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들이 배우자를 지칭할 때 흔히 쓰는 '와이프'란 용어가 난 싫다. 그 대신 아내라는 말을 자주 쓴다. 손윗사람이나 글에서 쓸 때는 '처'라는 말도 쓰곤 한다. '마누라'나 '집사람'이란 표현은 절대 안쓰려고 노력한다. 물론, '우리 아내가, 내 아내가' 라고 말하는 것이 어색하다는 것은 안다. 그리고, '고마워'라고 말하기 쑥쓰러울 때 '땡큐'라고 말하는 것이 훨씬 편한 것처럼 아내를 지칭할 때 '와이프'라고 하는 것이 덜 쑥스럽다는 것은 안다. 그렇지만 와이프란 용어로 내 아내를 표현하긴 싫다.
사무실 여직원들이 자신의 남편을 말할 때 '신랑'이라는 말을 쓰면 참 느낌이 좋다. 남편이란 말은 왠지 어감이 좋지 않다. '니 남편 간수나 잘 해~' '남편이 웬수지' 란 말이 막 떠올라서 그런가? 그렇지만 남편이 아내를 부를 때 '우리 신부가' 라고 말할 수는 없지 않나.. 옆지기란 말은 글쓸 때는 정감있지만, 일상적 대화를 할 때, 특히 이 용어를 모르는 사람들 앞에서 쓰기엔 적당치 않아 보인다.
내 아내는 얼마 전부터 긴치마를 입기를 좋아한다. 어렸을 때부터 다리 두꺼운 것이 컴플렉스가 되어 여지껏 치마란 것을 잘 입지 않았다. 오죽했으면 고등학교 진학할 때도 치마를 안입어도 되는 외고에 지원했을까? 대학생 때 사진을 봐도 치마 입고 찍은 것이 없다. 사회생활 하면서 내가 싫어하는 스타일의 청치마를 사더니 몇 번 입고 다니긴 했다. 그러나 짧은 치마는 엄두도 낼 수 없었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된 지금. 갑자기 긴 치마가 좋아졌나보다.
지난 2년이 넘는 동안 한 사람의 여성이기보다는 두 아이의 엄마로서 살아온 것이 사실이다. 임신 20개월 기간이 여성으로서 가장 축복받는 시기이긴 하지만, 자신을 꾸미기엔 힘이 드는 시기이고, 출산 후엔 달라진 자기 몸을 돌보기는 커녕 아이에게 온 정을 주느라 바쁠 수 밖에 없다.
아이를 키우느라, 그리고 바쁜 일을 맡아서 하느라 만신창이가 된 몸. 섬섬옥수같은 손은 습진이 걸려 갈라지고, 팔이 아파 아기를 드는 것도 힘이 든다는 아내. 내가 해줄 수 있는 것이라고는 '약 꾸준히 발라'라는 말과 그저 몇번 팔과 다리 주물러주는 것뿐.
이제는 자기를 챙기고 싶다는 아내. 빠듯한 살림이지만 아내가 옷을 사고 싶다고 할 때 거절할 명분은 전혀 없다. 그저 내 마음에 드는 이쁜 옷을 사기만을 바랄 뿐. 얼마 전에는 퇴근하는 나를 지하 상가 이쁜 옷집으로 이끈다. 자기 맘에 드는 치마가 있다며 나한테 허락을 받고 싶다는 거다. (어차피 자기 돈으로 사니 허락이란 단어가 어울리지 않지만..)
그렇게 해서 산 치마가 사진 속의 저 치마. 넉넉한 품의 치마가 요즘 좋단다. 사실 아내의 패션감각에 자주 좌절했던 나였는데, 그러고 보면 너무나 전형적인 여성 스타일의 옷을 입길 바랬던 것은 아닐까 반성한다.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 아내와 내가 맘속으로 그리고 있는 여성의 참된 스타일이란 것이 서로 일치하지 않았던 것이다. 안그래도 잔소리꾼이란 말을 많이 듣곤 하는데, 옷입는 것까지 참견하곤 했으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20024113136708.jpg)
오늘도 거리거리엔 휘황찬란, 형형색색의 패션들이 돌아다닌다. 비싼 옷이 때깔이 좋아 보이긴 하지만, 그리고 섹시한 차림에 눈이 돌아가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오늘 하루만큼은 나와 우리 아이를 생각하는 마음 씀씀이가 이쁜 아내의 옷차림, 특히 아이 둘을 감싸안을만큼 넉넉한 치마를 입은 모습이 내 눈엔 가장 멋있어 보인다. 수많은 인파의 인사동 거리에서 가장 눈에 띄었다고 하면 너무 편향적인가?
패션 리더는 아니지만, 그리고 외출할 때마다 나에게 코디를 조언할 만큼 색채감이 그리 뛰어나진 않지만, 이제 그는 자신의 스타일을 만들어갈 것이다. 아름다운 엄마인 아내에게 박수를 보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200241131367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