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고장난명(孤掌難鳴)

: 손바닥 하나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손바닥으로 소리를 내려면 두 손바닥을 마주쳐야 한다.

혼자 힘으로 일을 해내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한다.

 

() 외로울 고

외롭다, 홀로, 외따로, 고아

 

() 손바닥 장

손바닥, 발바닥, 솜씨, 일을 다루는 솜씨, 수완

 

() 어려울 난

어렵다, 재앙, 근심, 구슬이름, 힐난하다, 꾸짖다, 성하다, 타다

 

() 울 명

울다, 날짐승이 소리를 내다, 울리다, 음향이 나다, 명성이 드날리다

부르다, 새가 서로 짝을 구하여 부르다

 

........................................

 

명나라 문학가 풍몽룡이 엮은 역사소설 동주열국지에 유왕(幽王)이 애첩 포사(褒姒)를 웃기려고 봉화놀이에 열중하다 목숨을 잃고 도성까지 점령당하는 웃지 못 할 고사가 잘 묘사되어있다. (유왕은 포사를 웃게 하는 사람에게 천금을 상으로 준다고 했는데, 여기서 천금매소(千金買笑)’라는 유명한 고사성어가 나왔다. ‘천금으로 웃음을 산다는 뜻이다.) 기원전 771년의 일인데 이듬해인 기원전 770년 사태를 수습하고 도성을 낙양(洛陽)으로 옮긴다. 역사에서는 이때부터를 동주(東周)라고 부르는데 흔히 춘추전국시대라고 한다. 포사를 웃기기 위한 봉화놀이에 대한 역사서의 기록은 사마천의 사기》 〈주본기.

 

당시 유왕은 포사가 낳은 어린 아들을 후계자로 삼으려고 태자 의구(宜臼, 훗날 평왕平王)를 외가인 신국(申國)으로 쫓아냈다. 이 소식을 들은 태자의 생모이자 왕후인 신후(申后)는 순간 고장난명을 느끼며 하루 종일 남편 유왕을 원망했다. 그러고는 아들 생각에 눈물로 날을 보냈다. 이때 신후의 심경을 대변하는 고장난명은 기운이 완전히 빠진 무기력 상태를 비유한다. 뜻이 가까운 성어로 고립무원(孤立無援)’이 있다. 한편 이 사자성어의 원전이라 할 수 있는 한비자의 관련 대목은 다음과 같다.

 

군주의 근심은 군주와 신하가 함께 어울리지 못하는 데 있다. 그래서 한 손으로 박수를 치면 제아무리 빨리 쳐도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원문은 일수독박(一手獨拍), 수질무성(雖疾無聲)’이다. 대단히 생동감 넘치는 비유인데, 지금 우리가 인용하는 고장난명의 뜻은 한비자쪽에 가깝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사진: UnsplashPaige Cod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고군분투(孤軍奮鬪) : 외로운 군대가 온 힘을 다해 싸운다.

후원도 없이 고립된 상황에서 온 힘을 다해 싸우는 것을 비유하거나

혼자 여럿을 상대로 힘겹게 싸울 때 사용한다.

 

 

() 외로울 고

외롭다, 홀로, 외따로, 고아

 

() 군사 군

군사(軍士), 군사(軍事), 진을 치다, 송대(宋代)의 행정구획의 이름

 

() 떨칠 분

떨치다, 흔들리다, 분격하다, 성내다

 

() 싸움 투

싸움, 싸우다, 싸우게 하다, 다투다

 

..............................

 

중국 원전에서는 고군분격(孤軍奮擊)’ 또는 고군분전(孤軍奮戰)’으로 쓴다. ‘고군작전(孤軍

作戰)’, ‘고군독전(孤軍獨戰)’이라고도 쓴다. 뜻은 다 같다. 대부분 전투나 전쟁과 관련한 대목에서 나오는 성어다.

 

 

프랑스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는 빅토르 위고는 계몽주의 작가 볼테르를 특히 존경했다. “이탈리에 르네상스가 있었고, 독일에 종교개혁이 있었다면 프랑스에는 볼테르가 있다고 말할 정도였다. 그가 1878년 볼테르 백 주기에 연설한 추모사 중에 고군분투에 해당하는 구절이 있다. “백 년 전 한 사나이가 죽었습니다. (중략) 이 천박하고 음울한 사회에서 궁정과 귀족과 부자들이 결합한 막강한 세력 앞에 볼테르는 혼자 맞섰습니다. 저 무지몽매하고 맹목적인 군중, 시민들에게는 가혹하고 지배자에게는 절대복종하며 위압적으로 우쭐대는 왕 앞에서는 무릎을 꿇는 관리들에게 볼테르는 홀로 전쟁을 선포했습니다. 그의 무기는 무엇이었을까요? 바람처럼 가볍고 천둥처럼 강력한 힘을 가진 펜이었습니다. 그는 펜으로 싸웠고, 펜으로 정복했습니다.”

 

 

고군분투와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로 고립무원(孤立無援,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혼자의 상황)’, ‘단창필마(單槍匹馬, 창 한 자루, 말 한 필)’, ‘단기필마(單騎匹馬, 혼자 한 필의 말을 타다)’등이 있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Mateusz 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경거망동(輕擧妄動)

: 가볍게 멋대로 행동하다.

도리나 사정을 생각하지 않고 함부로 가볍게 말하고 행동한다는 뜻.

