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짐의 무게를 줄여야 한다. 오고가는 길, 부담되는 무게는 은근히 지치게 만든다. 두껍고 부피가 있는 책은 아니다. 그 책 가운데 하나가 이어진다. 한권은 다 읽지 못했기 때문이고, 또 한권은 새로 구입해 비닐을 뜯지 않은 신상이다.


읽게될 지, 아니며 그냥 가방 안을 돌다가 다시 내려오게 될지는 모르지만 사람의 일처럼 책의 일도 그러하다. 찰라의 만남도 없다고 할 수 없으니 말이다.


선물을 챙기고, 서명 받을 책도 챙기고, 도록까지 챙기니 짐이 양손으로 버겁다 싶다. 하지만 내려올 짐이 아니라 해방될 짐이니 일단 참자고 한다.


<<내가 없는 쓰기>>는 막 오월 편에서 시작한다. 책가늠줄이 거기에 자리잡고 있다. 결혼식장에 가는 길. SRT열차가 가깝다고 안내하길래, 이십여분 남은 17번 플랫폼에서 읽다. 청량감이 도는 그늘은 얕은 바람도 있어, 읽히는 책은 스스로 빛을 뿜는 듯하다. 한 줄 한 줄 꼭꼭 씹어 읽히는 기분이다. 오월을 차곡차곡 밟고 있다니.  유월을 남겨둔다.


<<정적과 소음>>으로 갈아타기 직전, 열차가 들어오고 있다. 안전선 밖으로 한 걸음 물러나 ... ...

또 다른 오월을 읽어낸다. 어제를 훑어낸 짐가방은 그래도 견딜만 하고, 가방 속 에코백을 꺼내 들면 가볍다는 느낌이 와서 좋다. 


<오월>이 한 주 남다. <오월>이 다 가기에 앞서 오월을 읽어내는 기분이 새롭다. 그렇게 올해도 어김없이 색다른 오월을 깡총거려본다.

피부란 시간이 투과하는 얇은 유리문이다. 시간뿐 아니다. 내가 알지 못하는 것들이, 선택하지 않은 것들이 나도 모르게 스며든다. 멀리서 들려오는 원인 모를 경보음에서부터 비 온 뒤의 습도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이 온종일 피부에 배어든다. 아침에 비어 있던 얼굴은 오후가 되면 온갖 기미들이 들어와 차곡차곡 쌓인다. 얼굴은 무거워진다. 이윽고 하루에 속하게 되고 원하든 원치 않든 그 안에서 움직인다. 하루가 얼굴을 점령한다. 나는 나의 의지와 무관하게 세계에 가담한다. 오후에 다시 - P107

갈수록 대기는 높아지고 촘촘해진다. 잎들의 색은 조금씩 진해지고 두꺼워진다. 온도가 한 단계씩 오르고 공기는 쉽게 젖고 마르기를 반복한다. 어떤 곳이 되었든 가기를 바라지 않고 나서지도 않았는데, 5월에는 날마다 어딘가에 도착해 있는 느낌이다. 내가 5월을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5월이 나를 맞이하는 중이다. - P123

5월과 함께 걷는다. 뒤돌아보면 나무들이 두꺼운 잎을 달고 따라온다. 잎들이 부딪히는 소리도 난다. 그 찰랑거리는 소리 때문인지 5월에는 천천히 걷고 뒷걸음질치지 않는다 - P103

그늘을 본다. 모든 것이 그늘을 떨어뜨린다. 바닥으로 길게 떨어뜨린다. 떨어진 그늘이 흔들린다. 나뭇잎의 그늘이, 나무의 그늘이, 사람의 그늘이 흔들린다. 흔들리는 것을 본다. 흔들리다보면 이 그늘이 저 그늘이 된다. 자전거의 그늘이 내 그늘이 된다. 내 그늘이 없다. 다른 그늘 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그늘을 따라 걷는다. - P09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05-27 09: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5-05-27 09: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진보‘

합리성은 시간은 직선이란 관념*에서 시작합니다. 그렇게 생긴 미래는 계획해서 만들 수 있다는 착각 또한 낳은 겁니다.

그럼 시작점을 직선이 아니라고 가정해보는 겁니다.

예를들라면, 여러분은 곡선이라 답하겠죠.

음, 그러지말고 뒤엉킨 고무줄이라고 해보는 겁니다.
그러면 시간이 어떻게 되겠어요.

곡선도 보이겠죠. 보면서 만져보는 겁니다. 당기면 늘어나기도 하고, 누르면 줄어들기도 하겠죠. 어떤 놈은 풀려나기도 할 겁니다.

여러분은 이 글을 읽는 동안 시간을 경험한 겁니다. 지금까지는 ‘시간은 직선이다‘라는 추상에 사로잡혀 생각과 일상을 전개한 거예요.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안타깝게도 놓쳐버린 거예요.
미래에 사로잡혀 현실의 여러가지를 잃어버릴 수밖에 없는 거예요.

돌아가봅시다. 어제 난 시간을 다루는 세공사 둘을 만나, 밤이 고운 뒷고기 집에서 얘기를 만진 겁니다. 그리고 오늘 밤 다른 시간 속으로 접혀들어 또 다른 시간을 만져볼 겁니다.

*도미니크 르쿠르, 《진보의 미래》동문선

1.

예전에 읽은 책이 잡혀, 서울 가는 기차안에서 다시 본다. 이해되지 않던 말들이 바로 집혔다.

2.

