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하나의 프로젝트가 종료되자마자 다른 프로젝트로 투입되는 경우(이렇게 연속적으로 3번정도 투입되면 사람이 맛이 갑니다 저처럼 ㅡ.ㅡ;)도 다반사지만 지금의 저처럼 투입때까지 길면 2-3주 잛으면 1-2주의 시간적 여유가 생기곤 합니다.

지금 그런 여유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주말에는 애기하고도 좀 놀아주고 주중에는 일찍 퇴근하며 마눌님과 외식도하며 지난 지방 프로젝트기간동안 못했던 아부(^.^;)를 하면서 이래 저래 저녁시간과 주말에는 가족과 보내는 시간으로 대부분 채우고 있습니다.사실 이런 것도 생활에 힘을 충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다음 프로젝트를 준비하기 위한 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회사에 출근하여 다음 프로젝트에 필요한 원가회계와 ABC관련 서적을 읽고 프로젝트에 적용할 방식을 고민하는거지요.물론 제가 경영컨설턴트도 아니고 그럴 능력도 없지만 이제 BI 업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느정도의 대안 제시와 컨설팅 능력을 배양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세상은 무한경쟁시대이고 전산은 더더욱 치열한 것 같습니다.더불어 전산인의 자기계발도 버거울 정도로 공을 들여야 하는 시기이기에 조금 쉬는 시간에 다시 지적인 힘을 충전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프로젝트에 따라 생활리듬을 맞추는 것,이 것 또한 전산인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생각드는군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벌식자판 2004-03-30 0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기요... 북두성님...
보통 프로젝트를 하나 시작해서 완료하기 까지 시간이 어느정도 걸리나요
그냥 궁금해서 말이죠...

북두성 2004-03-30 1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Project의 성격에 따라 다양합니다.그래도 제 경험을 정리해보면
SI의 경우 일반적으로 중장기 프로젝트가 많은 편입니다.기본 4개월 이상에 큰 프로젝트들의 경우 1년을 넘기는 것들도 많습니다.
Package개발의 경우는 시간이 유동적입니다.기본적으로 장기간(6개월 이상)이 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더 짧은 경우도 있고 훨씬 더 긴 경우도 있습니다.
제가 하고 있는 BI쪽은 최장 4개월정도이고 보통 2개월이 평균적으로 진행하는 기간입니다.
물론 전체 Project로는 1년이 넘는 경우도 있지만 각각의 담당영역에 따라 개발하기에 제가 담당하는 시간은 짧은 편이지요.
DW쪽은 대부분 6개월 이상의 장기가 많습니다.1년짜리들도 많구요.
제 경험상 설명을 하였는데 이게 정답은 아닙니다.프로젝트라는게 워낙 다양해서요^^;

북두성 2004-03-30 1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참 추가적으로 제가 말한 것은 Web개발이 아닌 C/S개발기준입니다.일반적으로 Web의 경우도 C/S와 비슷한 시간을 고려해야함에도 불구하고 더 짧은 시간과 더 적은 공수를 할당하는 잘못된 관행이 Web개발자들을 벼랑끝으로 몰고 있는 상황이더군요ㅡ.ㅡ;

세벌식자판 2004-03-30 2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렇군요... 말씀 감사합니다... (^^) (_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