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징
문양과 더불어 관심사이기도 하다. 구석기 시대 상징이나 암각화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도 하고 책도 구입해서 보는 편이다. 환각-명상-이니시에이션(통과의례)-동굴-선禪. 어두운 곳에서 장시간 아니 며칠, 몇주?가 되면 눈에서 스스로 빛이 나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한다. (명상은 아직 해보지는 않았지만, 음악을 따라 편안한 상태가 되려고 한 적은 많다.) 샤먼이 되기 위해서, 청년이 성년이 되는 의식과 의례를 통해 뭔가 쉽지 많은 않구나 한다. 무당의 신내림도 그러한 지는 모르겠다. 대마나 lsd 환각의 사례들 역시 68혁명의 책들을 통해서 접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런 언급들을 관통하는 것, 아니 증명이라고 할까. 있다고 한다.
2. 정동
플랫폼 기업을 목도하는 것을 넘어, 그 와중에 아니 수중에 있다고 할 것이다. 모든 것을 뺏기는 기분과 함께 낚았다는 기쁨까지, 그래 그것이 정동이다. 알라딘서재도 그렇다. 남김없이 준다고 남김없이 돌아오는 것이 아니다. 플랫폼의 마력과 구조를 모른다는 사람은 이제는 없지 싶다. 거리의 상가는 몇달을 버티지 못하고 다시 인테리어 공사하는 곳이 천지다. 이 곳 역시 대박 아니면 쪽박이다. 서로 다-다른 베이스를 갖는 사람들은 서로 다-다른 상품을 낚아채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서로 다-다르지만, 서로 다-비슷한 양태를 갖고 있다.
3. 신화
신화는 논리적인가. 신화가 이진법의 산물이라고 하면 믿을까. 말이 활자화되기 이전, 구전은 정교함이 없단 말인가? 현생인류의 뇌는 유연한 정신을 바탕으로 사고해야 한다. 네안데르탈인이 여러 대의 PC를 조립해서 쓰고 있다면, 현생인류는 서로 연결해서 뇌의 용량을 줄였다. 유연한 정신은 지금까지와 다른 모습이다. 대칭성에 기반하고 있다. 신화-다신교-유일신은 대칭성과 비대칭성으로 넓게 사고해야 한다. 비대칭성이 과도하게 발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4. 일상
여기에 귀기울이는 것은 이분법의 사고를 넘어가는 징검다리 같은 것이다. 천재와 특이한 특별한 사람을 통해서 발견되거나 발명되었다는 근거를 무너뜨리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도나 모로 이루어진 것이 과학의 세계가 아니라는 것이 자명한데도 다른 것들을 연관짓기가 귀찮으니 그렇게 자신을 합리화시키는 것이기도 하다. 이론과 실천. 이론과 실험. 그 사이에 길고도 깊은 실행의 기예가 자리잡고 있다. 실험실과 천재적인 발명가가 독보적이 될 수 없는 이유다. 증기기관이나 산소나 진공이나 등등 일상의 기예가 번뜩이거나 실행의 주변을 살필 때에만 아 그럴 수가 있구나. 수 많은 우연의 산물이기도 하구나가 된다. 자본주의의 발전에 프로테스탄트의 근면성이 기여를 했다는 것이 베버의 견해이자 정설로 되어있지만, 흔들린지도 오래다. 예를 들어 볼테르가 프랑스 카톨릭에 질리거나 위해의 위협에서 영국으로 와서 본 것은 새로운 문화다. 노동자 성령의 감화를 받은 사례들을 개신교에서 말하는 이가 한 둘이 아니라는 걸 느낀다. 정말 개인으로서 신심을 접한 것이 새로운 깨달음이자 개인으로서 자본주의 발전 이유의 하나라는 걸 짚어낸다. 이유는 한 둘로 좁힐 수는 없다. 자본주의 시초가 '정념과 이해관계'라는 것도 허상이라는 걸 밝혀낸 것은 몇 번을 이야기한 바 있다.
5. 과학
과학은 물리와 기계논리로 시작한다. 그래서 화학이나 생태의 근거나 뿌리로 접근하는 방법이 부족하다. 쿤의 패러다임 논리는 토끼냐 노파냐는 이중시선의 그림과 엇비슷하다. 이거냐 저거냐의 논리도 일리는 있지만 그렇게 빠른 과학의 여파가 지금까지 미치고 있는 것이다. 여러가지가 걸리적 거리고 이것저것 연결되어 있는 것이 하나 둘이 아니다. 느리지 않으면 제대로 길고 오래 연결시키면서 회복시킬 수 없다. 앙꼬 빼먹듯 지구살을 빼먹은 빠른 과학은 이제 지구를 살리는 느린과학의 뒤안길로 물러서기엔 많이 늦은 듯싶다.
6. 종교
기도를 하라 그러면 믿음이 생길 것이다. 팡세의 말이자 수행이 사람을 바꾸는 사례와 가장 많이 인용되는 문구이기도 하다. 과학이 진실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처럼 종교는 신은 없다할만큼 철부지가 아니다. 지금을 살아내는 사람들은 오히려 믿음이 없어 스스로를 바꾸어내지 못한다. 나라는 3차원의 개인이 클라인 병의 한 곳을 통과하면 다른 곳이 모두 타자라는 사실을 애써 외면하려 한다. 아직도 스스로가 원자 알갱이라니, 그런 족속이 우리 인간이다. 반물질, 아원자를 떠들어대고 나는 혼자다.
볕뉘
0.
책들이 다가선다. 폭염. 아니 기후우울증이란 말은 거부하고 있었지만, 정녕 그러했다. 전시장을 다녀오면 녹초가 되는 듯하다. 한 주는 쉬어줘야 한다. 아트매니저님에게 가자미 한지 시작품 잘 다루어달라 부탁하고 쉬는 내내, 위 큰 책들에 빠져있다. 알듯말듯을 지나 이제는 스피노자의 마음이 쏙들어온다싶다. 그래서 걸리는 책들과 읽히지 않아, 구년씩 묵힌 책들도 읽다. 시간의 간극만큼이나 잘 이해하고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만든 작품들과도 많이 겹친다. 또 다른 길을 갈 수 있을 듯싶다. 이번 주 14일 한 팀과 저녁 겸 전시 안내가 있고, 15일 오전 식사와 안내 뒤 철수를 한다. 호암교수회관 직원분들이 많이 부러워하고 좋아하셔서 덩달아 기쁜 마음이다. 찾아주신 분, 관심 가져주신 분들께 모두 감사드려요.
-1.

위 주요 저자들은 마르크스와 들뢰즈와 가타리, 브루노 라투르의 비환원주의, 스피노자를 혼합하면서도 너머서고 있다. 신승철의 공동체기업은 로르동의 공동결사기업과 유사한 모델로 대안이면서도 자세한 방법론의 접근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읽을만하다. 논의확장이 되면 더 좋겠지만, 그 것은 책과 강독으로만 접근할 수 없는 일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