세공사 가운데 한 분이 다시 한살 토크쇼에서 준 편지도 다시 밑줄그어 읽다. 시간이란 단어에

#나다이즘
#서울대호암교수회관
#나다이즘전
#Nadais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컨벤션홀로 통하는 로비는 비가 오는 내내 바람골을 만든 듯 춥다. 손님이 없을 듯 싶지만 기다림이란 그리 어설프지 않다. 몇 권의 책이 함께 있기 때문이다. 이수명의 <내가없는 쓰기>의 몇 개월을 읽다보니 벌써 여름 가까이 온 듯하다. 그러다가 빛과 실을 건네든다.



2. 


이런 뒷부분의 일기가 묘하게 겹친다 싶다.


<빛과 실>에는 글쓰는 작업을 위해 공개한 루틴이 나온다. 더 오래, 더 길게는 작가들의 로망이기도 하다. 헌데 공짜는 없다. 꽂힌 것은 스트레칭이다. 오십견을 겪은 뒤 느낀 것은 잔근육을 지나치게 움직이지 않았다는 깨달음이다. 


3. 


전시 뒤풀이를 못한 사위와 딸. 지난 비내리는 주말 틈을 타 일정을 잡고 함께 한다. (어머님과도 한잔) 음주에 대한 흑역사를 거침없이 말하는 제멋대로 여사 앞에서 얼굴도 화끈거린다. 하지만 없는 사실도 아니니 어찌할 수는 없다. 짬을 내서 달려주지만 많이 마신 술에 장사는 없다. 여독에 더해진 일정이 말해준다 싶다. 그림 작업 역시 노동이 들어간다. 과한 작업을 하면, 노가다처럼 쓴 막걸리 한잔 해줘야 마무리되는 것이 일상처럼 되어간다. 문제는 말미의 기분이다. 몸은 넘지 않았다하지만, 시간은 정신승리 편이 아니다. 그렇게 술병은 생기고 다음날의 밀도와 농도는 구멍이 생기고 허술해진다.


4. 


몸의 무게가 내려오다가 증권차트처럼 오르내리기 시작한다. 그리고 한 점을 내려오기 위해 얼마만큼의 강도와 길이가 필요하지도 지난 몇 달간 과정으로 배우게 된다.  조금 더 내리기 위해서 하는 글쓰기도 일환의 하나다. 하지만 달리기도 노동이다. 마지막이 문제다. 매듭을 어떻게 지어주느냐다. 절주의 요령이다.


조금은 비겁해지기로 한다. 어제 숯불꼼장어 뒤 얼큰라면이 문제였다고 말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i 영상작업에 푹 빠져있는 친구가 오토바이를 타고 여기까지 내려오다. 6시간 가까이 운전을 한 셈이다. 그 친구는 동해 바다를 찍으며 우회해서 다시 대전으로 갈 것이다. 그 친구는 어른 김장하 영상을 보며 평범한 사람들이 세상을 지탱하고 있다는 대목에서 펑펑 울었다고 한다.


그 친구의 선민의식에 늘 불만이 있었다. 말은 하지 못했지만 , 늘 더 낫다라는 엘리트의식이 배여있는 벗이다. 그 간극, 간격에 말걸지 못하고 있는 것이 근 삼십년 지기의 한계이기도 한 것이다. 진보를 자부하는 자들을 의심해야 한다. 나는 더 알고 있다라고 자부하는 자들도 조심해야 한다. 왕년을 벗삼는 친구들은 더 심하다.


깨달음은 자신을 바꾸기도 한다.

하지만 잠시의 깨우침이었을 뿐, 다시 타성을 갖고 제자리로 돌아가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이 친구와 나의 공통점은 이제 겨우 확인된 것이다. 새로운 것을 좋아하고 푹빠져서 온도를 높이는 과정을 즐긴다는 것이다.


나무밴드 30주년 공연을 올해 준비한다고 한다. 여유와 설빈, 인효인상 등등이 그가 키워낸 제자들이기도 하다.


일상을 채우다보면, 일상을 채워 넘치게 하다보면 주변을 활짝 피우기도 할 것이다. 선민의식을 버려야 할 것이 아니라, 의식하지 않는 자연스러움만이; 추종하지 않게하는 힘이다. 모두는 나보다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랍 안에는 새 것과 쓰던 것이 있다. 늘 애용하는 쓰던 것의 라벨이 떨어지자 새 것을 사용해본다. 그런데 정이 가지 않는다. 손톱의 부분이 잘리거나 날라가기에 불안하다. 낡은 것은 적절한 힘으로 또각또각 온전한 손톱모양을 유지하며 잘린다. 자르고 난 뒤 한번만 다듬기로 굴려주면 맵시도 있고 완벽하다. 모아 버리기도 수월하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여러 경로 가운데 알맞은 길을 찾으려고 노력중이다.  그림 카드를 만들고, 전시홀별로 자석식 도면도 만들어 둔다. 캔버스별로 라벨을 달고, 투명상자도 구입해 따로따로 넣어둔다. 그러기 위해서는 있는 것들을 또 다시 확인하고 분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흐뜨러뜨리고 다시 기억을 살리는 작업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관계들도 그러할 것이다. 경도된 결과에 어처구니없이 버려진 과정들. 여러 경우의 수의 과정들이 있던 것이다. 왜 그 관계가 어그러졌을까. 미리 예비하는 징조들이 있었을텐데, 왜 눈에 들어오지 않은 것일까. 지난 과거의 기억들을 흐트러트린다. 


지난 번에 읽은 책이 로르동이다. 분명 여성분이구나 했는데, 새 책을 보니 남성이다. 지난 번 느낌적 느낌이라는 단어를 새기면서 다시보게 되는 책이다. 그래서 화이트헤드의 느낌의 위상학이라는 책을 건네들기도 했다. 


과정이 실재다


이상사회라는 것은 없다. 그렇게 결과에 집착되는 세계는 없다.

영원한 과정만 있을 뿐이다.
















볕뉘


잘 짤리지 않는 손톱깎이를 사랑한다. 온전한 과정을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