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 나스카의 문양

지구 반대쪽 남미 페루의 나스카 평원은 페루 남부의 태평양 연안과 안데스 산맥 기슭사이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연중 안데스산맥에서 불어오는 서늘한 바람이 한류인 홈불트해류가 흐르는 바다에서 습기를 거의 실어 오지 못하기 때문에 열대림이 무성하게 자라기 마련인 위도에 놓여있으면서도 지난 1만년 동안 거의 비가 오지 않았다.

너무 건조해 매 2년마다 겨우 12.5mm 정도의 비가 내리며 바람도 거의 불지 않는 사막지형이다.
이 나스카 평원에는 벌새, 고래, 원숭이, 거미, 개, 나무, 우주인, 펠리컨 등의 그림이 30개 이상 그리고 소용돌이, 직선, 삼각형, 사다리꼴과 같은 수많은 기묘한 곡선이나 기하학 무늬들이 200개 이상 그려져 있다.

그림 한 개의 크기가 100m에서 300m에 달하는 거대한 것이다.
어떤 것은8km의 직선이 마치 긴 활주로처럼 뻗어 있는 것도 있다. 그림들이 그려진 면적을 모두 합치면 거의 1,300㎢에 달한다.
도대체, 이런 황량한 사막에 누가, 언제, 왜, 어떻게 그린 걸까?


나스카의 토양은 황색의 점토성으로 작은 돌과 화산자갈로 덮혀 있는데 공기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검은색이므로 문양은 돌을 살짝 걷어내고 깊지 않은 골을 만드는 것만으로도 선명하게 구별된다.
또, 선을 따라 돌을 배치하는 많은 노동력을 필요치 않는다. 더욱이 이 지역은 매우 건조해서 문양은 오래 보존 될 수 있었다.

이미 16세기 스페인의 연대기 작가인 시에사 데 레온이 '나스카 부근사막에 있는 이상한 부호들'에 흥미를 느꼈지만 과학자들의 본격적인 주목을 받은 것은 1941년부터 였다.

이 신기한 문양들을 처음 조사한 사람은 미국 롱아일랜드 대학의 농업경제학자인 폴 코스크 교수였다. 그는 나스카의 문양이 지면에서는 도저히 그 그림을 알 수 없고, 공중(지상 300m 이상)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또, 거대한 문양들이 정확하게(1km의 길이에서, 평균적으로 옆으로 2m정도 벗어남) 그려졌다는 것이다.

그의 뒤를 이어 독일의 여성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마리아 라이헤 박사가 연구에 몰두했는데 그녀는 나스카인들은 말뚝에 끈을 묶어 직선을 그렸고, 콤파스의 원리 처럼 중심점을 사용하여 곡선이나 원을 그렸다고 주장했다.

실제로도 말뚝을 박았던 흔적과 중심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그녀는 나즈카의 문양들이 B.C200 ~ A.D600년경(나즈카기)에 건설되었다고 주장하고있다.
도자기와 남아있는 나무들의 방사성 탄소측정결과나 나즈카의 도자기에 그려진 그림들이 나즈카선과 유사하였기 때문에 이 근처에 나즈카 사람들이 살고 있었던 걸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그들이 나즈카의 문양들을 건설 하였던 걸로 보았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나즈카 문명이 출현하기 이전에 나즈카의 문양이 건설되었다는 반대 주장도 나왔다.

1968년 천문학자 제럴드 S. 호킨스는 컴퓨터로 나스카의 문양이 천제와 관계되는지 연구를 시도했는데 나스카 문양과 천체와의 연관성을 찾는데는 실패했다.
그는 나스카에 있는 93개의 그림들과 45개의 별에 관해 측정한 자료들을 컴퓨터에 입력시킨 다음 나스카 선들의 배열과 BC 5000년 이후 해와 달과 별이 차지했던 위치 사이에 일치하는 것이 있느냐는 질문을 던졌다.

그 대답은 실망적인 것이었다. 일치가 되는 배열도 몇개있었으나 우연의 일치에 불과했다.
컴퓨터는 나스카 문양의 선들이 달력을 이루고 있다는 통계적 증거를 전혀 찾아내지 못했다.

