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의 산을 넘고 1, 2장의 돌산도 지나 3, 4장의 가시밭길을 지나고 5장 유토피아의 가파른 언덕을 지나고 달래는듯 다정한 역자후기를 만났더니 아, 벌써 2월입니다. 


기존 사회주의, 자본론 등의 이론서와 스터디들의 정리 및 비판은 정말 정신 없이 구경했습니다. 학생이던 시절의 약점, 이론 텍스트들을 다시 만나니 반가운 마음이 없지는 않았지만 어렵긴 매한가지입니다. 그러니까, 과로를 당연시하는 분위기, 일 자체가 사람의 정체성이 되어버리는 사회에서 어떻게 하면 매몰되지 않고 게으른 위험인자가 되지 않으며 자유로운 '삶'을 즐길 수, 아니 적어도 살아갈 수 있을까. 


가정에서 해방, 혹은 가사임금 지불도 또 다른 차별을 낳을 뿐이라는 걸 몰랐겠습니까. 그나마 그게 방법이었을 뿐이지요. 가족 안에서 내가 생산 임금 시스템에 기여를 하고 있었습니다. 달리 뭘 어쩌겠습니까. 내가 애들 안 챙기면 남편이 더 큰, 더 높은 보수의, 더 안정적인 일에 집중을 못하니까요. 집안일이 쌓이고 넘쳐서 어쩔 수 없는 경우엔 가사도우미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이 연속적인 일들이 차별을 낳고 구별을 더 공고히 하고 그럴수록 일이 사람을 삼키는 세태는 심해집니다. 차별과 격리가 특정 일과 계급을 더 높이, 낮게 만듭니다. 


그럴수록 필요한 게 '기본임금'이라고 이 꿈 같고 유토피아 같기만 한 이야기를 떠들어야 합니다.(토마스 모어 아즉 안 읽었고요) 현실의 고통을 징징대고 과거를 탓하기만 하는 (르센티먼트) 대신 주장하고 요구하고 상상해서 결국은 만들어야 합니다. 이 용감한 주장은 읽고 듣는 입장에서도 마음을 두근거리게 만듭니다. 이런 방법도 있는 거군요? 기본임금을 요구하고 내 일과 부담이 당장 바로 내 눈앞에 없더라도 계속 생각하고 더 넓은 범위에서 고민하며 상상하고 '인간'의 진심을 믿는 일을 해오고... 그런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많군요. 일을 안하며 게으르고 나쁜 사람을 경계해서 벽을 치는 게 정답이 아니었어요. 일을 떨쳐 낼 수 있어야 합니다. 일 안에 담긴 오래된 사회 통념도 의심하고 함께 비판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자꾸만 자기검열 같이, 내가 감히 그래도 되...까?... 하는 마음이 드는군요. 쫄보인 제가 노동윤리와 가정신화에 그간 아주 푹 절여져 있었습니다.  

노동을 둘러싼 투쟁은 그저 더 나은 노동조건을 위한 것이 아니라 노동 바깥에서의 삶을 누리기 위한 시간과 돈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 P29

자유는 규율에 반하는 행위로 그려진다. 브라운의 표현을 빌리면 투쟁하지 않는다면 우리에게, 우리를 위해 행해졌을 것에 맞선 항구적인 투쟁인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자유는 창조적 행위이기도 하다. [...] 미래를 헤쳐 가거나 그저 살아남기 보다는 함께 미래를 만들어 가려는 소망이라고 보았다. 고로 자유는 개인의 의지보다는 집단의 행위에 달려 있고, 이 때문에 자유는 정치적인 것이 된다. - P43

노동 거부는 창조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노동사회의 구성과 일의 도덕화된 개념을 거부하는 것이다. - P57

미국 노동윤리의 역사를 보면 이런 금욕주의적 이상이 시간과 공간을 가로질러 얼마나 잘 적응하고 변화해 왔는지 알 수 있다. 목적은 변화하는데 수단만은, 즉 윤리가 요구하는 행동만은 변하지 않는다. 언제나 윤리는 임금노동에 자신을 투사하고 구조적으로 헌신하도록, 일을 삶의 중심으로 끌어올리도록, 그리고 일 자체를 목적으로 받아들이도록 요구한다. 하지만 윤리가 제시하는 목표, 윤리적 실천을 통해 주어지는 보상은 놀랄 정도로 변화무쌍했다. - P81

델라 코스타는 가족을 임금 시스템과 연결 지어 노동의 자본주의적 조직화를 이루는 한 축으로 설명함으로써 가족 제도가 노동 가격 인하를 흡수하며, 저렴하고 더 유연한 여성화된 노동 형태를 제공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국가와 자본에게 사회적 재생산 비용의 책임을 상당 부분 면제해 주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킨다. - P193

가사임금의 요구는 가사노동을 칭송하려는 것이 아니며, 신성시 하고자 의도한 것 역시 아니다. [...] 노동 거부는 무급 가사노동에 적용될 때, 현재의 가족 중심 조직화, 노동의 젠더 분업을 거부한다는 의미가 된다. 나아가 가정 영역 내의 관계와 의식에 대한 너무도 익숙한 그 모든 낭만화에 기댄 비판을 옹호하길 거부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 P198

이제 우리는 아이들을 더 많이 기대하도록 기를 것이다. 자기희생은 전략으로서도 이상으로서도 거부된다. - P213

가사임금을 주부들에게 지급함으로써 젠더 분업이 더 공고해질 ㅜ 있다. [...] 더 많은 형태의 일에 임금을 지급함으로써 임금 시스템의 완전성이 의문시 되기보다는 옹호된다.[...] 기본소득 요구는 이에 비해 더 실효성 있는 대안이다. 기본소득은 모든 개인에게 보편적으로 소득을 지급하자고 제안하고, 그리하여 일에 대한 소득의 의존을 낮춘다. 이를 통해 임금 시스템과 가족 제도가 소득 분배의 신뢰성 있는 메커니즘으로서 기능할 수 없는 현실을 인식하게끔 할 뿐 아니라, 그에 대한 해법을 내놓는다. - P230

기본소득을 가치의 보편적 생산이 아니라 삶의 보편적 재생산에 대한 것으로 보면 어떨까? - P353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0-02-02 15: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아직 이 책에서 비판하는 노동윤리를 버리지 못했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자꾸만 삐죽삐죽 열심히 일한 사람만이 달콤한 휴식을 가져야 하는 거 아닌가, 하고 생각하게 되고 말이지요. 일하지 않았는데 돈을 주는 것이 타당한가.. 막 이러면서 자꾸 노동윤리가 저를 후려치려고 해요. 그래서 이런 책을 좀 더 많이 읽어야 하는 것 같아요. 3월달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가 그래서 더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어렵고 힘든데 이렇게 읽기를 마치셨다니, 고생하셨습니다.

유부만두 2020-02-03 08:37   좋아요 1 | URL
어렵고 힘들었어요. 그래도 이렇게 단단한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내가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을 의심하고 다시 보는 것을 배우게 돼요. 그리고 속마음을 더 들여다 보고요. 3월 책으로는 아마 분노 폭발이 아닐까 싶고요. ^^

단발머리 2020-02-03 07: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부만두님 문장들이 저의 속마음 토크 같아서 읽는내내 시원했습니다.
기본소득에 대한 관심도 더 많이 생겼구요.
잘 읽고 갑니다, 유부만두님^^

유부만두 2020-02-03 08:38   좋아요 1 | URL
단발머리님과 공감했나요? 슬프면서도 반가워요.
요즘 전 책을 읽으면서 자꾸 자괴하게 되어서 .... 그래도 계속 읽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