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 - 상 - 도스또예프스끼 전집 17
도스또예프스끼 지음, 이대우 옮김 / 열린책들 / 2007년 2월
품절


그녀가 물에 빠져 죽은 것은 자신의 변덕 때문이며, 단지 셰익스피어의 오필리아를 닮고 싶어서였다. 때문에 이미 오래 전에 매혹되어 눈여겨보았던 그 절벽이 그림처럼 아름답지도 않고 시적 풍취도 없으며 가파르지도 않았다면 아마 자살 행위는 결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28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adersu 2010-05-04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필리아 땜에 갑자기 까라마조프가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유부만두 2010-05-09 14:06   좋아요 0 | URL
흠. 근데 전 진도가 안나가고 있어요. 카라마조프네 아부지가 아직 정정하게 살아계시답니다. ^^;;
 
프라하의 소녀시대 지식여행자 1
요네하라 마리 지음, 이현진 옮김 / 마음산책 / 2006년 11월
품절


"마리, 한번 쓴 글은 도끼로도 못 깎아낸단다. 그래서 가치가 있는 거지. 곧 지울 수 있는 연필로 쓴 것을 남의 눈에 띄게 하다니 무례천만이야." -99쪽

"1989년 차우셰스쿠 정권이 전복된 후, 노동당 간부들은 여기서 쫓겨나지 않았나요?"

"전혀. 지금도 그네들은 당신이 지금부터 방문하실 자하레스쿠와 마찬가지로 옛날과 다름없이 특권을 향유하며 잘 먹고 잘 살고 있죠. 그뿐인가, 옛날의 국유재산까지도 그 북새통을 틈타 얼렁뚱땅 제 것으로 삼고는 시장경제의 파도를 잘 타서 단물을 빨고 있답니다. 단물 빠는 것에 익숙한 자들은 다른 단물에도 민감하죠. 게다가 남의 옆구리 치고 등 밟고 올라서는 것쯤은 장기 중의 장기니까."
-130-131쪽

"당신이 가이드가 되어주어서 정말 다행이에요. 이 [루마니아]에 대한 나의 피상적인 견해를 일일이 정정해 주시니 말이에요. 이 이상의 안내인이 없을 듯해요. 어쩜 난 이리도 철이 없을까요."

"그만큼 당신은 행복했다는 말이죠."

"확실히, 사회의 변동에 제 운명이 놀아나는 일은 없었어요. 그것을 행복이라고 부른다면 행복은 저처럼 사물에 통찰이 얕은, 남에 대한 상상력이 부족한 인간을 만들기 쉬운가봐요."
-145쪽

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사람들이 동유럽이라는 말을 그리도 싫어하는 것은 그 말에 후진국의 가난한 패배자라는 이미지가 따라다니기 때문일 것이다. '서구'에 대한 일방적인 동경과 열등감, 표리일체로 '동구'로서의 자기 멸시와 혐오감은 메이지유신 이후 탈아입구脫亞入歐를 지향한 일본인의 정신구조와도 통한다. 이 중부유럽 가톨릭 여러 나라의 '동'에 대한 혐오감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 것이, 같은 기독교면서 11세기 이후 분파를 달리한 이슬람 지배하의 동방정교에 대한 근친증오의 적의가 아닐까.-222쪽

"이 전쟁이 시작된 이래로, 맞아, 5년 동안 난 가구 하나도 더 사지 못했어. 아니, 요만한 식기 하나 컵 하나도 살 수가 없었어. 가게에서 좋은 게 눈에 띄어 하나 사보자 싶어도, 깨진 다음 맛볼 슬픔이 늘어날 뿐이지 하는 마음이 금방 들어, 사고 싶은 마음이 흩어져버려. 그보다 내일이라도 혹시나 우리 가족이 몰살당하면 어쩌나 하고......" -25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라하의 소녀시대 지식여행자 1
요네하라 마리 지음, 이현진 옮김 / 마음산책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훌륭한 엣세이스트... 라고 어느 블로거가 소개글을 올렸다. 그래서 구입했는데, 친구는 너무 가벼웠다고해서 열지않고 한참을 묵혔던 책이다.  

