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들마치>의 도러시아가 겪는 속박과 탈출의 딜레마를 설명하며 <다락방의 미친 여자>는 거의 평생 갇혀 살았던 앨리스 제임스를 소환한다.
도러시아의 딜레마는 한 미국 여자가 겪은 곤경을 기이하게 반향한다. 그녀의 가족은 19세기 후반 미국 인문학을 대표했다. 앨리스 제임스는 자신이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을 때‘ 의 감정을 다음과 같이 회상한다.
서재에서 책을 읽고 있을 때 나 자신을 창문 밖으로 던져버리거나, 은백색 머리카락의 자비로운 아버지가 책상에 앉아 무언가를 쓰고 있을 때 그의 머리를 부숴버리고 싶은 격렬한 충동이 갑자기 온갖 형태로 나의 근육을 덮치는 것을 느꼈다. 나는 그 모든 공포와 고통을 느꼈지만, 다만 광인과 다른 점이라면 내몫의 의사나 간호사의 의무와 구속복이 있다는 것이었다." (877)
결국 엘리엇은 여성의 포기를 지지하고 있다. 그것이 적절하게 여성적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여성적 분노의 파괴적인 잠재력을 강렬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엘리엇은 분노를 부정해야 할 필요성과 실제로 그럴 수 없다는 절대적 불가능성을 동시에 예증한다. (878)
앨리스 제임스와 조지 엘리엇의 관계는 주석에서
앨리스 제임스는 엘리엇을 싫어한다고 고백하지만, 자신이 마비되어 있으며 표출되지 못하는 분노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은 기이하게도 엘리엇의 여주인공들의 투쟁을 떠오르게 한다. 유명한 윌리엄과 헨리 제임스의 여동생인 앨리스가 갇혀 지내는 환자의 생활을 마감했을 때, 그녀는 그녀의 가족이 그토록 소중히 여겼던 활기와 해학적인 음조를 버리고 그녀의 간호사이자 동료인 캐서린 로링에게 자신의 일기 마지막 부분을 받아 적게 했다.
"5일 토요일 내내, 밤까지, 앨리스는 문장을 만들고 있었다. 그녀가 나에게 한 마지막 말은 3월 4일의 문장, ‘도덕적인 불화와 신경과민적 공포‘를 수정하라는 것이다. 3월 4일의 이 지시가 종일 머릿속에서 들끓고 있었다. 그리고 그녀는 매우 약해지고, 구술이 그녀를 지치게 하였지만, 그것을 다 쓸 때까지 머리를 쉬게 할 수 없었다. 그러고 나서 그녀는 해방되었다." (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