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성과 상체에 대한 관심.

1.

내몸은 하체가 비교적 고르게 발달한 반면 상체는 왜소할 정도이다. 한 십년 제대로 운동하지 않고, 지내다 보니, 근력마저 의심스러울 정도가 되고. 유연성마저 심히 걱정될 수준이 되었다. 몸관리 절대 부족, 체력이 바닥에 드러나 모임에서도 약한 모습~ . 졸고 또 졸고... .꾸벅.

2.

가벼운 맨손운동이지만, 몸에 대한 목표를 하나 더 보탠다. 팔굽혀펴기 쉬지 않고 100회, 한 이주일 정도 오늘아침은 40회까지 늘었다. 20회를 간신히 하다. 졸리운 시간 15회 3세트, 20회 매일 반복을 하니 효과가 만점이다. 뻐근한 근육통도 줄어들고... ... 강강약, 강약...휴식의 리듬을 몸은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다. 

3.

돌이켜보면 몸에 대한 관심이 책읽는 습관과 비슷하다.  아무리 좋은 책이라도 2번이상 본 경우는 거의 없는 듯하다. 최근에 들어서야 바를 정자 3회, 4회가 그어지는 것은 나에겐 경이적인 일이다. 한가지 책 한권을 10번이상 본다는 것은 대단한 정성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그 깊이도 존경스러워지기까지 한다. 얕음에 대한 돌이킴으로 독서와 몸을 시험대에 올려본다.  맘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

 

4.

6월말까지 팔굽혀펴기 100회, 재독 5회이상한 책이 나올 수 있을까? 쉬운 책부터 목표물로 삼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막내녀석이 한달만에 팔에 둘러 찬 석고틀을 풀렀는데,

이녀석 하는 소리  더 깁스하고 싶다고 생떼를 쓴다. 

오늘 아침 형-누나-엄마아빠의 합동 작전 덕에 심리적 안전성의 팔걸이마저 떼어냈다.

아이들의 적응력은 대단하고 놀랍다.  온몸의 적응력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멧새가 사무실에 날아들었다. 푸드득 소리에... 창틀에 앉아 노닌다. 인기척에도 별로 연연해 하지 않는 듯.  잠시 후 다가서자. 그리 위협감은 느끼지 않았는지? 날아가려 한다. 유리창으로... 해하는 마음은 없었기에 ..손으로 감싸안을 수 있게 된다.  따듯한 온기~  눈맞춤을 하고...창문밖으로 날려보낸다. 눈빛이 참 온순하다.

2.

어제도 변함없이 저녁약속에 식구들, 지인과 고기를 배부르게 먹고(점심두..) 또 막창먹으러 간다.

지인의 둘째 소식에 반갑기 그지 없다. 얼굴에 희색.....

3.

옮겨놓은 메모를 보고 흔적을 남겨려다 멤돈다. 손끝에서...생각이 멤돈다. 이만.....멈추어 그친다. 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도서관에 빌어 책을 보고 있다. 철학의 역사는 그림만 보고 있는데두 시간이 꽤 걸린다. A반 필라소피는 겉보기만큼 재미없다. 비트겐슈타인은 서울 집안 행사와, 5/30일 여의도 한강공원 10키로 경기를 참여하는 중간 짬이나서 지하철에서 오가며 다 훑어보았다.  비교적 삶과 <<논고>>와 <<탐구>>에 대한 평이한 설명때문에 그림이론과 언어게임이론에 대한 윤곽을 보았다는 것이 바쁜 주말 일정 가운데 혜택이라고 할 수 있겠다.

천재성와 삶의 괴리는 너무 진한 엘리트 의식때문은 아니었을까?  혼자 읽다가 생각이 든다. 

마감기일 넘기지 말고 도서관에 갖다 줘야지? 매번 연체...쯧~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묻지 말아야 될 세가지(1998)

오늘 한 직원이 어제 모 프로그램을 보면서 외국인이 본 한국인이란 주제로 한담을 했다. 자세히 기억은 나지 않지만 한국 사람들이 욕을 많이한다는 점, 흑인과 백인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다
는 점, 강대국 사람에게 잘 대해준다는 점들이었다. 욕을 많이 한다는 점에서는 공감을 하고 그럴 수도 있다고 여긴다. '알게 모르게 쌓인 것들이 얼마나 많으면?' 하고 마음으로 함께 느낄 수 있는 부분이었다. 다른 편견은 수긍이 가고, 그런 일들은 허다하게 보아왔으니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다. 하지만 여러 이야기 가운데 가슴에 와 닿는 것은 정말 이해할 수 없다고 하는 학연, 지연, 혈연에 대한 부분이다. TV를 보지 않았으니 정확한 판단을 하지 못하겠지만,


사람을 처음 만나면 무엇을 물어봅니까하고 묻는다면 열이면 아홉,
''아 그사람요? 제가 아는데..." 외에도
① "고향이 어디세요?",
② "나이가 몇이지요?",
③ "학교는 어디 나오셨어요?" 에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어쩌면 공기처럼 우리 사회에 살려면 익숙해지고 그냥 지나칠 일이지 굳이 심각하게 고민할 대상이 아니지 않았을까? 물론 심심해서 적당한 얘깃거리가 없어서도 이겠지만 대답에 대한 느낌은 보통 수준을 넘어선다.


곰곰히 되짚어 보면 생활하면서 조금 두드러지거나 모자란 것에 대한 평가의 기준은 대부분 이 세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아직 어리니까 그렇겠지?' ' 뭐 그럴 수도 있지 이해해야지' 이 정도 생각은 귀엽게 봐 줄 수 있다. 하지만 조금 더 나아가 ' 역시 감자야? 깽깽이야, 멍청도, 보리 문둥이?' 라는 수준으로 올라오면 심각하다 사람에 대한 평가의 30%이상은 이 지역차별로 묻혀 버린다. 군사문화가 가져왔다고 하기에는 쉽게 넘어갈 수 없는 부분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혈연 비슷하게 얽힌 학연에 대한 부분은 더 가관이다. 고등학교, 전문대, 4년제라는 것은 어쩌면 신라시대 성골, 진골, 6두품, 5두품을 연상하게 할 지도 모르겠다. 박사라는 명함 역시 사람을 제대로 보지 못하게 하는 그것이 아닐까?


학교에 대한 부분은 묻지 않았는데, 나이... 고향은 알게모르게 물었던 것 같다. 앞으로는 묻지 않을 생각이다. 사람을 충분히 알 때까지는 ... ... 그 사람을 올바르게 평가하는데 방해가 될 것 같기 때문이다. 모르는 사이에 몸에 베어버린 이 차별은 합리성이 있는 판단을 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런 기준들말고 이 사람이 과연 성실한가? 일을 대하는 태도가 어떠한가? 사고가 진취적인가? 동료들을 함께 생각하는 줄 아는가? 하는 점들이 명료화하고 판단의 기준으로 될 날은 언제일까?


정말 권하고 싶은 한가지 제안은? 새내기가 들어오면 절대 위 세가지에 대해서 묻지말라고 권하 싶다. 본인을 위해서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