초등 5학년부터 중학 2학년까지 말도 통하지 않는 프라하, 그것도 소비에트 (1960년대 초반이었다) 국제 학교에서 소녀시대를 보낸 일본인 요네하라 마리의 추억담으로 시작한다. 그녀는 그후 일본에 돌아갔고, 러시아어 통역관으로 열심히 일하며 지냈다. 삼십년이 지난 1995년, 저자는 추억을 안고 세 친구를 찾아 나선다. 체코에 살던 그리스인 리차는 서독에서 살고 있었고, 엉뚱한 거짓말로 친구들을 어이없게 만들었던 아냐는 루마니아의 역사를 뒤로하고 런더너가 되었다. 제일 가슴아픈 기억을 남겨주었던 친구 야스나는 하얀도시 베오그라드를 지켰다.  

파란 하늘의 그리스, 빨간 거짓말의 루마니아, 그리고 하얀 유고슬라비아. 

일본의 공산당원 아버지를 둔 저자의 어린 시절은 쉽게 공감하기 어려웠지만, 그녀의 소녀시대 친구들이 격동의 세월을 지난 이야기는 (미안하지만)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있었다. 그러면서 자꾸 드는 생각은, 한반도에서도 그 못지않은 눈물과 피가 흘렀다는 것이다.  

순수하게 열다섯 시절의 친구를 찾아나서고 눈물의 재회를 하는 것, 그리고 지난 세월을 함께 추억한다면 시시한 수필이었겠지만, 삼십년 동안 벌어진 동유럽 격동의 세월이 친구들의 인생과 함께 펼쳐지기에 - 그리고 저자의 침착하고 상냥한 목소리로 쓰여져 있기에 - 읽을 맛이 났다. 그런데... 저자의 특권자 의식이랄까, 그녀의 고상한 목소리가 종종 거슬리기는 했다. 먼 동유럽말고도 일본 내에서, 그리고 아시아의 생생한 역사에대해서는 별 고민을 (충분히 연결이 될만도 하건만) 안 하는 것 같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홉살 인생 - 개정판
위기철 지음 / 청년사 / 201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아홉살의 이야기이라지만 스물아홉 작가의 눈과 손이 빚어낸 이야기다. 막연한 추억담도 아니고, 간간이 웃음도 버무려져 있지만, 아홉살이라기보다 그냥 우리들 모든 세대들의 인생이야기다. 인생.  

바로 전에 읽은 열다섯 소년, 소녀 들의 이야기는 흡사 그들의 성마른 눈으로 쓴것같은 짧은 호흡의 사춘기 단편집이었는데, 아홉살 꼬마의 장편은 그 흐름이 훨씬 여유롭다. 중학생 필독 도서에 올라있는 이 책은 하지만 뭐라 딱 꼬집어 말하기가 어렵다. 꼬마 니콜라 처럼 천진난만하게 웃으면서 덮을 수도 없고, 그렇다고 몽실언니 처럼 가슴을 찢어 놓지는 않는데, 라임오렌지 나무의 제제가 자꾸만 연상되면서, 우리들의 신부님의 시리즈물의 어른들 세계의 비판도 서슴지 않는다. 그래도, 뭔가가 다르다......그게 뭘까. 

중간중간 여러 못난 어른들 이야기에서 선을 넘지 않으려는 작가의 노력이 고마웠다. 아무리 힘든 인생이라지만 꼬마네 식구들은 서로 사랑하고 있다. (작위적일지 몰라도 이런 안전장치가 그리웠다) 그리고 때때로 발칙해지는 주인공 꼬마도 이쁘다. 아홉살, 열아홉, 스물아홉, 서른아홉.... 아직 인생에 대해 배울 것이 많이 남았다. "야아도!" 도, 골방과 자유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5-04 1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5-09 14: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아홉살 인생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위기철 지음 / 청년사 / 2001년 1월
구판절판


아아, 골방에 갇혀 천하를 꿈꾼들 무슨 소용 있으랴. 현실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 욕망은 우리 마음속에 고이고 썩고 응어리지고 말라비틀어져, 마침내는 오만과 착각과 몽상과 허영과 냉소와 슬픔과 절망과 우울과 우월감과 열등감이 되어 버린다. 그리고 때로는 죽음마저 불러오기도 한다. 골방 속에 갇힌 삶...... 아무리 활달하게 꿈꾸어도, 골방은 우리의 삶을 푹푹 썩게 하는 무덤에 지나지 않는다. 왜냐구? - 상상은 자유지만, 자유는 상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21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