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하나의 프로젝트가 종료되자마자 다른 프로젝트로 투입되는 경우(이렇게 연속적으로 3번정도 투입되면 사람이 맛이 갑니다 저처럼 ㅡ.ㅡ;)도 다반사지만 지금의 저처럼 투입때까지 길면 2-3주 잛으면 1-2주의 시간적 여유가 생기곤 합니다.

지금 그런 여유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애기하고도 좀 놀아주고 주중에는 일찍 퇴근하며 마눌님과 외식도하며 지난 지방 프로젝트기간동안 못했던 아부(^.^;)를 하면서 이래 저래 저녁시간과 주말에는 가족과 보내는 시간으로 대부분 채우고 있습니다.사실 이런 것도 생활에 힘을 충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다음 프로젝트를 준비하기 위한 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출근하여 다음 프로젝트에 필요한 원가회계와 ABC관련 서적을 읽고 프로젝트에 적용할 방식을 고민하는거지요.물론 제가 경영컨설턴트도 아니고 그럴 능력도 없지만 이제 BI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대안 제시와 컨설팅 능력을 배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상은 무한경쟁시대이고 전산은 더더욱 치열한 것 같습니다.더불어 전산인의 자기계발도 버거울 정도로 공을 들여야 하는 시기이기에 조금 쉬는 시간에 다시 지적인 힘을 충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에 따라 생활리듬을 맞추는 것,이 것 또한 전산인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생각드는군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벌식자판 2004-03-30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기요... 북두성님...
보통 프로젝트를 하나 시작해서 완료하기 까지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나요
그냥 궁금해서 말이죠...

북두성 2004-03-30 1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roject의 성격에 따라 다양합니다.그래도 제 경험을 정리해보면
SI의 경우 일반적으로 중장기 프로젝트가 많은 편입니다.기본 4개월 이상에 큰 프로젝트들의 경우 1년을 넘기는 것들도 많습니다.
Package개발의 경우는 시간이 유동적입니다.기본적으로 장기간(6개월 이상)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더 짧은 경우도 있고 훨씬 더 긴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하고 있는 BI쪽은 최장 4개월정도이고 보통 2개월이 평균적으로 진행하는 기간입니다.
물론 전체 Project로는 1년이 넘는 경우도 있지만 각각의 담당영역에 따라 개발하기에 제가 담당하는 시간은 짧은 편이지요.
DW쪽은 대부분 6개월 이상의 장기가 많습니다.1년짜리들도 많구요.
제 경험상 설명을 하였는데 이게 정답은 아닙니다.프로젝트라는게 워낙 다양해서요^^;

북두성 2004-03-30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참 추가적으로 제가 말한 것은 Web개발이 아닌 C/S개발기준입니다.일반적으로 Web의 경우도 C/S와 비슷한 시간을 고려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더 짧은 시간과 더 적은 공수를 할당하는 잘못된 관행이 Web개발자들을 벼랑끝으로 몰고 있는 상황이더군요ㅡ.ㅡ;

세벌식자판 2004-03-30 2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 (__) (^^)
 

예상한대로 국민의 의지와 상관없이 오로지 썩은 몸뚱아리들의 생명연장을 위해 탄핵안이 통과되었습니다.80년 5월의 피가 아직도 가슴에 흐르는 데 또 한번의 쿠데타가 발생하였습니다.적어도 최소한의 반대표는 나오겠지 하는 희망도 무너졌습니다.

그 들은 광주의 피를 손에 쳐바른 자들과 자신의 살로 치부한 자들의 연합이며 피로 물든 자신들의 썩은 몸을 유지하기 위해 국민들 위에 군림하기 위해 날뛰는 악마들 일뿐입니다.

이제 싸우러 갈겁니다.

80년 광주의 피눈물을 가슴에 안고 달리던 거리에서 두손에 들었던 화염병이 10여년이 지난 지금도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줄은 몰랐습니다.하지만 누군가 손에 쥐어준다면 전경이 아난 그 들을 향해 반드시 던지겠습니다.동생들인 전경이 아닌 그 악마들에게 꼭 국민의 분노의 불길을 던져주고 싶습니다.

이제 피눈물 흘리며 싸우러 갑니다.

정책이 맘에 안들어 행태가 맘에 안들어 남들과 같이 비판하고 등돌리며 욕하던 제 모습을 뒤로하고 대통령을 지켜야 겠습니다.적어도 쿠데타 세력에게 이 나라를 넘겨주어 이 나라를 또 다시 악의 구렁텅이로 넘길수는 없습니다.

그들이 사라질때까지 싸울겁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누아 2004-03-12 1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가 되어야 싸움을 불러 일으키는 저들이 사라질까요? 다음달엔 꼭 되겠죠?

두 꼬마 2004-03-13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쓰레기 분리수거 철저히 합시다...
우리의 환경을 위해서...
4.15는 쓰레기 분리수거의 날!!!
 

쿠데타의 후예들과 광주항쟁을 팔아 치부하던 인간들이 드디어 한마음,한몸으로 합쳐서 탄핵을 명분으로 한 신종 쿠데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조갑제와 조선일보가 그리도 외치던 쿠데타였기에 쿠데타의 후예들인 한나라당이 진행하는 것은 이해라도 됩니다.하지만 광주를 알고 그 들의 한을 대변한다던 민주당이 한나라당과 야합하는 것은 이해의 문제가 아니라 살의를 느낄 정도입니다.

