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런      등  신  들    :




 



친절하지 않을 권리


 



 

 

​                                                                                              만화 기법 중에 " 데포르메 " 라는 게 있다.  그 만화의 " 톤 앤 매너 " 와는 달리 8등신 미녀가 느닷없이 2등신 / 3등신 꼬마로 변형되는 경우를 말한다. 만화가가 내용이 너무 진지하다 싶으면 쉬어가는 코너로 마련한 코드'이다.

무게감 있는 작품을 그리는 김혜린의 << 불의 검 >> 에서도 만화 주인공은 종종 데포르메 형태로 변형되기도 한다. 그것은 선동적인 연설가가 가끔 유머를 구사하는 것과 같다. 진지하기만 한 캐릭터가 귀여운 형태로 변신하여 웃음을 주니 만화 깨나 읽었다는 사람은 < 막간에 쉬어갑시다 - 코너 > 를 애정하는 사람이 많다. 만화가가 8등신 미녀를 3등신으로 과장해서 변형시키는 의도는 명백하다.  데포르메 형태에서 " 가와이이 " 를 뽑아내려는 목적이다. " 가와이 " 라는 형용사는 축소지향적이다. < 가와이 > 는 귀엽다와 사랑스럽다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작다라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우리말로 " 앙증맞다 " 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남자가 여자에게 " 귀엽다 " 라고 말할 때에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위계에 따른 위상이 정립된 결과'다.그 남자는 같은 눈높이로 여성을 바라보는 게 아니라 여성을 내려다보는 시선에 가까우며,  6등신에서 2등신으로의 강등은 대상을 미성숙한 것(어린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2등신 성인 여성은 없으니까, 또한 8등신 아이는 없으니까.  대한민국 대중이 여성 연예인을 소비하는 방식은 전형적인 데포르메'이다. 대중은 아이유나 하연수를 성인(8등신)으로 인식하고 상품으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2/3등신) 이미지로써 상품을 소비한다.  그들은 아이유와 하연수를 귀엽고 사랑스럽다며 찬사를 보내지만

 

이 호감은 어디까지나 데포르메 캐릭터에게 보내는 " 가와이이 " 다.  가와이이의 대상은 독립된 자아를 거부하는 얼라에게 부여되는 아우라'라는 점에서 퇴행적 욕망'이다. 대중은 오빠를 자청함으로써 귀여운 아이들의 소꿉놀이에서 스폰서를 자청한다. 아이유 미니 앨범 chat-shire'가 논란이 되었던 지점은 로리타 취향이었지만 본질은 아이유가 성인 여성으로서 독립을 선언했다는 데 있다. 그녀는 이 앨범을 통해 국민 여동생이라는 3등신 데포르메를 벗어나서 8등신 성인'으로 태어나고 싶다는 욕망을 노골적으로 드러낸다. 파고다 공원에서 독립 여성 만세를 외친 꼴이라고나 할까 ? 

아이유의 욕망과 대중의 욕망이 어긋나는 지점이다. 그녀가 당당하고 똑똑하며 독립적인 여성을 선포하자 대중은 배신감을 느낀다. 겉으로는 로리타 취향을 걸고 비판했지만 사실은 성적 자유 여성에 대한 반감이다. 그렇기에 평소 앙증맞던 그녀가 잔망스럽게 보인다. 대중이 아이유에게 바라는 것은 미성숙한 여성 이미지'이다. 하연수 논란도 마찬가지'다. 대중에게 그녀는 귀여운 데포르메'다. 아이-스러운 앳된 외모가 대중에게 인기를 얻은 케이스'이다. 하지만 그녀는 꽤나 진지하고 당당한 여성에 속한다. 할 말을 애둘러 말하지 않는 성격인 모잉이다. 그래서 " 진지충 " 이란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나 ? 

하연수가 sns에서 사용하는 문장 형태를 봐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녀는 말을 줄이거나 일부러 오타를 사용하거나 이모티콘을 사용하지 않는다. 모든 글에 정색을 하고 댓글을 다는 것이다. 하연수 sns 댓글 논란에서 대중은 하연수의 미성숙한 태도를 질타했지만 사실은 미성숙한 데포르메인 줄 알았으나 미성숙하지 않다는 데 대한 대중의 반감이다. 하연수는 1990년 생으로 올해 27살인 성인 여성이다. 하연수에게는 친절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 대중은 하연수의 댓글에 불쾌감을 표출하지만 그보다 수위가 높은 남성 연예인의 댓글에는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다. 영화 << 부산행 >> 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배우 김의성의 트위터는 그 수위가 높은 데에도 별다른 문제 제기를 하지 않는다.

