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아래 봄에 죽기를
기타모리 고 지음 / 피니스 아프리카에 출판
이 책이 눈에 띈 건 그야말로 내가 즐기는 우연의 선택에 의해서였다(고 말은 하지만 무의식의 요구가 있었겠지).
2주 전 도서관 새 책 코너에서, 나도 모르게 '꽃'과 '봄'과 '죽기를'에 이끌려.
이 소설집에는 여섯 개의 이야기가 하나의 이야기로, 나아가 더 많은 이야기로 모여있다.
저 위의 이미지는 표지가 어째 내가 갖고 있는 것과 조금 다른데 벚나무 한 그루는 똑 같다.
늙은 하이쿠 시인의 죽음을 필두로 갖가지 죽음이 나열되고 그것에 축을 두고 과거를 짚어나가는 젊은 여자(나나오)와
경우의 수를 모두 함께 추리하는 몇몇 사람들이 맥주바의 주인 '구도'라는 종잡을 수 없는 인물과
그가 만들어내는 최고의 음식을 중심으로 모인다. 추리소설이긴 하지만 잔인한 묘사가 나오지 않고 표지처럼
독특한 애상의 분위기가 낮게 읖조리듯 이어진다. 묘한 매력이 느껴지는 책이다.
기막힌 반전도 예상을 초월하여 나른하고 애잔한 인상을 남긴다. 이야기를 듣다보면
생의 비애와 함께 사람의 온기가 입안 가득 퍼지는 충만감을 동시에 느끼게 된다.
마치 난분분 날리는 꽃잎 아래 서있을 때처럼 그렇게.
상대의 말을 잘 들어주는 구도의 손으로 다양하게 소개되는 맛난 음식은 생의 비애를 달래주는데 한몫하는데
그런 작가의 손맛에도 혀에 침이 고인다.
특히 <마지막 거처>의 가지겨자졸임이라든가 <물고기의 교제>의 엔딩, 굴수프는 어떤 맛일까나.
중요한 건, 그 모든 추리와 상상과 망상이 한갖 타인의 말(생각)일 뿐이라는 점이다.
죽은 자는 말이 없고, 그 모든 말 되어지지 않은 것들과 보여지지 않은 것들의 비애와 진실이 갖는 가치는
어느 잣대로도, 어느 누구도 가늠할 수 없는 것이다. 죽은 자는 한 세상을 살다 갔고, 산 자는 남아서 또
하나마나한 이야기꽃을 피우고 시원한 맥주를 마시며 맛난 음식을 먹고 하루치 위안을 받으며 생을 이어가는 것이다.
죽으려고 한 곳에서 살고 싶은 욕망이 생기듯이. '마지막 거처'가 새로운 출발점이 될 수 있듯이.
더 중요한 건, 각자의 추리로 뱉는 하나마나한 것 같은 이야기들은 각자 생에게서 받고 싶은 위안과 닮아있고
허무한 삶이지만 사람의 외로움과 숭고함의 힘에 대한 강력한 믿음이 전반에 깔려 있다.
골동품과 민속학에 정통한 작가가 쓴 이 책에서 나는 12세기에 와카를 읊었던 가인 사이교 법사와
또 다른 하이쿠 시인 마사오카 시키를 알게 되었다.
원하건데 꽃 아래 봄에 죽기를
그 추운 음력 이월의 보름에 (사이교의 와카에서 제목도 따옴, 62쪽)
사이교가 읊은 또다른 시를 찾아봤다.
바람에 날려서 정처없이 사라지는 후지산의 연기처럼
내 생각도 정처없이 흩어지는구나
마지막 장 <물고기의 교제>에 나오는 마사오카 시키는 19세기 후반에 살았던 시인, 수필가, 평론가로
전통 하이쿠와 단가를 되살렸다. 나쓰메 소세키의 친우였기도 한 그의 시비가 우에노 공원에 있고 기념관도 있다니.
"고모는 왠지 마사오카 시키에게 자신을 이입시켰던 것 같습니다."
"시키요?"
시키가 사실파 하이쿠 작품을 확립한 메이지 시대의 거장이라는 것 정도는 나나오도 알고 있었다.
시키는 결핵성척추염으로 하반신을 잃고 작은 방석 하나를 자신의 세계에 비유해 <병상육척>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그 모습이 사에키 기누에의 세계와 꼭 닮았다.
"이지마 씨, 시키의 <앙와만록>에 대해 아십니까?"
"아니요, 부끄럽지만 공부가 부족해서."
"그런 뜻이 아니었습니다. 그가 죽기 전해부터 쓰기 시작한 습작 노트 같은 것입니다. 날마다 무엇을 먹었는지,
누가 왔는지, 병의 고통에 대해, 그리고 지저분한 이야기지만 배변의 유무에 이르기까지, 때로는 그림과 창작을
섞어 가면서 의식이 없어지기 직전까지 썼던 기록이죠."
(꽃 아래 봄에 죽기를, 205-206p)
마사오카 시키의 다른 시를 찾다가 그가 쓴 '사후'라는 글의 일부를 읽게 되었다.
거의 평생을 병석에서 사는 사람의 놀라운 초연함이 죽음을 객관적으로 보게 한다. 그거 농담이야, 뭐 이러는 것처럼.
죽음을 객관적으로 보면 약간은 덧없고 슬프기도 하지만 우스꽝스러워서 미소 짓게 된다고.
눈 / 마사오카 시키
몇 번씩이나
쌓인 눈의 높이를
물어보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