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은 개인 봉사 활동으로 공립도서관 서가 정리를 하곤 한다.

이번 여름 방학에도 7시간을 채워야 해서 가까운 도서관에 미리 예약을 해 놨다.

봉사 첫날이다.

딸과 함께 자료 열람실로 갔다.


다른 사서가 보이지 않아 좀 연세가 있어 보이는 사서한테

" 봉사 활동 왔는데요" 라고 운을 뗐다.

좀 기다리라고 해서 기다렸다.

잠시 후, 봉사 활동 기록 대장을 보더니 딸을 오라고 하였다.

함께 자리를 이동하였다.

딸이 기록하는 동안, 사서가 뭔가를 물어보길래 딸이 대답을 안하자

내가 대답을 했더니 

" 엄마가 대답하지 말고, 아이가 대답하라"는 식으로 말을 툭 던졌다.

아 다르고 어 다른데 좀 기분이 나빴다.

" 고등학교 까지 엄마가 대답한다" 는 말까지 이어서 하였다.

좀 무안하고, 기분이 상했다. 마마걸을 길러내는 엄마로 보는 듯한 말투였다.

좀더 친절하고 상냥할 순 없을까!

" 어머니, 걱정 마시고 볼 일 보세요. 잘할 거예요 " 라고 말하면 얼마나 듣기 좋은가.


딸의 말을 들어봐도, 

공공도서관에 두루 다녀봐도

학교 도서관 사서를 봐도 사서가 매우 힘들게 일하고 있다는 것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종일 무거운 책을 들었다놨다 해야 하고,

대출업무 때문에 일일이 사람 상대해야 하는 등등

고충이 많다는 것 십분 이해한다.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봉사하러 오는 아이들이 책임감, 봉사심 없이 그저 시간 채우려고 오는데다

엄마들까지 함께와서 이런 저런 것을 물어보고 하니

귀찮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당하는 입장에서는 참 기분이 별로다.

지난 겨울에도 그랬는데 이번에도 또 그러니

이 도서관에 민원을 넣어야 하나 순간 부르르 했다.


백화점 같은 서비스는 바라지 않는다.

명색이 도서관인데 좀더 포근함이 느껴지면 좋겠다.

<코끼리 아줌마의 햇살 도서관>에 나온 사서까지는 아니더라도 말이다.

그래야 도서관에 더 자주 오고 싶은 마음이 들 것 같은데.

얼마 전 읽은 <도미노 구라파식 이층집>에도 남자 사서 한 명이 등장한다.

이 남자 사서는 몽주와 눈도 마주치고, 대화도 나누고,

몽주가 마술을 보여 줄 정도로 친분을 쌓기도 한다.

마지막 부분에는 몽주의 쓰러져가는 이층집의 인테리어를 도와주기까지 한다.

사람의 얼굴을 보지 않고 책, 컴퓨터, 바코드만 보는 사서였다면

몽주와의 그런 친밀함은 생기지 않았을 게다.

책에서 본 사서는 이렇게 사람에게 관심을 가지고, 눈을 마주치고, 상냥하게 웃어주는데

현실은....

내가 너무 이상주의자인가!
















다녀본 도서관에서 그래도 좀 친절하다 싶었던 분이 두 명 있다.

한 분은 도봉도서관 아동 코너에 있는 분으로 경상도 사투리를 심하게 쓰지만 참 친절하셨다.

나머지 한 분은 도봉도서관 종합 열람실에 있던 남자 사서로서 대출하는 분한테 일일이 인사를 하셔서 기억에 남는다.


딸이 봉사하러 간 도서관이 리모델링을 하여 지난 겨울과는 달리

시설은 많이 좋아졌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시설과 외관이 아무리 좋아져도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의 마인드가 달라지지 않는 한 그 곳을 다니는 사람은 별 변화를 느끼지 못한다.


얼마 전 딸과 함께 마을 버스를 타는데

마을버스 기사가 승객에게 일일이 인사를 하였다.

" 안녕히 가세요. 어서 오세요"

목이 아플텐데 매번 정류장마다 인사를 하는 것을 보고 감동받았다.

하차할 때 인사하고 내려야지 했는데 못 했다.

이런 분을 만나면 나도 모르게 기분이 좋아진다.


학교도, 도서관도, 주민센터도 기타 공공기관도 이 기사처럼 상냥한 분이 많아졌음 좋겠다.

굳이 그렇게까지 해야 하나 묵묵히 제 할일만 하면 되지 생각할 수 있겠지만

형식도 중요하단 생각이 든다. 

인상 잔뜩 쓴 얼굴보단 미소 띤 얼굴이 훨씬 좋지 않을까!

퉁명스런 말투보단 상냥한 말투가 서로 기분 좋지 않을까!


무슨 일을 하는 것보다 어떻게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마지 못해 그 일을 하는 사람보다

기꺼이 그 일을 즐기며 하는 사람을 만날 때

우린 더 행복하다.

