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가 늘어지게 자고 일어나 오물오물 사료를 먹는 모습을
찍은 동영상을 가족 카톡 방에 올렸다.
일주일에 두세 번은 하는 짓이다 보니 오늘은 조금 기교를 가미했다.
소파 뒤편의 화분들과 아파트 단지가 내려다보이는 창밖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슬쩍 훑은 것.
뿌연 유리창으로 걸러진 12월 1일의 볕이 몽환적으로 느껴졌다.
'잘 먹네!'
흐뭇한 남편의 답글에,
'현란한 카메라워크는 어떻고?'
물었다.
'그렇게 현란한지는 잘...'
얼버무린 답.
'한낮의 어둠과 여명을 예술적으로 표현했더니만...'
가만 생각해 보니 '한낮의 어둠'은 <한낮의 우울>과 <보이는 어둠>
두 책의 제목이 내 머릿속에서 합성된 것이었다.
몇 달 전 홍상수 감독의 신작 <도망친 여자>를 오랜만에 극장에서 보았다.
김민희가 찾아가 하룻밤 자고 오는 선배의 방 책꽂이에 <한낮의 우울>이 있었다.
(영화든 다큐든 인터뷰 장면이든, 남의 책꽂이를 미친듯이 훔쳐보는 버릇은
지금도 여전하다.)
책정리를 시작한 지 벌써 몇 개월이 지났는데 좀처럼 진도가 나가지 않는 건
닦은 책들을 펼쳐보고 밑줄을 찾아 읽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
즐겁고도 피곤한 노동이다!
앤드류 솔로몬의 <한낮의 우울>과 윌리엄 스타이런의 <보이는 어둠>은
최근 나란히 정리를 마쳤다.
<보이는 어둠>에서 요즘 하루 두세 편씩 읽고 있는 이탈리아 시인
케자레 파베세에 대한 밑줄을 발견하고 얼마나 반가웠는지!
'그는 세상을 떠나면서 이렇게 적어놓았다.
- 말은 더이상 필요없어. 행동이 있을 뿐. 나는 두 번 다시 쓰지 않으리.'
젊은 날의 최승자 시인이 벽에 붙여놓고 보았던 사진이
마야코프스키와 로르카.
그들을 호명한 후 그녀는 한 산문에서 내가 모르는 시인 파베세에 대해 이렇게 덧붙였다.
'나는 파베제를 생각한다. 산다는 이 일, 산다는 이 수수께끼로
물불 안 가리고 괴로워했던 그를.'
(최승자 산문집 <한 게으른 시인의 이야기> 중에서.)
이탈리아인이 가장 사랑하는 시인이라는 파베세는 1935년 20대 중반에
반파시스트 활동 가담 죄로 유배생활을 하며 글을 쓰기 시작,
8년 뒤 이 시집을 냈다.
나는 공장과 건축 공사장과 술취한 정비공과 과부와 세상에 실망한 노인 들이 나오는
삶의 허무와 피로가 짙게 드리운 그의 시들이 좋아서
하루에 몇 편씩 아껴가며 읽고 있다
언젠가 노인은 풀밭에 앉아 아들을
기다렸고, 닭 모가지를 제대로 비틀지 못한
아들의 뺨을 후려갈겼다.
(...) 노인은 설명했다.
닭 모가지는 손가락 사이에서 엄지손톱으로
소리 없이 조르는 것이라고.
(...) 들판에 있는 것들은 모두
필요한 사람의 것이라고 노인은 말했다.
(시 '세월은 흐르고', 시집 <피곤한 노동>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