나 또한 그렇다. 그것이 그의 개성이기 때문에 그렇다. 같은 이유로 하연수가 남긴 댓글을 개성으로 보면 그다지 불편할 게 없다.  판타지는 판타지일 뿐, 데포르메는 만화에서나 가능하다. 아이는 자라서 어른이 된다. 만약에 당신이 12살의 로리타 혹은 데포르메'로 대상을 고착시키려 한다면 당신은 험버트 험버트'다. 연예인은 감정 노동자일까,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만약에 연예인이라는 직종이 감정 노동에 속한다면, 나는 감정 노동자의 친절하지 않을 권리를 지지한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여자는 자라서 성인이 된다 ■

 






 


댓글(19)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tella.K 2016-08-13 13: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곰발님의 글은 사안에 대한 정보와 논리를 가지고
곰발님이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 지를 정확히 전달하려고 한다는 것에 있을 겁니다.
게다가 남 눈치 안 보고 자유롭게 할 말은 한다는 거죠.

그런데 그 언어라는 게 성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남성성과 여성성 뭐 그런...?
여성이 구사하는 언어는 대체적으로 상대가 들어서 알아 먹을 수 있는 거냐,
듣기에 좋거나 무난하냐 친절하냐 등 뭐 이런 타자를 위한 것에 민감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런 것에 조금이라도 거스르면 비난을 서슴치 않죠.
말하자면 높은 사회성을 요구하고 그것을 발전시키지 않았나 해요.

그런데비해 남성의 언어 패턴은 다듬어지지 않거나 좀 폐쇄적인?
뭐 알아 먹던지 말던지, 좋게 말하면 시크한 거고 그걸 야성이라고까지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동물의 세계에선 수컷이 암컷을 유혹하고 그래서 수컷이 더 자기들의 소리와 언어를 발전시켰겠지만
인간은 그 반대잖아요. 오히려 여성이 더 유혹적이라고 보죠.
생각해 보면 그게 유혹하고 싶어서라기 보단 자기안전의 수단 뭐 그게 더 많지 않을까 싶기도 해요.

하연수는 여자인 제가 들어도 듣기에 따라선 좀 거슬릴 수도 있는데
그렇다고 비난까지는 좀 그렇다 싶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3 14:11   좋아요 0 | URL
절묘한 비유이십니다. 맞습니다. 인간이 아닌 짐승은
암컷에게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소리를 다듬거나 깃털의 색깔을 화려하게 하려고 진화했죠.
그런데 인간은 정반대죠...
의사전달을 여성에게 정확하게 전달하려는 마음이 별로 없습니다.

그냥... ˝ 됐어. 그만 해 ! 그만하라니까.. ˝
라는 식으로 중단시키고는 하죠..
불성실한 의사 표현 때문에
무슨 말이야_ 라고 물으면
못 알아듣는다고 타박... 이상한 지점이죠..

저는 한국 노동자의 친절하지 않을 권리를 지지합니다.
고로 하연수의 친절하지 않을 권리도 지지합니다.


stella.K 2016-08-13 14:26   좋아요 0 | URL
저도 그런 생각해요.
솔직히 히프에 대해 물어 본 그 사람이 어떤 식으로든
하연수를 자극했겠죠.
얘는 뭐 이런 것 까지 나한테 물어보나 하지 않았을까요.
거기에 그 정도로 반응했다면 나쁘지 않은 것 같은데
그걸 가지고 뭐라고 저격하는 것도 생각이 없기는 마찬가지죠.
전 하수연이 저럴 때 좀 더 강하게 나갔더라면 좋지 않았을까 해요.
무조건 잘못했다고 지금부터 빌면 나중에 어디까지 빌고 살아야할까요?
그게 또 소속사에 피해가 갈까봐 그런 거겠죠.
하연수 저격수들은 모르긴 해도 여자들이겠죠.
남자가 하연수한테 히프에 대해 묻진 않았을 거 아니예요.
여자의 적은 여자라더니 연대할 생각은 안하고 짜잘한 거 가지고...ㅉ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3 14:28   좋아요 0 | URL
연예인은 소속사 눈치를 안 볼 수 없는 구조 아닙니까.
논란 생기면 손해를 보는 쪽은 대중이 아니라 100% 본인이니
여기서 물러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stella.K 2016-08-13 14:33   좋아요 0 | URL
ㅎㅎ 곰발님의 저 이모티콘 아주 좋습니다.
자주 애용해 주세요!ㅋㅋㅋㅋㅋㅋㅋㅋ