저명한 문화연구가인 Johan Reinhard는 나즈카의 많은 선들이 종교적인 성지를 인도하는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나즈카인들은 산을 숭배하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전설에 의하면 안데스 산에는 많은 신들(그들은 독수리나 콘돌의 형상을 했음)이 거주하고있으면서 날씨와 물과 곡식을 풍성하게 조절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는 덧붙여 신들의 우두머리인 비로체(Viracocha)는 산, 물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했다.

영국의 소설가이며 모험가인 토니 모리슨은 나스카의 바퀴 문양과 안데스 지역에서 보여지는 바퀴의 형태가 거의 유사하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그곳에서의 인디언들은 아직도 고대 잉카의 전통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가족만의 독자적인 문양을 자신들의 영토 안에 그려서 다른 가족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가족일수록 더욱 더 큰 문양을 만드는데 나스카 문양도 바로 가족 집단간의 차별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과시용으로 만든 것이라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참조 : 시화넷

출처 : http://www.arescafe.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3월)9일(현지시간) 이집트 바헤리아 오아시스의 땅밑에서 발견된 B.C 500년경에 만들어진 석관.
Zahi Hawass 이집트 고대유적 평의회 회장은 2400년전에 알렉산더 대왕이 고대이집트의
멤피스로 가면서 바헤리아 오아시스를 거쳐갔다고 믿고 있다.

[로이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녀의 피로 목욕을 했다'고 알려진 바토르 백작부인의 이야기가 여름철을 맞아 또다시 인터넷에 인기리에 퍼지고 있어 네티즌들의 등골을 오싹하게 하고 있다.

바토리 백작부인의 전설같은 이야기는 '처녀의 피로 목욕한 여인', '마녀, 혹은 흡혈귀라 불리는 실존인물'이라는 제목으로 카페 및 블로그를 통해 퍼지고 있고 600여명의 소년을 죽인 '질 드 레'와 드라큐라의 원조 '블라드 테페스'의 이야기도 곳곳에서 퍼지고 있다.

▷'에르체베트 바토리'(Erzsebet Bathory/1560~1614)는 1560년 Transylvania[현 루마니아 서북부 고원지방]의 명문가 바토르가의 딸로 태어났다.




바토르가는 막대한 재산과 영지를 잃지 않기 위해 근친 결혼을 많이 했기 때문에 집안에 미친 사람이나 정신 이상자가 많았다는 이야기들도 전해진다.

그녀는 항상 전쟁에 나가있는 남편 때문에 우울한 나날을 보내며 정신 이상자가 돼가고 있었다. 그러다 어느 날 머리를 빗겨주던 하녀가 실수를 하여 머리가 심하게 땡겨지자 바토리는 하녀의 따귀를 때렸고, 좀 심하게 때렸는지 하녀의 뺨은 손톱에 긁혀서 피가 났다. 그런데 그 피가 바토르의 손에 떨어졌고 바토리는 순간적으로 손의 피부가 탱탱하게 변하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젊은 처녀의 피가 젊음을 되찾을 수 있는 비밀이라 생각한 그녀는 그 이후 수시로 처녀를 잡아다 죽여서 그 피로 목욕을 했다.

바토리가 처녀를 죽일 때 썼던 고문도구라 전해지는 '철제 인형'은 독일의 기술자에게 특별 주문 제작한 것으로 인형의 가슴을 열면 칼날이 삐죽하게 나와있었다. 이 안에 처녀가 갇히면 칼로 전신을 찔러 피가 흐르고 그 피는 인형 안의 홈을 따라 흘러 바토리의 욕조로 쏟아 지는 것이다.



이 엄청난 사건은 농부들의 딸로도 피가 부족해진 나머지 귀족의 딸에게 까지 손대다 꼬투리를 잡혔기 때문이라는 설도 있고 그가 살던 체이테성에 악녀 흡혈귀가 산다는 소문이 나돌게 되는 바람에 소문이 났다는 두 가지 설이 있다.

1610년 12월 30일 피의 의식이 진행중인 동안 바토리의 사촌인 기오르기 투르소 백작이 일단의 군인과 기병대를 이끌고 그 성에 도착해 지하 감옥에서 수십 구의 시체와 함께 온몸에 바늘로 찔린 자국이 수없이 난 시체들을 발견했다. 많은 수의 소녀들이 아직도 차례를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바토리는 죽인 처녀들의 수를 일일이 일기에 적어둬서 그걸 근거로 해서 보면 죽인 여자들의 수는 612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왕가의 친척이었던 기오르기 투르소 백작 덕분에 목숨만은 건졌지만 바토리는 모든 창문과 문이 폐쇄된 방에서 3년 반을 살다가 1614년 8월 21일에 54살의 나이로 죽었다고 한다.

