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손맛이 그립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엄마 손맛이 그립다 - 사시사철 따스한 정성 담아 차려주던
김경남.김상영 지음 / 스타일북스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저자가 참 특이하다. 친정 어머니와 딸이 함께 만든 책이다. 딸이 요리 분야의 직업을 가지게 된 것도 분명 엄마의 요리 솜씨가 한 몫을 했을 거란 짐작이 든다. 내가 요리를 못 하는 이유는 우리 엄마 탓이 크다. 우리 엄마는 장사를 하느라 요리할 시간이 없었다. 장사하는 틈틈이 요리를 해서 식구들이 먹을 밥상을 마련해야 했기에 쉽고 간단한 요리들이 전부였다. 어려서부터 보고 배운 것이 거의 없으니 내가 요리를 잘할 턱이 있겠나!ㅋㅋㅋ 저자는 전업 주부이자 원래부터 손맛이 좋았던 어머니 밑에서 눈으로 보고 배운 것이 많았으리라. 내가 아는 영양사 선생님은 참 요리를 잘하고, 즐겨 하는데 얼마 전 연수를 같이 다니면서 본인의 딸(초6)이 요리한 음식 사진을 보여주었다. 초등학생이 나보다 요리를 더 잘하는 것이다. 장식도 이쁘게 하고 말이다. 그러니 모전여전이 분명 맞다. 영양사 샘 엄마가 요리를 잘하셨다고 하니 요리 재능이 외할머니, 엄마, 손녀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요리를 잘하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그 가족 중에 누군가가 요리를 잘하는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그에 반해 난 엄마한테 보고 배운 것이 거의 드물다. 결혼할 때도 거의 전수 받은 것이 없는 듯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끔 엄마가 어렸을 때 해 주던 음식들이 그리울 때가 있다. 특히 애호박 고추장 찌개, 갈치 조림, 봄동 김치, 달래 무침 등은 엄마를 그립게 하는 메뉴들이다. 이 책에도 이런 메뉴들이 등장하는데 그 사진을 보면서 엄마와 엄마 손맛이 그리워졌다.
처음에 김 재우기부터 시작되는데 엄마와 내가 유일하게 함께 작업했던 요리가 바로 김 재우기여서 정말 반가웠다. 지금은 조리된 김을 사서 먹는데(한 번도 아이들과 김을 함께 재운 적이 없다.급반성)어릴 때, 김 재우는 담당은 막내였던 나였다. 엄마가 솔에 기름을 묻혀서 김에 바르면 난 엄마 옆에서 소금을 솔솔 뿌렸다. 엄마가 김을 구울 때면 그 옆에 바짝 붙어서 시식을 하곤 하였다. 그 때 먹던 김이 최고였지.지금 우리 아이들은 엄마의 게으름 때문에 김 재우는 재미도 한 번 못 느껴봤구나 하는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이 책에서 가장 고맙게 얻은 아이디어는 바로 멸칫국물 만들기 비법이었다. 저자의 어머니께서는 양파 껍질과 대파 뿌리를 버리지 않고 깨끗이 씻어 냉동실에 보관한 후, 멸칫국물을 낼 때 이용하였다고 한다. 이 비법을 듣고 나서 나도 한 번 시도해 봤더니 음~ 국물 맛이 끝내준다. 일단 양파 껍질 때문에 국물 색깔이 빨갛다. 양파 껍질에 좋은 영양소가 있다고 하니 버리지 말고 꼭 한 번 시도해보길.....
이 책에서는 집에서 주로 해 먹었던 요리들 중에서 한 가지 재료로 다른 양념을 사용하여 만든 요리들이 한 컷에 나와 있어 편리했다. 예를 들어 깻잎을 가지고 만든 요리 두 가지, 오이를 가지고 만든 요리 두 가지가 나란히 나와 있어서 보는 사람이 굉장히 편리했다. 나는 오이를 주로 쌈장에 찍어 먹거나 오이 무침을 해서 먹는 편인데 오이 볶음이 바로 옆에 나와 있어서 다음에는 한 번 도전해 보려고 한다.
시금치 요리도 마찬가지이다. 시금치를 한꺼번에 데친 후 삼등분하여 각각 간장 양념, 소금 양념, 된장 양념한 요리들이 한 컷에 나와 있다. 난 주로 소금 양념하여 시금치 무침을 해 먹는데 다음에는 여기에서 가르쳐 준대로 삼등분하여 각각에 양념에 버무려봐야겠다. 어떻게 맛이 다를까 궁금하다. 나물 요리가 제일 귀찮기도 하고, 자신이 없는 분야인데 이 책에 여러 가지 팁들이 많이 나와 있어서 요긴하게 쓰겠다.
우리 애들은 솔직히 시금치보다는 콩나물을 좋아하는데 기존에 내가 알던 방법보다 아주 쉽고 간단한 방법이 나와 있어서 실제로 해 봤다. 보통 콩나물 데칠 때 뜨거운 물에 뚜껑을 닫고 데치는데 여기서는 물 2큰술에, 소금 약간을 넣고 5-6분 삶은 후, 뚜껑을 열고 콩나물을 뒤집어 준 후 삶아낸다. 직접 해 보니 조리 시간이 훨씬 단축되었다. 이번에 얻은 아주 유용한 비법이라고 할 수 있다.
1월말이 되니 김장 김치가 많이 시어졌다. 우리 아이들은 통통한 김치(새김치)를 좋아해서 이제 익은 김치를 처치할 일이 숙제로 남았다. 신 김치 처리로 가장 자주 해먹는 게 바로 김치 찌개가 아닐까 싶다. 그런데 김치 찌개가 쉬운 듯하면서도 맛 내기가 참 어렵다. 된장 찌개처럼 말이다. 여기에 나온 대로 해 먹어 보지 않았는데 오늘 저녁에 이 방식대로 한 번 해봐야겠다. 김치를 살짞 볶아야 단 맛이 우러난다는 이야기는 영양사 샘한테도 들었다. 그리고 멸칫국물을 넣던지 그게 아니면 멸치를 직접 넣어라는 이야기인데!그러고 보니 우리 엄마도 이런 식으로 김치 찌개를 해 주셨던 기억이 살포시 난다. 나 어릴 때는 조미료가 유행이라서 우리 엄마도 꼭 조미료를 넣었는데 엄마는 요즘도 국이나 찌개 요리할 때 조미료를 넣곤 하신다. 이 문제 때문에 다툰 적도 있다. 한 번 굳어진 습관은 잘 안 고쳐진다는 것을 엄마의 조미료 사랑을 보면서도 깨닫게 된다.ㅎㅎㅎ 그래도 가끔 엄마가 해 주시던 음식들이 기억나는 것은 그 음식에 담긴 엄마의 사랑과 추억이 생각나기 때문이 아닐까! 어제도 친정에 갔다가 밥 하기가 귀찮아서 엄마네 밥솥에 있던 밥을 몽땅 가져왔는데 엄마란 그런 존재인 듯하다. 나도 우리 딸에게 그런 엄마가 되어야 할텐데...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