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실에 새 책 700여 권이 들어왔다.

사서 선생님 혼자서 이 일을 하고 있다.

전에는 정독 도서관 학교 지원단팀이 나와서 바코드작업을 도와줬는데

몇 년 전부터 지원이 끊겼다.

다른 학교는 보통 명예교사 어머니들이 마무리 작업(라벨 작업)지원을 해 주기도 하는데

본교는 어머니들 지원을 일체 받지 않기 때문에

오롯이 사서 선생님 혼자서 이 많은 일을 담당하고 있다.

3일 도서실 문을 닫았지만 역부족이다.

침 맞아 가면서 일을 하고 계시다.

진짜 안스럽다.

책이 오죽 무거운가!

일이 많아 연일 7시에 퇴근한다고 하신다.

하여 교사 독서동아리 선생님들에게 금요일 오후 하루 지원을 가자고 쪽지를 날렸다.

나 포함 네 명이 도서실 가서 라벨 작업을 지원해 드렸다.

학교가 갈수록 더 바빠져 독서동아리도 이번에 처음 하게 되었지만

이 일을 도와드리는 게 의미 있겠다 싶었다.

 

두 명이 한 팀이 되어서

한 명은 분류번호를 붙이고 다른 한 명은 그 위에 투명 테이프를 붙였다.

대체로 800번 (문학작품)이 많았다.

가끔 000번 나올 때는 반가웠다.

처음에는 손이 익지 않아 엄청 작업이 천천히 진행되었는데

점점 속도가 붙어서

2시 30분-4시 40분까지 우리 넷이서 500권의 라벨 작업을 하였다.

작업 하면서 우리 모두 군침이 흘렀다.

모두 책 좋아하는 분들이라서.

" 와 ! 이 책 탐 난다" 소리가 났다.

작업하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주고 받으니 별로 힘든 줄 몰랐다.

200권 정도가 남았는데

그건 사서 선생님이 짬짬이 하셔야 한다.

당장 월요일부터 도서실 문을 열어야 하기 때문이다.

 

학부모 지원 안 받는 것 좋다. 나도 찬성이다.

그렇다면 다른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가령 도서실 열람 시간도 학부모가 시간 연장을 해 달라고 건의해서

30분 연장을 했다고 한다.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되었다. 작년 2학기부터 그렇게 됐다고 한다.

4시 30분에 마감하면 서가 정리할 시간이 부족하다. 10분 동안 어떻게 그 많은 책들을 정리하나?

사서 선생님은 당연히 퇴근 시간을 넘겨 작업을 해야 한다. 수당도 못 받고 말이다.

 

새 책 작업도 학부모 지원 없이 사서 선생님 혼자 하게 하려면 5일은 휴관을 해야 한다.

자세한 사정은 모르지만 1주일 휴관하면 학부모 항의가 들어올까 봐 3일로 한 것이 아닐까! 싶다.

이런 것이야말로 비정규직에 대한 부당 대우가 아닌가 싶다.

엄기호 교수의 <교사도 학교가 두렵다>를 보면

학교 현장에 비정규직들이 많아지면서

행정자들의 그들에 대한 부당한 대우와 과도한 노동력 착취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것 또한 그런 예가 아닌가 싶다.

행정자들은 비정규직의 인사권을 갖고 있기 때문에

비정규직들은 행정자들의 요구에 따를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행정자들은 비정규직들도

한 가족, 한 식구라고 하면서 정말 그런 대우를 해 주고 있는가 의문스럽다.

700권의 책을 혼자서 무슨 재주로

3일 만에 완료할 수 있단 말인가!

정독 도서관에서도 2분이 지원나와 꼬박 2일 동안, 컴퓨터 작업하고

나머지는 사서와 명예 교사 어머니들이 라벨 작업을 하곤 했었는데 말이다.

 

두 시간 반 정도 수다 떨며 작업할 때는 몰랐는데

집에 오니 졸음이 쏟아지고 여기저기가 쑤셨다.

오늘 아침에도 잘 못 일어날 정도였다.

내가 이러니 매일 무거운 책을 들었다 놨다 하는 사서 선생님은 오죽할까!

 

멀리서 보면 그 일에 대해 잘 모른다.

관심을 가지고 들여다 보면 조금 보인다. 뭐가 어려운지 뭐가 힘든지 말이다.

함께 작업한 특수반 선생님 일도

멀리서 볼 때는 아이들 넷 가르치는데 뭐가 힘들까 싶었지만

이야기 들어보니 넷이서 30명 몫을 한다고 한다.

알지 못한 채로 그까짓 게 뭐가 힘들다고?하는 것은 아닌 듯하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2014-04-19 19: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책 700권이란 얼마나 반가울까요.
그러나 그 책들을 입력하고 이것저것 하려면
참 고단하겠지요.

이런 일을 아이들이 거들면서
도서관 일을 배우면
한결 나을 텐데요.

수퍼남매맘 2014-04-20 08:41   좋아요 0 | URL
아이들이 봉사하는 방법도 있겠네요.
좋은 생각이예요.
6학년 여자 아이 정도는 꼼꼼하게 할 수 있을 거예요.

희망찬샘 2014-04-20 0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라벨 작업 다 해서 들어오지 않나요? 학교 장터에 올릴 때부터 그렇게 단서를 달고 올리라고 교육 하시던데요.
혼자서 그만큼 하시려면 정말이지 힘드실 것 같아요.
올해는 검수할 때 여러 사람이 함께 도와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업체는 책만 휙 던져주고 가는데, 그냥 꽂기만 해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한 권 한 권 살피면서 해야 할 것 같고, 그 때 저는 학부모 명예사서 어머님들의 도움을 받을 생각이에요. 봉사 시간 다 기록 해 드리고, 봉사를 위해 결성된 모임인지라 어머님께서 시간 되시면 도와 주실 것 같아요. 작업 마무리를 빨리 해야 하는데... 그 도서관은 엄청 빨리 하셨네요.

수퍼남매맘 2014-04-20 08:56   좋아요 0 | URL
라벨 붙여서 구매하면 단가가 올라간다고 하더라구요.
도서 구매는 제 담당이 아니라서....
본교는 도서실 명예 교사가 없어요.
묵묵히 혼자 하는 것 보니 딱했어요. ㅠㅠ
어머니들의 봉사 시간도 기록하는군요.

2014-04-20 09: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순오기 2014-04-21 0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지역은 라벨작업 다해서 들어와도 10~15% 할인 적용되는데요.
학부모 지원 안 받으면 관할구 자원봉사센터에 의뢰하면 봉사자 지원받을 수 있어요.
도서관쪽 봉사하는 분들은 업무를 잘 알기 때문에 수월할거에요.
다음엔 사서샘 혼자 고생하지 않게 방법을 찾아보시면 좋을 듯하네요.

2014-04-21 03: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수퍼남매맘 2014-04-21 17:32   좋아요 0 | URL
담당 교사와 사서 교사가 라벨지 붙여서 들여오면 아무래도 단가가 높아지고,
그러다 보면 구매할 수 있는 책 권수가 줄어드니
힘들어도 그렇게 해오셨나 보더라구요.
다음에는 돈을 더 주고, 권수가 줄어들더라도 대책을 강구해야 하지 않나 싶어요.
한 사람의 노동 강도가 너무 높아요.
자원봉사자도 한 번 알아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