그의 피의 행사에 동조한 자들은 화형에 처해졌고 죽은 바토리 백작은 결국 최초의 인간 흡혈귀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바토리 백작 부인의 재판 기록은 아직도 헝가리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바토리 백작부인의 이야기 외에도 '질 드 레' 후작의 공포스런 이야기도 퍼졌다.



로제르 비예뇌브가 1955년에 쓴 '질 드 레'에 따르면 그는 자신이 죽이고 있는 아이들의 숨 넘어가는 소리에 맞추어 옆에 있는 어린이 합창단에게 노래를 부르게 했다고 한다.

15세기 프랑스 잔 다르크에 버금가는 영웅으로서, 나라를 위해 열심히 싸웠던 질 드 레. 늘 행동을 함께했던 잔 다르크에게 사랑을 품었다고도 알려져 있는 질은, 신의 정의를 위해 싸운 잔 다르크가 신의 구제를 받기는커녕 화형에 처해졌다는 사실에 절망감을 느끼고 신의 존재를 부정?결국 신앙심을 잃어버리고 동성애에 빠진다.

그는 600여명의 소년들을 농락해 살해했고 그 죄로 1440년 처형됐다. 질 드 레의 고향인 번데이에서는 지금도 칭얼거리는 아이를 달랠 때면 어머니들이 "자꾸 칭얼거리면 질 드 레 악마가 데려간다"고 한다.


▷'블라드 테페스'가 드라큐라가 된 이야기도 전해졌다.



15세기에 등장하여 흡혈귀의 진정한 원형을 제공한 존재. 블라드 테페스 드라큐라는 현재 루마니아에 해당하는 고대 왈라키아 왕국의 왕자였다. 그의 이름은 본명이 아닌 별명인데 '테페스'는 '말뚝으로 박는 자'란 뜻이다.

그는 전쟁에서 잡아온 수천의 포로들을 잔인하게 고문하고 말뚝에 박아 학살한 폭군이었다. 그는 사람을 말뚝에 꿰기 전 토막내 버리기도 했다.

1456년에서 1462년이란 짧은 기간 동안에 그는 4만명을 긴 창에 꿰어 처형한 그는 1476년 터키군과의 전투에서 자기편에게 목숨을 잃었다. 그의 일화는 수많은 이야기 거리를 제공했으며 19세기에 와서 브람 스토커가 소설 '드라큐라'에서 그를 수백년을 살며 피를 빨아먹는 존재로 등장시킴으로써 그의 이름은 드라큐라가 되었다.

네티즌들은 "아무리 실존인물이라도 이런 이야기는 믿고싶지 않다"며 반신반의했다. 또한 이 세사람이 실존했는지도 물어왔지만 문헌이나 책, 옛 사람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질 뿐이다.

출처 : 미란다 트위스의 '세상을 움직인 악' (2003)
로제르 비예뇌브의 '질 드 레'(1955)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마요정 2005-03-23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쵸? 진시황보다 더 끔찍하군요.. 동서양을 넘어서 누구나 불로불사를 꿈꾸지만, 결국 사람은 모두 죽는데 말이에요... 가장 공평한 일이지요...
 


시간을 알리는 벽시계의 괘종소리를 듣고
멋진 하루가 무서운 밤 속으로 사라지고,
오랑캐 꽃이 시드는 것을 바라보고
검은 머리가 백발로 변하고,
목자들을 햇볕으로부터 가리워주던
거목의 잎사귀가 떨어져 나가고
여름 날의 초목이 말라 짚단으로 묶이고
깔끄런 흰 밀 깔끄라기가 손수레에 실려가면
내 그대의 아름다움을 생각하노니
낭비되는 시간 속에 그대 또한 가야 한다고
감미로움과 아름다움은 스스로르 포기하고
다음 세대가 자라는 것을 보는 순간 죽는 것.
시간의 낫에 견딜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니
시간이 그대를 잡으면 후소니만이 그를 막는 길일 뿐.
<소네트, 12>

 

