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방짐의 무게를 줄여야 한다. 오고가는 길, 부담되는 무게는 은근히 지치게 만든다. 두껍고 부피가 있는 책은 아니다. 그 책 가운데 하나가 이어진다. 한권은 다 읽지 못했기 때문이고, 또 한권은 새로 구입해 비닐을 뜯지 않은 신상이다.
읽게될 지, 아니며 그냥 가방 안을 돌다가 다시 내려오게 될지는 모르지만 사람의 일처럼 책의 일도 그러하다. 찰라의 만남도 없다고 할 수 없으니 말이다.
선물을 챙기고, 서명 받을 책도 챙기고, 도록까지 챙기니 짐이 양손으로 버겁다 싶다. 하지만 내려올 짐이 아니라 해방될 짐이니 일단 참자고 한다.
<<내가 없는 쓰기>>는 막 오월 편에서 시작한다. 책가늠줄이 거기에 자리잡고 있다. 결혼식장에 가는 길. SRT열차가 가깝다고 안내하길래, 이십여분 남은 17번 플랫폼에서 읽다. 청량감이 도는 그늘은 얕은 바람도 있어, 읽히는 책은 스스로 빛을 뿜는 듯하다. 한 줄 한 줄 꼭꼭 씹어 읽히는 기분이다. 오월을 차곡차곡 밟고 있다니. 유월을 남겨둔다.
<<정적과 소음>>으로 갈아타기 직전, 열차가 들어오고 있다. 안전선 밖으로 한 걸음 물러나 ... ...
또 다른 오월을 읽어낸다. 어제를 훑어낸 짐가방은 그래도 견딜만 하고, 가방 속 에코백을 꺼내 들면 가볍다는 느낌이 와서 좋다.
<오월>이 한 주 남다. <오월>이 다 가기에 앞서 오월을 읽어내는 기분이 새롭다. 그렇게 올해도 어김없이 색다른 오월을 깡총거려본다.
피부란 시간이 투과하는 얇은 유리문이다. 시간뿐 아니다. 내가 알지 못하는 것들이, 선택하지 않은 것들이 나도 모르게 스며든다. 멀리서 들려오는 원인 모를 경보음에서부터 비 온 뒤의 습도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이 온종일 피부에 배어든다. 아침에 비어 있던 얼굴은 오후가 되면 온갖 기미들이 들어와 차곡차곡 쌓인다. 얼굴은 무거워진다. 이윽고 하루에 속하게 되고 원하든 원치 않든 그 안에서 움직인다. 하루가 얼굴을 점령한다. 나는 나의 의지와 무관하게 세계에 가담한다. 오후에 다시 - P107
갈수록 대기는 높아지고 촘촘해진다. 잎들의 색은 조금씩 진해지고 두꺼워진다. 온도가 한 단계씩 오르고 공기는 쉽게 젖고 마르기를 반복한다. 어떤 곳이 되었든 가기를 바라지 않고 나서지도 않았는데, 5월에는 날마다 어딘가에 도착해 있는 느낌이다. 내가 5월을 맞이하는 것이 아니라 5월이 나를 맞이하는 중이다. - P123
5월과 함께 걷는다. 뒤돌아보면 나무들이 두꺼운 잎을 달고 따라온다. 잎들이 부딪히는 소리도 난다. 그 찰랑거리는 소리 때문인지 5월에는 천천히 걷고 뒷걸음질치지 않는다 - P103
그늘을 본다. 모든 것이 그늘을 떨어뜨린다. 바닥으로 길게 떨어뜨린다. 떨어진 그늘이 흔들린다. 나뭇잎의 그늘이, 나무의 그늘이, 사람의 그늘이 흔들린다. 흔들리는 것을 본다. 흔들리다보면 이 그늘이 저 그늘이 된다. 자전거의 그늘이 내 그늘이 된다. 내 그늘이 없다. 다른 그늘 속으로 들어간 것이다. 그늘을 따라 걷는다. - P0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