그들이 무슨 자격으로 어떤 도덕성으로 한나라당과 손을 잡고 동침을 하는지 정말 너무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군요...정말 세상을 살면서 살의를 느끼는 적은 있었지만 이번에는 정말 실행하고 싶은 생각이 들고 해결되지 않는 분노에 온 몸이 부들부들 떨리는군요...

이 사회에 정의가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그 들의 더러운 얼굴들을 더 이상 보지 않기 위해서라도 대선때의 마음가짐으로 실천해야 할 때인것 같습니다.

한민당 너희들의 추악함이 나 같은 노대통령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 마저도 다시 불러낸다는 것을 알기를 바란다.

절대 너희들을 용서할수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찌리릿 2004-03-11 15: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하루 일이 손에 잡히질 않는군요. 눈치 보며... 프레시안이랑 서프라이즈, 오마이뉴스만 들락날락...
정말로, 어처구니가 없음과 분노가 치밀어오름을 느낍니다. 도대체 한줌도 안되는 한민당 구케우원들이 썩은 법리적 권한으로 신성한 공화국을 짓밟다니..
오늘은 시간 내어 여의도로 가서 소리라도 한번 지르고 와야겠습니다. 만에하나 탄핵안이 가결된다면... 어찌해야할지.. 생각도 안나는군요. ㅠ.ㅠ

북두성 2004-03-11 17: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구미입니다만 탄핵안이 통과되면 바로 정리하고 서울로 올라갈 생각입니다.
아무리 먹고사는것이 중요하다고 하지만 나라가 망하는 것을 보고 있을수는 없군요...
억장이 무너지는 기분입니다.
 

길었던 4달간의 지방프로젝트가 지난주에 종료되었습니다.하지만 서버이전작업을 지원하느라 이번주에 다시 내려와 있어 실제로는 이번주에 마무리 될것 같습니다.

전체 프로젝트가 최종 완료될라면 1달의 기간이 남아 있기는 하지만 제가 담당한 부분은 서울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몇가지 사소한 변경사항을 제외하고는 마무리 되었기에 이번주 서버이전작업만 마무리되면 최종 종료되고 전 다시 다른 프로젝트로 들어가게되겠지요^.^;

초반의 몇가지 부분을 제외하고는 무난하게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결과도 무난하게 나온 사항이라 나중에 뒷통수(ㅡ.ㅡㅋ)를 치는 에러만 안나온다면 검수도 무난할 것 같습니다.이렇게 무난한 프로젝트는 정말 오랜만에 해본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작년에 해본 경험이 있어 미리 준비를 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인것 같습니다.작년의 오류점과 고생한 부분을 알고 있기에 미리 그 부분에 대한 준비와 로직을 확정한 것이 후반부로 갈수록 편해진 원인인것 같습니다.

준비된 프로젝트는 후반부가 강하다라는 것을 실감하게 해준 이번 프로젝트 지방이라는 핸디캡이 있었지만 나름대로 좋은 기억으로 남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름대로 알라딘에서 보낸 세월도 몇년이 되는 것 같습니다.최초는 아니지만 그래도 성장과정을 같이 보내온 고객(?)의 입장에서 알라딘이 변화하는 모습을 긍정적으로 보아 왔지만 이번 마이리뷰와 관련된 변화는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이리뷰를 볼 수 있는 것이 하나의 View에 5개로 고정되면서 제가 쓴 리뷰조차 찾아보기가 힘들어 졌더군요... 예전에 100개 단위까지 볼 수 있었을 때는 제가 쓴 리뷰들을 흩어볼때나 다른 분의서재에 가서 그 분의 독서이력을 살펴볼때도 한 눈에볼 수 있어 유용했는데 이제는 불가능해진 상태입니다.

왜 이런 변화가 생긴걸까하고 생각하다가 결국 서재를 블로그로 바꾸는 과정에서 나온 악수의 연장이라는 생각이들었습니다.

서재가 블로그적인 성격이 너무 강해지면서 알라딘을 지탱하는 가장 큰 축인 독자서평(마이리뷰)이 부가사항으로 밀려나는 악수가 계속되다가 결국 마이리뷰를 억지로 마이페이퍼 형식에 끼워넣다보니 지금과 같은 상황이 기술적으로(100개의 Text Box에 거기다 이미지에 코멘트까지 뜨게하는 것이 가능은 하겠지만 그렇게 만들어진 화면을 보려는 분들 그 로딩 시간과 화면스크롤의 압박에 짜증 엄청나겠지요 ㅡ.ㅡㅋ)발생한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물론 기술적인 문제를 지적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제가 생각하는 것은 마이리뷰가 주축이된  서재가 기본이 아닌가 하는 문제 의식입니다.인터넷 서점에서 서재를 만드는 것은 책에 대한 공통관심사를 기반으로 그리고 마이리뷰를 중심으로 해야한다고 저는 생각하는데 지금의 변화방향은 조금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인터넷 서점에서 만들어진 서재에서 기본을 이용하는 것 자체가 불편해진다면 이 변화를 취소하거나 아니면 기본을 지키도록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기술과 환경이 편해지는 것 좋은 일입니다.하지만 서점의 기본,서재의 기본이 흔들리는 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이러한 부분에 대한 운영자들의 마인드의 변화가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달팽이 2004-03-16 1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합니다....

marine 2004-08-05 12: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적극 동의
리뷰가 중심이 되야 하는데, 블로그 형식으로 바뀐 뒤 스크롤의 압박 때문에 서평자들의 감상문을 제대로 읽을 수가 없어요
예스 24처럼 서평과 블로그를 분리해 줬음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