cyrus 2016-08-13 1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 유명인은 한순간에 대중의 사랑을 받다가 한순간에 대중의 적이 됩니다. 대중의 적이었다가 다시 사랑을 받게 되고요. 하연수가 하프의 기원을 설명한 댓글에서 맨스플레인이 느껴졌어요. 저도 맨스플레인 소리를 들은 적이 있어서 하연수 논란을 보는데 죄를 지은 기분이 들었어요. 저렇게 댓글을 달면 안 되겠구나 하고 생각했어요. ^^;;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3 14:27   좋아요 0 | URL
그런 측면도 있죠. 하지만 저는 개인의 친절하지 않을 권리를 지지합니다. 하연수라고 해서 왜 꼭 친절해야 되는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언팔을 하면 될 뿐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그 불친절이 논란이 되어야 하는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WU 2016-08-13 17: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이 하연수는 싹바가지가 없었어요 사안이 달라요 인간이 정색을 아무때나 하고 지랄이야. 정도였다면
김의성은 상종하고 싶지 않은 인간이죠
미친아 가서 소라넷이나 해라 이런것
분석은 좀 어려울 거 같아요
만약 지적으로 보이는 그냥 어른 여자 이를테면 김혜수라고 할까요?
마찬가지로 까였겠죠 존나 싸가지없다 따위의 단어로.
그게 하연수니까 그나마 그 정도인거죠 이건 젠더의 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공유보세요 여전히 공유가 누굴 존경한다고 했는줄 알면서도 아직도 공유가 좋다고? 라는 반응이 나오잖아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3 17:12   좋아요 0 | URL
그런가요, 긁적긁적. 근데.. 공유가 누굴 좋아한다고 합디까 ?

기억의집 2016-08-13 1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유가 박정희 존경한다고.....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3 20:52   좋아요 0 | URL
!!!

stella.K 2016-08-14 18:24   좋아요 0 | URL
헉, 정말요? 전후사정이 어떤 건지 모르겠지만
공유가 박정희를 좋아한다는 사실이 놀랍다기 보다
공유니까 가능했을 거라는 우리나라 사람들 연예인에 대한 맹목적인 사랑
뭐 그런 게 느껴지기도 하네요. 공유가 당당하게 밝히는 것도 인상적이고,
김의성 같은 경우도 그래요. 그가 서울대 출신이 아니고
평범한 대학출신이거니 고졸이어도 사람들은 그러려니 할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4 18:29   좋아요 0 | URL
진짜 의외인 경우는 클린튼 이스트우드죠.
그는 이번에 트럼프를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stella.K 2016-08-14 18:32   좋아요 0 | URL
헉!!!

곰곰생각하는발 2016-08-14 18:42   좋아요 0 | URL
이스트옹이 유명한 공화당 지지자이기는 하지만
트럼프를 지지할 줄은 몰랐씁니다.
상당히 실망해씁니다..

기억의집 2016-08-14 18:51   좋아요 0 | URL
스텔라님~ 잡지 인터뷰 기사를 온라인에 누가 올린 거더라구요. 저거 올라와서 한동안 공유 욕 좀 먹었었어요. 박근혜 된지 얼마 안되서 아부성 발언인지....

곰발님.. 저도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실망스럽더라구요. 트럼프라니. 트럼프를....싸울 기회라는 워렌 자서전 읽어보면 오바마하고 케네디가가 정치가로서 정말 매력 있어요. 특히 케네디가는 왜 미국에서 그렇게 인기 있는지 알겠더라구요. 전 ㅋㅋ클린트 이스트우드 영화 별로 안 좋아해서 그런지 더욱더 재수 없어지네요.

stella.K 2016-08-14 19:12   좋아요 0 | URL
공유는 저도 좋아하는 배운데 왜 그랬을까요?
크린트이스트우드는 예전에 좋아했는데 늙고 나서는 별로더군요.
케네디를 싫어하기란 쉽지 않죠. 멋있잖아요.
먼로하고의 스캔들만 빼면...ㅋㅋ

2016-08-13 19: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13 20:5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