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돌이님이 전태일 열사 반신상을 페이퍼로 올리신 걸 보니 생각나는 하루가 있다.
바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영화를 보러 갔던 날.
1995년 11월 개봉, 딱 10년 전이다.
박광수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세미 다큐멘터리 형식의 영화 제작비는 한푼 두푼
국민들의 기금을 모아 만들어졌다.
전태일 열사의 열렬한 팬으로서 나도 얼마간 정성껏 냈다.
박광수 감독이 이 영화를 만든다고 해서 실망했던 기억이 난다.
이상하게 나는 그의 영화들이 별로였다.
아무튼 영화사에서 초대권을 두 장 보내주어서 그때 연애도 아닌 것이 묘한 관계로 만나던
몇 살 연하의 시인이랑 강남의 극장에 갔다.
엔딩 크레딧에 기금을 낸 사람들의 이름이 끝도 없이 올라가고 있었다.
영화보다 그것이 감동적이어서 눈시울이 붉어졌다.
세상에나, 전태일 열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렇게나 많다니!
<가슴에 돋은 칼로 슬픔을 자르고>를 만든 홍기선 감독이 이 영화를 만들었으면 더 좋았겠다고
생각할 정도로 미련과 아쉬움이 남는 영화였다.
박광수 감독은 그 뒤 <씨네21>과의 인터뷰에서 말 실수를 하여 완전히 내 눈밖에 났다.
부산 출신인데 자신이 나온 고등학교를 '똥통학교' 라고 표현한 것이다.
그 고등학교 출신 중에 한동안 내가 짝사랑했던 남자가 있었던 것.
극장 로비에서 시인이 내심 라이벌로 여기고 있는 소설가를 만났다.
이름에 '응'자가 들어가는 그 젊은 소설가는 나와 시인을 보자 어리둥절한 눈치였다.
소설가 '응'과도 나는 안면이 있었던 것.
그날, 부산의 내 도서관 친구가 예술의 전당에 공연을 보러 오기로 되어 있어 우리는 함께 어울리기로 했다.
내 친구는 자기가 좋아하는 소설가랑 한창 이름을 날리고 있는 시인을 대동하고 약속장소에 나타나자
너무나 즐거워했다.
나도 그 상황이 즐거웠다.
노래방에서 쾌감(!)은 극에 달했다.
나의 베스트 프렌드와 두 미남자가 나의 노래를 듣고 있으니 그야말로 열창을 할 수밖에......
시인은 '사랑한 후에'를 멋들어지게 불렀고, 소설가도 노래 솜씨가 보통이 아니었다.
그날 저녁, 술, 노래방.....유흥비는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냈다.
그들과 헤어져 친구와 집으로 돌아올 때 조금 깨는 기분이었다.
아무리 가난한 문인들이기로 처음부터 끝까지 얻어먹기만 하다니!
아무리 우리가 노처녀기로!
물론 그런 말은 입밖에도 내지 않았다.
즐겁게 놀았으니 그것으로 된 것 아닌가.
정말 아까운 건 따로 있다.
그날 내 가방 속에 이윤기의 <하늘의 문> 1권이 들어있었는데 소설가 응에게 빌려준 것이다.
절판이라 구할 수도 없는 책이니 두고두고 생각나는 건 당연한 일이고.
응은 꽤나 재밌는 소설을 쓰는 작가로 기억되었는데 이젠 '내 책을 빌려가서 안 갚은 놈!'으로
전락해 버렸다.
그 시인은 '우디 알렌의 <범죄와 비행> 비디오테이프를 빌려가 안 갚은 놈!'과
멋들어진 필체의 편지 한 통으로만 남아 있고.
아무튼 전태일 영화 개봉일은 내 인생에서 제일 흥청망청했던 날로 영원히 기억에 남을 것이다.
전태일 열사에겐 정말 미안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