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에 시작한 프루스트 2권을 (번역본 기준 3,4권)을 봄, 여름까지 이어 읽다가 8월 마지막 날에야 완독했다. '스완부인의 주변에서' 화자의 첫사랑이랄까 스완씨의 딸인 질베르트와 사귀기 시작하는 겨울이 아픈 이별 후 '고장들의 명칭'에서는 화자가 해변 휴양지 발벡에서 보내는 여름으로 이어진다.
머릿속에 폭풍우가 몰아치는 절벽과 중세 성당의 발벡을 담고있던 사춘기 소년의 눈 앞에 쨍한 여름 해변, 고급 리조트, 화려함을 힘껏 뽐내는 다양한 사람들이 귀족 부터 신흥 부르주아, 또 가난한 종업원에 더해 길가의 상인들이 덮치듯 펼쳐진다. 화자는 새로운 풍경과 인물을 관찰하고 (소심하게) 사귀고 사람을 대하는 여러 기술도 하나 둘 배운다. 눈치 없는 십대 후반의 화자의 곁에 다가오고 스치듯 멀어가는 인물들은 때론 우습고 또 애틋하게 (특히 온 마음을 다해주시는 외할머니의 친근한 모습) 그려진다.계속 엿보며 또 생각하는 것은, '아 저 여인은 나와 사랑에 빠질까'하는 어쩌면 흔하고 위험한 비밀, 그리고 그 어린 화자를 촘촘하게 그려내는 중년의 화자. 그 둘 사이를 파도 처럼 때리는 수 많은 기억과 이미지, 향기, 맛, 너무 많은 시간 저편의 반짝임. (알베르틴과 공식적으로 통성명하던 파티에서 화자는 커피 '에클레르'를 먹는다. 나는 티라미수 홈런볼을 두 개씩 먹으면서 그들의 대화를 읽었다.)
발벡의 해변에서 미지의 걸그룹을 만나고 그 중 한 명인 알베르틴느에게 연정을, 환상과 욕구를 느끼고 시도하고 상대의 '정체'에 대해서 (또한 그 정체를 고민하는 자신의 정체도 함께) 고민한다. 피어나는 소녀들은 여러번 꽃처럼, 인상파 그림 속 바다 (의 님프)처럼 어룽거리는 여러 겹의 색조와 겹치는 선들로 표현된다.
피크닉에서 알베르틴느에게 핀잔을 듣고 나서 침울하게 걷다가 만난 '산사나무' 와 마음의 대화를 나누며 혼자 위로하는 화자.
질베르뜨가 소녀에 대한 나의 첫사랑이었듯이, 그것들은 꽃으로 향한 나의 첫 사랑이었다. "그래요, 나도 알아요, 그 꽃들이 유월 중순이면 떠나지요, 하지만 여기에서 그들이머물던 곳을 보니 기쁘군요." 내가 대답하였다. "내가 병석에 누웠을 때, 그들이 나의 어머니를 따라 꽁브레의 내 침실에도 왔었어요. 그리고 마리아의 달 토요일 저녁에 우리가 다시 만났어요. 여기에서도 마리아의달에 그들이 교회당에 갈 수 있나요?" - "오! 물론이에요! 게다가, 이곳에서 가장 가까운 교구인 쌩드니 뒤 데제르 교회당에서 그 아가씨들이오는 것을 매우 중요시해요." — "그렇다면 이제 그들을 보려면?" – "오! 다음해 오 월이 되기까지는 불가능해요." - "하지만 그들이 다시 오리라고 확신할 수 있을까요?" - "매년 어김없이 오니까요." - "하지만 내가이곳을 다시 찾을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 "물론 그러실 거예요! 그 아가씨들이 하도 명랑하여, 찬송을 부를 때를 제외하고는 웃음을 중단하는 법이 없는지라, 결코 길을 잘못 접어드실 리 없으며, 이 오솔길 끝에서 이미 그 아가씨들의 향기를 느껴 아실 수 있을 거예요." (펭귄 2, 680)
다시 오월이면 그 꽃들을, 소녀들을, 향기를 맡을 수 있을까. 화자는 이곳으로 돌아올까, 나는 다시 이 부분을 두번 째로 읽을 수 있을까.
알베르틴느는 (민음사 4권 말미에 실린 해설의 내용 처럼) 종잡기 힘든 자유로운 인물이다. 처음 화자의 눈에는 그녀의 친구 앙드레와 구별이 가지 않았고 생동감 넘치는 얼굴이었지만 (심지어 그녀 얼굴 위의 점의 위치도 달라진다) 점차 하나의 개별적 인물로 틀이 잡힌다. 하지만 아주 똑똑한 것도 아니고 부르주와 그룹의 친구들과 다르게 '가난한' 집안인데, 하지만 소위 고위직 가정에 초대도 자주 받는 '사랑스러운' 사람이다. 피크닉에서 즉흥적으로 종이 쪽지에 '당신이 좋아요'라고 써 건네고 혼자 묵는 호텔방에 놀러오라고 화자를 초대도 한다. 헤퍼보이는가 싶더니 화자의 적극적인 성범죄 시도에는 단호하게 자신을 방어하고, 또 그에 기죽은 (그렇지만 다른 소녀들에서 환상의 대상을 물색하고 있던) 화자에게 황금색 연필을 선물하며 달래주기도 한다. 그러다 갑자기 서둘러서 먼저 발벡을 떠나버리는 알베르틴느. 화자와 그녀 사이에는 박자가 조금씩 어긋난다. 사랑, 이라고 부를 뻔 하지만 아직은 그 표현을 맞게 써넣을 수 없는 화자.
새로운 장소에서 새로운 사람들을, 그들의 관계와 서열을 의식하면서 이해하려 애쓰는 화자는 결국 그 여름의 끝자락에 와서야 발벡에 조금 익숙해진다. 한 두 템포 늦게, 그는 그 여름을 그리워하고, 강제로 늦잠을 자야했던 천정 높은 호텔 방 두꺼운 암막 커튼이 제껴지던 순간을 꼼꼼하게 되살리면서 잃어버린 여름, '태고의 것'을 불러왔다. 그리고 서울의 뜨거운 여름도 지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