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희은 1991
신나라뮤직 / 2000년 1월
평점 :
품절


양희은은 이제 우리 대중음악사에서 빼놓기 힘들 정도로 거목이 되었다. 양희은의 맑은 음색과 넉넉한 성량과 곡을 소화하는 능력은 그 누구도 부인하기 힘들 정도로 최고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CF에 출연하여 노래를 부르거나 상품을 소개해도, 라디오 디제이로 아줌마 프로그램에서 수다를 떨어도, TV 토크쇼에서 예의 그 큰 웃음으로 소소한 일상을 재잘거려도 국민가수로서의 위상은 흔들리지 않는다.

그렇지만 양희은의 이미지는 노래 잘 부르는 가수에 머물지 진정한 아티스트로 평가받지는 못했다. 적어도 이 앨범이 나오기 전까지는...

본의 아니게 청년 문화의 기수로, 국민 저항음악 '아침이슬'을 부르는 가수로 자리매김했지만, 그에게 있어 김민기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위대한 존재였다. 김민기가 없었더라면 양희은도 없었다. 양희은은 김민기의 주옥같은 명곡들을 가장 멋지게 소화할 수 있는 최대의 무기였다.

난 가수와 아티스트의 차이는 그가 열정적으로 부른 노래의 제작과정에 얼마나 관여하는가의 차이가 아닐까 생각해보았다. 아무리 멋진 노래를 자기 것으로 소화해서 잘 부르더라도, 그 가수만을 위해서 만들어진 노래를 아름답게 부를지라도 자신의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작사나 작곡과 같은 제작과정에서 재능을 발휘하는 것을 말한다고 생각했다.

그동안 양희은이란 이름으로 나온 앨범만도 벌써 30여종이다. 그러나, 베스트 앨범이 이미 여러번 그의 디스코그라피에 중복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의 앨범의 족적은 뚜렷하지 않았다. 양희은은 1991 앨범에서 거의 전곡을 작사하면서, 그의 이야기를 세상에 들려준다. 김민기란 위대한 아티스트의 그늘에서 벗어나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그 전에도 천리길, 두리번거린다, 하얀 목련 등 자신의 목소리를 직접 작사작곡한 경우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앨범 전체적으로 아티스트적 면모를 띈 최초의 앨범이 아닐까 한다.

첫 곡 '그해 겨울'부터 어린왕자에서 모티브를 따온 '잠들기 바로 전'까지 두 곡을 제외하곤 그의 입으로 세상을 노래하고 사랑을 노래하고 삶을 이야기했다. 천혜의 그 목소리가 여기에 더해졌음은 물론이다.

물론 이 앨범에서는 이병우라는 걸출한 기타리스트이자 음악가가 있었기에 그 힘을 정확히 발휘할 수 있었다. 프로젝트 그룹 '어떤 날'에서 가요사에 빛나는 발자욱을 남겼던 그는 양희은과 함께 한 이 음반에서 그의 재능을 한껏 내비친다. 모든 곡에서 이병우 기타소리와 양희은의 목소리 외에는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자칫 지루하기 쉬운 조용한 레퍼토리를 쥐락 펴락하며 살려내는 것은 양희은의 노래 장악력이다. 그리고 보일 듯 말 듯 그의 기타는 뒤에서 노래를 어루만져 준다. 노래의 완성도는 말할 것도 없다.

사실 이 앨범에서는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란 노래 한곡만이 현재까지 사람들의 가슴속에, 그리고 입가에 남아 있다. 그러나, 이 노래도 그의 다른 앨범의 노래들과 섞여 베스트 앨범에서 소리를 내는 것보다 여덟 곡이 조화를 이루며 분위기를 이어가는 가운데 7번째로 조용히 우러나오는 것이 가장 어울린다.

이 앨범 이후로도 베스트 앨범과 기념앨범이 나왔지만 '내 나이 마흔 살에는', '저 하늘에 구름따라'와 같은 앨범들을 꾸준히 내며 자신의 목소리를 지켜간다.