 

 

() 가벼울 경

가볍다, 무게가 적다, 모자라다, 신분이 낮다, 손 쉽다, 재빠르다

경솔하다, 가벼이하다, 깔보다, 업신여기다, 가벼운 수레

 

() 들 거

들다, 오르다, 움직이다

 

() 허망할 망

허망하다, 거짓, 무릇, 망령되다

 

() 움직일 동

움직이다, 나다, 살다, 살아나다, 변하다

 

......................................

 

 

세상사 이치와 도리를 무시한 채 함부로 굴면 제아무리 큰 권력과 많은 부를 가진 자라도 한방에 날아갈 수 있다. 따라서 부귀와 화복은 스스로 불러들인다고 한다. 화복무문(禍福無門)이란 사자성어도 있다. ‘화와 복은 문이 없다는 뜻이다. , 화와 복은 언제 어디서든 닥칠 수 있다는 말이다. 사람의 도리를 잊지 않고 착하게 살아가는 것, 이것이 세상사 이치이자 인간사 도리이다.

 

경거망동은 자신을 망칠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쳐 사회 문제를 일으킨다. 요즘처럼 언로가 완전히 개방된 SNS가 지배하는 세상에서는 특히나 언행을 삼갈 줄 알아야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언행이 실시간으로 중계되다시피 하는 무시무시한 세상에 살고 있다. 특히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큰 지도층이라면 경거망동하지 말고 더더욱 신중하게 처신하지 않으면 안 된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Artem Stoli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결초보은(結草報恩)

: 풀을 묶어 은혜에 보답하다.

은인이 전투에서 위기에 처하자 풀을 묶어 매듭을 만듦으로써 적의 수레와 말이 걸려

넘어져 위기를 벗어나게 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성어.

 

() 맺을 결

맺다, 맺히다, 열매를 맺다, 마음에 뭉쳐있다, 사귀다, 끝내다, 완성하다,

다지다, 단단히 하다, 막다, 못하게 하다

 

() 풀 초

, 초원(草原), 거친 풀, 잡초

 

() 갚을 보

갚다, 갚음, 알리다

 

() 은혜 은

은혜, 사랑하다, 예쁘게 여기다, 인정, 동정

 

................................

 

기원전 6세기 초 중국 춘추시대 진()나라의 실력자인 위무자(魏武子)에게는 아끼는 애첩이 있었는데 평상시 자신이 죽으면 개가시키라고 아들 위과(魏顆)에게 당부했다. 그런데 막상 죽음을 앞두고는 함께 묻으라는 유언을 남겼다. 아들 위과는 아버지가 죽기 전에 한 말보다 평상시 맑은 정신에 한 말을 따르겠다며 아버지의 애첩을 순장(殉葬)하지 않고 개가시켰다.

 

그 뒤 위과는 침공해 온 진()나라와의 전투에 참전했다. 이 전투에 앞서 웬 노인이 적국 진나라의 장수 두회(杜回)가 전차를 몰고 전진하지 못하도록 밤새 길게 자란 풀을 묶어 매듭을 지어 놓았다. 전투가 벌어지자 두회는 풀매듭에 걸려 넘어졌고, 그사이 위과는 두회를 잡을 수 있었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노인이 나타나 내가 그대가 개가시킨 여인의 아비요. 그대가 맑은 정신에 한 아버지의 말을 따라 내 딸을 살리고 개가시켰기에 이렇게 은혜를 갚은 것이오라고 했다.

 

蛇足 : 오갈 데 없는 사람을 먹여주고 재워줬더니, 돈 몇 푼을 뺏으려고 은혜를 베푼 사람을 죽였다는 뉴스를 보고 참 마음이 무거웠다. 사람으로 태어나서 사람답게 살다 가는 것이 그렇게 힘든가?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 UnsplashQingbao Me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의 고사성어(故事成語)

 

 

결자해지(結者解之) : 묶은 사람이 푼다.

자신이 한 일은 자신이 해결해야 한다는 뜻을 가진 사자성어다.

 

() 맺을 결

맺다, 맺히다, 열매를 맺다, 마음에 뭉쳐있다, 사귀다, 끝내다

완성하다, 다지다, 단단히 하다, 막다, 못하게 하다

 

() 놈 자

, 사람, , 일을 가리켜 이른다, 물건을 가리켜 이른다

 

() 풀 해

풀다, 가르다, 해부하다, 벗기다, 흩뜨리다, 열다, 용서하다, 놓아주다, 타이르다

풀리다, 이해되다, 납득이 가다, 해이해지다, 떨어지다, 해지다, 화목해지다,

깨닫다, 또 깨달음

 

() 갈 지

가다, (지시대명사, 指示代名詞), -(관형격조사, 冠形格助詞)

 

................................

 

결자해지는 우리 속담 맺은 놈이 풀지를 한문으로 바꾼 성어다. 원전은 조선 중기의 문인 홍만종(洪萬宗)순오지(旬五志)에 보이는 다음 구절로 알려져 있다.

결자해지(結者解之), 기시자당임기종(其始者當任其終).” “묶은 사람이 풀고, 시작한 사람이 끝을 책임져야 한다.” 이와 비슷한 뜻을 가진 중국의 고사성어로 해령계령(解鈴系鈴)이 있다’. ‘방울을 푸는 것은 방울을 맨 사람이다라는 뜻이다.

마음의 병은 마음의 병을 고치는 의사를 찾아야 한다는 말도 있다. 마음에 상처를 입으면 그 원인을 찾아 그에 맞는 해결책을 내야 한다는 뜻이다.

 

 

_참고도서 : 알고 쓰자 고사성어김영수 / 창해

_사진출처 UnsplashJari Hytön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