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르망스 ㅣ 세계문학의 숲 52
스탕달 지음, 임미경 옮김 / 시공사 / 2018년 7월
평점 :
품절
어제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마련한 양조위 특별전을 보고 왔다. 영화 <무간도> 상영 뒤 양조위 배우가 직접 무대에 올라온 것이다. 내 살아 생전에 양조위 배우님을 직접 보고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니... 감격했고, 감격해서인지 GV 진행 내내 영상을 찍는 내 손이 떨리는 걸 멈출 수 없었다. 어제 처음 알았다. 내게 수전증이 있다는 사실을.
내게 '사랑'이란 그런 것이다. 설레고 떨리고 보고 싶고. 그래서 알라딘에 자랑해야 하는데 아이클라우드로 사진이랑 동영상이랑 못 빼서 얼마나 화딱지가 나던지!! 어쨌든 <의천도룡기> 86년 버전을 보고 양조위 배우의 눈빛에 빠졌는데, 이번 부국제에 그가 온다니 얼마나 기뻤는지 모른다. 정말 손에 땀을 쥐게 할만큼 최선을 다해 티켓팅을 했고, 무간도를 봤고, 오픈 토크를 봤다. 만세!!! 그리고 사람들한테 자랑했다. 양조위 봤다고. 물론 어린 친구들은 샹치의 아버지로만 알고, 무간도가 뭐예요? 하면서 무'관'도를 찾기도 했지만.
그런데 이 책에 나오는 아르망스와 옥타브는 다르다. 사랑을 숨기고, 사랑한다는 사실을 들키고 싶어 하지 않는다. 아르망스의 경우 가난하기 때문에 옥타브와 결혼하면 주변의 질투와 뒷담화로 옥타브가 자신에 대한 사랑이 식을까봐 겁낸다고 하고, 옥타브는 치명적인 비밀을 안고 있다. 물론 다 읽을 때까지 그의 비밀을 알 수 없어 매우 답답하긴 했지만.(이 비밀은 스탕달이 친구인 메리메에게 보낸 편지에 드러난다.)
내가 만약 사랑을 숨겨야 한다면, 너무 사랑하지만 그 사랑을 숨겨야 한다면 어떻게 했을까. 감기와 사랑은 숨길 수 없다는데, 어떻게 숨길 수 있을까. <좁은문>의 알리사처럼 매일 신에게 기도할까. "그를 사랑하지 않을 용기를 주소서." 아니면 <클레브 공작부인>의 샤르트르 양처럼 계속 도망쳐야 할까. 하지만 그들의 결말은 어떠했는가. 사람이 터질 것처럼 강렬한 감정을, 그것이 사랑이든 분노이든 어떤 것이든 계속 억누르고 숨기려고 하면 결말은 뻔하다. 미쳐버리거나 죽어버리거나. 그렇지 않겠는가. 심지어 그들은 질풍노도의 시기를 갓 넘긴 20대가 아니던가.
'1827년 파리의 어느 살롱에서'라는 부제가 붙은 만큼, 이 책에는 파리의 귀족 사회의 오만함과 속물 근성이 여과 없이 드러난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도망 갔다 파리로 돌아 온 드 말리베르 후작과 후작 부인, 아들인 옥타브는 재산도 많이 잃어 가난했으나 갑자기 배상법이 통과 되면서 2백만 프랑이라는 배상금을 받게 된다. 그러면서 사교계에서 외부인, 특이한 사람 취급을 받던 옥타브는 일약 스타가 되고, 옥타브의 사촌누이인 아르망스는 속물이 된 것 같은 그를 경멸하게 된다. 돈과 권력에 일절 관심이 없던 옥타브는 그런 아르망스에게 인정받고 싶어하고, 그러기 위해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며 그녀에게 접근한다. 하지만 둘은 서로를 사랑하지만 그 사랑을 이룰 수 없는 상태다. 사랑하지만 사랑을 이룰 수 없기에 그들은 서로를 더욱 간절하게 사랑하고 절망적으로 이별을 만들려고 하는데...
언제나 죽음을 갈망하는 옥타브는 찬란한 행복 가운데에서도 그 행복을 뒤엎을 무언가를 계속해서 찾는다. 아르망스가 세간의 이목을 피할 수 있는 공간으로 둘이 떠나는 것으로 자신에게 걸었던 속박을 풀 수 있다고 믿었다면, 옥타브는 보다 더 근본적인 자신만의 이유로 사랑을 거부한다.
말을 할 수 없어서 말하지 않는 것이겠지. 처음부터 끝까지 둘은 자신안에 갇혀서 서로를 자신의 생각대로 바라본다. 어쩌면 둘은 환상을 사랑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도대체 무슨 고귀한 신념을 이룰 거라고 그렇게 숨기고 삼키고 끝내 뱉어내지 못하는지. 삶은 살아야지, 죽은 채로 사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배상법이 통과되고 사교계에서 옥타브를 떠받들던 초반에, 아르망스의 눈길을 느낀 옥타브가 하원의원에게 경멸을 내보이는 장면에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젊음이란 그런 것이구나, 2백만 프랑이든 무엇이든 그걸 보고 나에게 접근하는 사람이 있다면, 나는 그냥 웃고 말텐데. 사람이란 원래 그런 것이고, 나 또한 어느 면에서는 모자란 구석이 있을 테니까 말이다.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돈이 좋은 건 사실이니까. 그냥 적당히 하면 될텐데 말이다. 이런 나는 둥글어진 것일까, 속물이 된 것일까.
드 보니베 기사와 드 수비란 씨의 음모가 왜 그냥 사라졌을까. <위험한 관계>를 들먹였으면 왠지 드 보니베 기사의 추악함이나 드 수비란 씨의 비열함이 드러났어야 할 것 같은데 말이다. 하긴 나는 알고 있으니까, 우리 독자들은 알고 있으니까 둘이 결국 좋게 끝나지는 않았을 거라 믿는다. 사람 성격이 어디 가나 말이지.
안녕, 영원히 안녕, 사랑하는 아르망스! 내가 너를 사랑했다는 것은 아무도 모르리라! - P1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