한 사람의 친절과 미소가 도미노처럼 번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8-13 07: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8-13 11: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책읽는나무 2015-08-13 07: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공도서관에서도 친절한 사서님! 조용히 하라고 퉁박주는 사서님!
잔소리하시는 사서님! 참 다양하죠!
울애들은 아동열람실에서 떠들면 조용히 하라고 좀 큰소리로 말하는 남자사서가 계시는데 항상 무섭다고 그래요^^
아동열람실은 늘 시끌벅적 드나드는 사람이 많다보니 사서들이 더 예민한 듯하더이다 성인열람실로 자리이동이 있을시엔 같은 사람이 맞나?싶을 정도로 표정이 다르더라구요!

지인이 공공근로 신청으로 도서관 사서로 근무하길래 얘기도 듣고 한 번씩 지켜보았더니 여름방학때의 아동열람실은 정말 힘들어보이긴하더군요ㅜ

그래도 저도 님과 같은 생각이어요
도서관은 좀 달라야한다고 생각해요 사서의 자리는 돈을 벌기 위한 자리를 넘어서 책으로 연결해주는 자리이기에 도서관을 편하게 찾아오도록 하는 써비스? 업종에 가까운 자리라고 생각하거든요~~차마 지인한테 이렇게까진 말 못했는데 저도 도서관을 가면 한 번씩 사서들한테 불만이 많습니다^^
정말 친절한 사서님들까지 욕얻어먹게되니 참~~~~ㅜㅜ

저흰 더군다나 봉사활동 신청하려면 3개월이상 장기간 신청하는 학생들만 받더라는~~ㅜ
그래서 봉사활동 신청하는 학생들이 없어요ㅜ

수퍼남매맘 2015-08-13 12:11   좋아요 0 | URL
님의 말씀이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였어요.
˝사서의 자리는 돈을 벌기 위한 자리를 넘어서 책으로 연결해 주는 그런 자리˝라는 생각에 동의해요.
지금보다 좀더 친절하고, 상냥하게, 고객과 눈 마주치고 그랬으면 좋겠어요.
학교 도서관 사서도 자주 드나드는 아이에게 관심 가져주고, 이름 불러주고,
아이에게 맞는 책도 추천해 주고. 그러면 얼마나 좋을까요?

님 사는 그 곳은 아예 3개월 이상 장기 신청자만 봉사를 받는군요.
아마 사서가 일일이 설명하기 힘들고,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해 일의 효율이 떨어져서 그런 게 아닌가 싶네요.

어떤 직업이든 열심히 즐겁게 하는 사람이 있고,
무슨 일을 하든 퉁명스럽게 툴툴거리며 하는 사람이 있죠.
전자가 많아져야 서로가 기분 좋고, 더 웃고, 밝은 사회가 될 텐데....

저도 이 일을 계기로 더 친절해야겠다 다짐해 봅니다.

마녀고양이 2015-08-13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희딸은 기관 자원봉사 갔다가 노가다만 하고 왔어요. 심지어 간식과 물도 구청 사람들끼리만 실실거리며 먹더래요, 더운 날에!

수퍼남매맘 2015-08-13 11:53   좋아요 0 | URL
에궁! 따님이 더운 날에 물도 못 마시고, 많이 힘들었겠네요.
그 이야기 전해 들은 님 마음도 속상하시고요.

애들은 봉사하러 간 것이긴 하지만
거기서 일하는 모습 보고, 꿈을 키울 수도 있는 건데....
아름다운 모습 보기가 힘든 것 같아 참 안타깝네요.

책읽는나무 2015-08-13 13:58   좋아요 0 | URL
봉사활동도 전 불만이 많습니다ㅜ
오늘 아들녀석 여러차례 전화돌려도 퇴짜맞고 드뎌 한 군데 복지관에서 오라고 연락받고 지금 봉사하러 갔어요 그곳도 아마 열심히 쓸고 닦고 땀 빼는 곳일 것이라 생각하는데 이참에 봉사의 의미를 새기고 왔음 싶지만 아이들에게 물도 한 컵 주지않는 어른들은 야속하게 들리네요ㅜ
전 아예 마치고 올때 아이스크림이라도 사먹고 오라고 하긴했어요^^

아이들 봉사활동 귀찮아 우체국이며 읍사무소 보건소 민원사무실이며 죄다 할일이 없다는둥~자리가 찼다는둥~~핑계를 대는 모습 참 서글픕니다 그곳에 실제로 가보면 아이들 봉사활동 하는 모습을 못봤거든요

봉사활동이란 명칭이 수정되어야할 듯해요ㅜ

수퍼남매맘 2015-08-13 21:01   좋아요 0 | URL
봉사활동이 시작되던 해에는 학교에서도 봉사활동을 받았더랬죠.
그러더니 어느 순간 사라져 버리더라고요.
아마 님이 말씀하신 대로 아이들 봉사활동이 귀찮아서일 거라고 짐작하고 있어요.
학교에서는 개인 봉사활동시간을 채우라 하고-그것도 진로와 관련해서 하면 좋다고 하죠-
막상 봉사할 기관을 찾다보면 이런저런 일로 아이를 피하고...
그건 진로 체험도 마찬가지 상황이에요.
다양한 직업을 체험해야 하는데 아이들 오는 게 귀찮아서 피하는 경우가 다반사라고 들었어요.
뭔가 혁신이 필요하다고 저도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