When I do count the clock that tells the time
And see the brave day sunk in hideous night;
When I behold the violet past prime,
And sable curls, all silver’d o’er with white;
When lofty trees I see barren of leaves,
Which erst from heat did canopy the herd,
And summer’s green all girded up in sheaves,
Borne on the bier with white and bristly beard,
Then of thy beauty do I question make,
That thou among the wastes of time must go,
Since sweets and beauties do themselves forsake
And die as fast as they see others grow;
And nothing ’gainst Time’s scythe can make defence
Save breed, to brave him when he takes thee hence.
<sonnet 12>

 

Text : [The Oxford Shakespeare: Poems], (19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생     애


 영국 스트래트퍼드 출신인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1564년 4월 23일에 태어났다고 한다.  
물론 이것이 확실한 기록은 아니며 단지 그각 1616년 4월 23일에 세상을 떠났다는 사실로 미루어 추정해 낸 것에 불과하다. 또 하나 그가 1564년 4월 26일에 세례를 받았다는 기록이 그것을 보충해 주고 있다.

셰익스피어는 '영국이 인도와도 바꿀 수 없다'고 한 위대한 문호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생애 전반에 걸친 확실한 자료는 그다지 알려져 있지 않다. 셰익스피어의 조부인 리처드 셰익스피어는 농부로서 장남 헨리와 차남 존의 두 아들을 두고 있었다. 존 셰익스피어는 스트래트퍼드에서 농산물 판매에 손을 대어 상당한 치부를 했으며, 중에는 그곳에서 유력한 명사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했다.

 1557년 그는 스트래트퍼드 근방에 있는 윌름코트의 지주인 로버트 아든의 막내딸인 메리와 결혼하였다.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그들 사이에 출생한 8남매 중 장남이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어린 시절에 관해서 자세한 것은 아무것도 알 수 없으나, 사업의 부진으로 가산이 기울기 전인 1580년까지는 그래머 스쿨(Grammer School)에 다녔을 거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18세가 되었을 때 윌리엄은 앤 헤서웨이라는 여자와 결혼했다. 그녀는 그보다 8살이나 나이가 많았다. 그들 사이에는 스잔나와 햄닛, 주디스의 3남매가 있었다.

 윌리엄이 어떻게 청년기를 보냈는가에 대해서도 역시 구구한 억측들이 많은데, 그 중 가장 신빙성이 있는 것은 그가 1590년을 전후한 무렵에 런던에서 극작가로서의 생활을 시작했다는 설이다. 셰익스피어가 최초의 작품집을 출판한 것은 1593년으로 되어있다. <비너스와 아도니스>가 그 작품집의 제목이었다. 그는 <소네트>의 대부분을 이무렵 집필했다. 이 무렵 그는 벌린 맨(Lord Chamberlain's Men)이라는 극단의 단원으로 희곡 작품을 쓰는 한편 배우 생활도 겸했다. 

 32세가 되었을 때 그는 극작가로서 어느 정도 성공해 있었다. 이때부터는 경제적으로 안정이 되었고 연극계에서도 확고한 지위를 굳혀 갔다. 또한 사교계에도 진출하여 사우댐프던 백작을 비롯해 각계의 명사들과 알 게 되었다.  그는 1596년에서 1600년 초까지 주로  희곡에 있어서의 시의 기능적 역할에 관한 탐구를 계속했다. 결국 그는 수많은 시작을 통해 극중인물의 대사를 더욱 심도 깊고 생동감 있게 표현하는 데 성공하였다.

 1596년 8월 아들인 햄림의 죽음으로 인해 셰익스피어는 고향인 스트래트퍼드를 방문했다. 고향에서 가족들과 옛 친지들을 만나본 뒤 그는 기울어진 가세를 일으키는 데 힘을 썼다. 스트래트퍼드에서 돌아온 그는 1599년 템스강가에 건축된 글로브 극장 부근에서 생활을 했다. 그러던 중 셰익스피어는 1600년 이후 일련의 비통한 비극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환을 시도하게 된 그의 내적인 변화가 무엇인지에 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1601년 에섹스 경의 반란에 가담했다는 혐의로 절친한 친지이며 후원자였던 사우댐프던 백작이 종신형을 받은 사실과 아버지 존의 죽음이 셰익스피어에게 상당한 충격을 주었으리라는 추측은 가능하다.게다가 막내 동생 에드먼드가 유행병으로 세상을 떠나고 1608년에는 어머니 메리까지 사망하여 셰익스피어는 매우 심각한 실의에 차 있었음이 분명하다. 

