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118 인간=역사, 나를 위한 역사공부
1. 강연 전 약간 시간이 남아 십여일전 보던 말과활 11호 서동진의 감정이론에 대한 글을 마저 읽다. 다음호를 마저 봐야겠지만, 혐오,수치심, 기쁨 같은 감정이론의 비판이라기보다는 강조하게 됨으로써 등한히 할 수 있는 구조_틀에 대한 보완 확장으로 읽혔다. 감성, 감정, 정동 등 일련의 이론 흐름이 뒤르켐의 자살론이 사회를 강한 뒷배경으로 말한 것처럼, 그 부분이 취약한 것이 아니냐고 되묻는다. 그리고 에릭 홉스봄과 달리 문화의 측면을 풍부하게 한 레이몬드 윌리엄스를 얘로 들면서 감정, 정서, 감성들의 구조적 영향을 차분히 환기시키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2. 오항녕교수의 호모히스토리쿠스 책은 읽지 않았지만, 강연준비문을 보면서 요지는 알 수 있었다. 강연할 때 강조 포인트가 무엇인지 더 궁금하였지만, 역사에 대한 접근방식에 대한 다시 질문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감성과 이성, 주관과 객관 등등 이분법은 현상을 제대로 파악조차하지 못한다. 결정적인 것은 부분에 국한하여 해석을 한정하게 되고, 전체성과 총체성을 놓친다는 것이다. 변증법적이지 못한 것이다. 역사라는 것이 뒤늦게 발명한 국사라는 이름으로 직선적인 발전관에 의해 예단될 수 없는 것이다. 대문자의 빅히스토리가 아니라 무수한 소문자 히스토리의 활력이 미치는 자장인 것이다. 그런면에서 오교수는 3가지의 축으로 설명해낸다. 구조.의지.우연이다. 구조는 틀, 이데올로기, 이념, 객관이라 볼 수 있겠다. 의지는 감성, 무수한 사람들의 감성, 주관이라고 할 수 있다. 우연역시 역사를 설명하는 주요요인이 된다. 교통사고처럼 목적이 다른 만남, 접속과 같은 같은 목적이지만 만나지 못하는 요소를 모두 변증법적으로 볼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관심을 섞고 안아 외연을 확장할 것을 요청한다.
3. 단적으로 사도세자에 대한 해석이 이덕일교수와 근본적으로 다르다. 조선의 힘 ,역사비평사,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 ,너머북스
4. 단선적이고 환원적인 역사관, 오리엔탈리즘의 사유로는 현실도 과거도 제대로 살필 수 없다. 하물며 미래를 예단하는 일은 더욱 오리무중일 것이다. 현실을 파악하는 우리의 조바심. 그 잠재된 선판단이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는 관성적인 이분법 잣대와 조급히 해석하고자 하는 단견의 누적때문이기도 하다. 전체를 총체적으로 보려는 노력. 그 누적은 조금씩 다른 시선의 재미를 주면서 자신을 변화시킨 자리에서 다시 보게한다. 이러한 관점은 현실을 파악하는 앎의 방식에 근본적인 질문을 다시 던지는 것이다. 일상의 기록도 그러할 것이며, 모임의 활동도 그러할 것이며, 삶의 활력도 그러할 것이다. 우리들의 앎의 방식과 태도에 문제를 근원적으로 제기해야 되는 것인지도 모른다.
5. 모든 분야로 번졌으면 좋겠다. 과학도 그 그릇안에만 두는 것이 아니라 사람, ㅅㅏㄹㅁ의 일상으로 사유를 번져냈을 때만 좀더 다른 그림을 일상적으로 그려내고 앞으로 다가올 위험들에 대한 다른 관점과 담론들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