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하련 전집
지하련 지음, 서정자 엮음 / 푸른사상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 때부터 왠지 내가 인생에서 제일 경계했던 것이 '허위의식'과 '허영심'이었다.
세상에는 하고많은 악덕들이 있을 텐데 하필이면 왜 그런 걸 골라들었는지.
덕분에 나는 남 눈치뿐만 아니라 자신의 스쳐지나가는 마음까지 감시하느라
인생을 아주 건전하고 재미없이 살았다.
사소한 예를 하나 들어보자.
2년 정도 꽤 마음을 붙이고 글을 올렸던 모 인터넷 신문 때문에
기자시사회에 참석해 달라는 초대장도 메일로 엄청나게 받았지만
맨 처음 딱 한 번('질투는 나의 힘') 가보고는 그만이었다.
잔뜩 부푼 그 시사회장의 분위기가 어색했고, 도무지 영화에 몰입할 수가 없었다.
개봉된 화제작을 두고 경쟁적으로 빨리 기사를 올리는 그곳 시민기자들의 분위기도
영 마뜩찮았다.
어쩌면 이 또한 또다른 종류의 허위의식과 허영심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얼핏했다.
하지만 '내 입맛대로'를 고수하는 것까지 구박하고 의심한다면
도대체 어떤 얼굴로 살아야 할까.
십몇 년 전 회사 서고에서 지하련의 어떤 글을 자료정리 중에 읽고 마음을 빼앗겼다.
허위의식에 직격탄을 날리는 구절이라고 생각했다.
--정예는 제 말대로 흉악할지는 모른다. 그러나 거지는 아니다.
허다한 여자가 한껏 비굴함으로 겨우 흉악한 것을 면하는 거라면
여자란 영원히 아름답지 말란 법일까?(<지하련 전집> '가을' 중 62쪽)
정예라는 여자는 아내의 제일 친한 친구로 소설 속 주인공에게 추파를 던져오는 여인이다.
아내는 그녀와 달리 너무 현숙해서 이혼을 하고 연애 소문이 많은 친구임에도
자신의 남편을 소개하고 둘이 만나자는 편지를 보내왔다는 말을 듣고도 친구를 믿어준다.
그의 소설에서 내가 빨려들었던 건 그렇고 저런 스토리의 전개가 아니라
멋을 부리지 않고 불쑥 던지는데 무엇인가를 관통하는 표현이었다.
사람 사는 일이 얼마나 지랄맞은지 나름대로 온갖 자구책을 강구하고 폼을 잡고 살아도
스스로를 "거지같다"고 여기는 순간이 얼마나 많은가.
"비굴함"으로 간신히 자신이 두려워하는 "흉악"을 면하는 정도의 삶을 산다는 기분.
다음과 같은 아무렇지 않은 구절도 왠지 나를 소스라치게 했다.
--안해(아내)란 훨씬 늙고 파렴치한 겁니다.('산길' 102쪽)
지하련의 단편소설은 소설로서의 형식적인 완성도를 떠나서
인간의 허위의식과 위선을 비틀고 통렬하게 자조한다는 점에서
일찌기 보지 못했던 아주 독자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지하련이라는 자신의 필명보다는 '임화의 부인 이현욱'으로 원고를 청탁받고
수필이니 편지니 쪼가리 글을 발표하다가, 여섯 편의 단편을 <도정>이라는 창작집에 묶고,
임화의 뒤를 따라 1년 뒤 월북하여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치기는커녕
남편의 몰락과 죽음을 겪어야 했던 그의 신산한 삶.
절친한 친구로 알려졌던 최정희의 소설 <인맥>은 지하련이 등단하지 않았을 때
찾아와 자신의 처지를 하소연하는 이야기를 듣고 밤새 써내려간 것이라고 한다.
<인맥>으로 지하련과 최정희는 서먹서먹한 관계가 되고, 전혀 다른 시점에서 전개되는
세 편의 단편 '가을' '결별' 그리고 '산길'을 완성한다.
오래 전 <인맥>을 읽고 뭔가 편치 않은 기분을 느꼈는데, 이렇게 해서 의문이 풀어지고...
총명하고 예민한데 어딘지 불안정해 세상 살아가기가 영 어색한 지하련 소설의 주인공들이
자조하듯 내뱉는 말이나 일촉즉발의 날이 선 대화는 이상하게 나에게 카타르시스를 안겨 주었다.
첫 작품 '도정道程'에는 사상범으로 6년을 살고 나와 헤매이는 중 친구들의 종용으로
마지못해 공산당 사무실을 찾았다가 '동무'라는 호칭에 멀미를 느끼면서도
마지못해 입당 수속을 밟는 청년이 나온다.
"계급"란에 자신을 비웃듯 "소뿌르조아"라고 쓰고 도망치듯 나오는데......
인간의 허위와 기만을, 작중 인물의 입을 통해 까발렸던 이 예민한 작가에게,
사랑과 사상은 과연 일생을 통해 어떤 의미였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