 그가 언제 다시 고향인 스트래트퍼드로 돌아왔는지 그 확실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아무튼 런던의 유행병을 피해 낙향해있었던 듯하다. 그는 1610년에서 14년까지 스트래트퍼드의 많은 부동산을 사들였고 이후에 그곳에 머무른 흔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1616년 1월 25일 자신의 유언장을 작성한 그는 3월 25일에 그것에 서명한 것으로 나타나있다. 

  아마 이때 이미 자신에게 죽음이 임박해 있음을 깨달았던 듯하다.  이렇게 해서 세계적인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는 1616년 4월 23일 53세의 나이로 일생을 마쳤다.

 
   친구여, 제발 여기에 뭍힌 흙을파내지 말아주오
       .이 묘석을 아껴주는 이에게는 축복이
       ,나의 유골을건드리는 자에게는 저주가 있을지니라.

   이런 소박한 묘석에 안타까움을 느낀 그의 가족들과 친구들, 또 지역민들이 세익스피어를 지 상 최고의 천재들   서열에 올리고자 그후 7년만에 라틴어로 된 기념비를 세웠다.

 대부분의 걸출한 문호들의 천재성이 먼 훗날에야 인정받아 발굴작업이 뒤늦게 시작되는데, 세 익스피어는 생전에 발군의 성가를 누렸고, 사후에도 극장폐쇄령이 내린 1642년까지 그의 극이 무 대에서 공연열기를 더해 갔으니 성가는 생존시나 다름없었다. 더구나 그의 천재성을 일찍부터 인 정한 동시대의 극작가이자 평론가 벤 존슨(Ben Jonson)이 문학이론의 바탕 위에서 세익스피어의 진가를 논하여 널리 알렸다. 이에 힘입어 극장폐쇄령으로 지하에 묻혀버릴 뻔한 보석이 영원 히 보존될 수 있었으니, 이는 작가에게 뿐 아니라 온 인류에게 다행스런 일이다.

  세익스피어의 실체 논란   

 지금 세익스피어의 창작물로 알려진 작품들이 스트라트포드에서 탄생한 세익스피어가 아닌 다 른 원작자가 있다는 설이 심심찮게 대두되어 센세이션을 일으킨다. 이런 설은 세익스피어 개인 의 천재성을 아무리 인정한다 해도 그런 거작을 그 기간 동안에 연속 창작할 만한 재능을 닦은 수학 경력을 세익스피어의 생애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데서 비롯된다. 유일의 수학경력으로 치는 그 래 머스쿨의 경우도 공식기록에 근거한 것이 아니고 그 연령 때 아버지의 지위나 가세의 유복함 등 으로 미루어 추정된 것이라며 그의 방황기에 보인 질낮은 행위 등으로 봐서 도저히 그런 차원높 은 걸작을 낼 수 없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여러가지 반증을 제시한다. 스트라트포드 출신의 세 익스피어가 아니라는 주장을 펴는 이들을 묶어 앤티스트라트포디이언(Anti-Stratfordian)이라 하는데, 이들이 내세 우 는 제3의 인물도 제각기 구구하여 30여명이나 거명된다.

 그중에서 크게 득세한 설은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설, 옥스포드 백작(Earl of Oxford) 설, 크리스토퍼 말로우(Christopher Marlowe)설, 엘리자베스 여왕의 숨겨진 사생아 설 등이다. 베이컨 설은 세익스피어의 동시대인으로서 최고지성인이었던 베이컨 정도 의 통찰력이 없이는 그런 대작을 창작할 수 없다는 가정에다 베이컨의 저술이 세익스피어의 글과 유사한 점이 많다는 근거에 바탕을 둔다. 엘리자베스 여왕 사생아 설은 엘리자베스 여왕의 숨 겨 진 사생아가 때로는 프란시스 베이컨, 때로는 윌리엄 세익스피어라는 필명으로 글을 썼다는데, [햄릿]을 쓴 것도 엘리자베스 여왕이 불륜으로 자신을 낳은 데 대한 힐책의 행위라는 등의 주 장 을 편다. 그러나 이런 설들이 모두 세익스피어의 사후 200년이 지난 19세기에 고개를 들기 시 작 하여 세인의 주목을 끌려하다가 설로 끝나고 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