell subtly alerts the reader that statements of truth in this fictional society should be called into question. (cliffsNot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