그가 근래에 출연하는 공연에서는 제목에서부터 아줌마들을 겨냥한다. 아줌마를 위한 공연을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청중은 그 시절의 향수를 기억하러 모인 나이 많으신 아줌마들만이 되어서는 안된다. 그의 목소리는 전 세대에 걸쳐 설득력이 있다. 중후한 중년가수의 과거에 천착하지 않는 다양한 음악적 실험이 다채롭게 이루어지기를 소망해 본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4-10-05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양희은의 목소리와 노래는 전세대에 걸쳐 설득력이 있다는 말씀에 공감합니다.
오래전 자지러졌던 가수인데 요즘은 봐도 덤덤합니다.
그게 좀 슬퍼요. 세월이 흘러 무엇이 변한 건지......

엔리꼬 2004-10-07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저는 아직까지도 덤덤하지는 않아요... 좀 아쉬운 것은 있지만요..

icaru 2005-01-26 2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음반 저도 있습니다....있는 정도가 아니라...애장판..(애장테이프?)입죠..
요즘도 간혹 듣는답니다...
저는 가을아침만 듣고 앨범을 샀는데...듣다보니, 그리운 친구에게를 제일로 많이 흥얼흥얼하게 되더라고요~~!!!
이 앨범을 아시는 분을 그것도 꽉찬 별 다섯을 주신 분을 만나니 사뭇 반갑기 그지없어지네요 ^^
 
Sultans of Swing - The Very Best of Dire Straits
다이어 스트레이츠 (Dire Straits)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00년 1월
평점 :
품절


음악 관련 글의 첫 번째는 Dire Straits의 Brothers In Arms 앨범이 뽑혔다.

나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앨범이라 그런 것은 아니고(그럴 지도 모르지) 가장 최근에 다시 들었기 때문이다..

남양주에서 차를 타고 혼자 돌아오는 야밤, 차안에서 최대한으로 음악 크게 틀어놓고 들었다. 올림픽대로를 다이어 스트레이츠와 함께 하니 더이상 좋을 수 없었다.

일부러 차를 살 때 CD-player는 장착하지 않았다. 아직도 내겐 많이 남아 있는 주옥같은 레파토리의 tape가 있고, 이를 집에서는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차에서나마 듣기 위해서다.(아직 이 앨범의 CD는 못샀다는 뜻이다.)

이 앨범이 85년에 공개되었고 그 즈음에 샀기 때문에 거의 20년을 나와 함께 했다. 발매 20주년 기념 CD라도 사야할까보다.

20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나에게 이 앨범은 명반으로 기억되고 있으며, 그 세련된 음악 구성과 멋진 기타소리의 감흥은 아직 유효하다.

나나무스끄리를 비롯해 수많은 리메이크곡으로 만들어진 아름다운 노래 Why Worry?, 한껏 주가를 올렸던 신나는 노래들 Walk of Life, So far away. Sting의 옛 목소리를 시작부에서 들을 수 있고 크게 틀어야 제맛인 멋진 곡이자 빌보드 차트 가장 높이 올랐던 싱글 Money for Nothing. 섹소폰 소리가 찰싹 달라붙는 Your Latest Trick, 처음엔 나에게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점점 그 마력에 빠져드는 The Man Too Strong 등 한 곡도 빠질 수 없이 9곡이 기가 막히게 조화를 이루며 앨범을 완성한다.

이러한 앨범의 완성도야말로 BEST Album에 대해 색안경을 끼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 물론, '앨범사자'주의자들도 많은 부담에 베스트 앨범에 손이 가게 되지만, 10년 20년동안 만들어진 음악가들의 음악의 색채를 뭉뚱그려 베스트 앨범이란 한 장으로 만들고 이를 재단하고 판단한다는 것은 아무래도 그 뮤지션에 대한 결례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들게 하는 본보기의 앨범이 된다.

또한 한 곡만 신경쓰고 다른 곡은 대충 만들어 '들을 것이 없다', '앨범 살 필요 있나, 그 곡만 mp3 다운받아 들으면 돼' 라는 소리를 듣게 만드는 최근의 대다수의 국내 뮤지션들에게 반성하라는 메세지를 보낸다.

그나저나 어찌 첫 리뷰부터 이미지가 없는거지.. 그래서 아래 원본 이미지 올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