뼈아픈 통증에 대하여 


 

 

 

 

 

 

 

 

 

 

 

 

 

 

 

 

 

 



 

스며드는 것  


                                        안도현


꽃게가 간장 속에
반쯤 몸을 담그고 엎드려 있다
등판에 간장이 울컥울컥 쏟아질 때
꽃게는 뱃속의 알을 껴안으려고
꿈틀거리다가 더 낮게
더 바닥 쪽으로 웅크렸으리라
버둥거렸으리라 버둥거리다가
어찌할 수 없어서
살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한때의 어스름을
꽃게는 천천히 받아들였으리라
껍질이 먹먹해지기 전에
가만히 알들에게 말했으리라

저녁이야
불 끄고 잘 시간이야

 

 


 - 이 시는 시거 로스 음악과 함께 

 

 

                         이 詩에서 시인은 독자에게 < 알이 꽉 찬 꽃게 > 가 어떤 의미인지를 최대한 늦춘다. 초반에 " 뱃속의 알 " 이라는 결정적 단서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거지반은 단순히 알이 꽉 찬, 먹음직스러운 꽃게'로 받아들인다. 이것은 일종의 감정 유예'다. < 카타르시스 > 란 응집된 감정이 한순간에 터지는 경험. 그렇기에 진실은 항상 끝에 가서 밝혀져야 감정적 동요가 크다. 영화 << 올드 보이 >> 가 좋은 예'이다. 최민식은 모든 진실이 밝혀졌다며 의기양양할 때 전혀 다른 진실과 마주친다. 메이저리그 전설적 타자'였던 요기 베라의 명언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이 시'가 주는 감동은 예상치 못한 반전에 있다. 시인의 눈에 의해 관찰되던 꽃게가 느닷없이 인간의 말을 빌려 엄마처럼 말한다. 시점이 바뀌는 지점이다. " 저녁이야 / 불 끄고 잘 시간이야 " 이 표현은 이 시의 카운터펀치'다. " 버둥거렸으리라 버둥거리다가 / 어찌할 수 없 " 는 몸부림은 자신의 생존을 위해서가 아니라 뱃속에 있는 알을 위한 몸부림'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응집된 감정이 한순간에 터지게 된다. 독자는 비로소 꽃게의 몸부림을 이해한다. 시를 다시 읽으면서 시인이 곳곳에 뿌려놓은 단서를 되짚어간다. " 벌컥벌컥 " 이라는 표현 대신 " 울컥울컥 " 이라는 표현이 눈에 들어오고, " 꿈틀거린다 " 는 표현이 아린 생강의 맛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간장이 몸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조금이라도 막아보려고 물질을 멈춘 채 손발로 아픈 배를 감쌌을, 바닥 쪽으로 웅크렸던 어미 앞에서 먹먹해진다. 불길이 휩쓴 집 안에서 내 새끼를 살리기 위해서 웅크린, 불 타 죽은 어느 모성'이 생각난다. 시인은 " 저녁이야 / 불 끄고 잘 시간이야 " 라는 꽃게의 의인법을 통해 비극을 더욱 강조한다. 독자는 어미의 위로 앞에서 무너지게 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다맨 2015-05-02 13:0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가 보기에 정호승은 시를 그렇게 잘 쓰는 시인 같지는 않습니다. 그냥 대중한테 손쉽게 어필하기 쉬운 시(물론 이것도 대단한 능력이긴 합니다만)를 쓴다고 해얄까요. 반면에 안도현은ㅡ그 역시 정호승 만큼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기는 했지만 바로 그 때문에ㅡ문학적으로는 다소 저평가를 받은 듯 싶습니다.
요즘 시들은 다 어려워서 무슨 말을 하는지 통 모르겠던데, 그래도 안도현이라는 존재가 새삼 귀하게 여겨지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5-02 13:23   좋아요 0 | URL
확실히 안도현 시`가 미래파 시인들에 비해 저평가된 느낌이 듭니다.
미래파, 이거 너무 과대포장된 게 아닌가 싶습니다.

수다맨 2015-05-03 14:24   좋아요 1 | URL
장정일이 어느 서평에서 미래파를 일러 시를 모질게 자해함으로써 무한한 실험의 권리를 얻는 대신에 시의 원초성인 노래를 잃었다고 평가한 적이 있었지요. 그래서 문학이 사회와 완전히 격리되어 자족적이고, 게토화되는 지경에 이르렀으므로 실은 `백수파`나 다름없다며 독설을 한 기억이 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5-05-03 14:52   좋아요 0 | URL
평론이 제대로 된 몫을 못하니 서평이 오히려 평론이 해야 할 몫을 합니다. 그래서 장정일의 서평이 좋습니다.
제가 봐도 미래파 시는 자폐아의 의미를 알 수 없는 지속적 자해`라는 느낌이 확 ~ 듭니다. 진짜 문제는 미래파 시인보다는 평론이 아닌가 싶습니다. 집단으로 병맛한다고나 할가요. 언제부터 평론이 책장사꾼이 되었는지.....

포스트잇 2015-05-02 1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호승, 그래도 그의 시에 백창우가 노래를 붙이고 김광석이 절창한, 그의 마지막 녹음곡 <부치지 않은 편지>가 우리에게 남았잖아요. 그거면 된 거죠, 뭐. ㅎㅎ

곰곰생각하는발 2015-05-02 13:23   좋아요 0 | URL
흔히 떠도는 <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 > 라는 시는 정호승 시인님의 시가 아니랍니다. 정체불명인데 이게 정호승 시인의 시로 둔갑했다고 합니다. 어쩐지 제가 봐도 이게 무슨 시냐, 이랬는데 역시나 그냥 인터넷에 떠도는 시랍니다. 오늘 아침, 정호승 시인 님이 직접 지적해주셨습니다. 영광인데요.. ㅎㅎ

cyrus 2015-05-02 1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미래파 시인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시집을 읽고 싶으면 안도현, 정호승, 김용택, 신경림, 정현종, 기형도를 가장 많이 찾습니다. 되도록 다른 시인의 시집도 읽어보려고 하는데 간혹 뭔 말인지 모를 때가 있어요. 마치 수능 언어영역 지문으로 나오는 시처럼 해석하게 만듭니다. 이해를 못하면 감수성이 그리 많지 않다는 걸 스스로 깨닫게 됩니다. ㅋ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5-05-03 10:40   좋아요 0 | URL
문태준 시인 시도 좋습니다. 추천합니다 !!

수이 2015-05-02 17: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지 않아도 며칠 전에 친구들과 미래파 시인들 이야기를 좀 했는데_ 저는 미래파 하면 일단 떠오르는 인물들이 황병승과 김경주? 김경주 시인도 미래파인가 아니 아닌가, 일단 황병승 시인만 떠오르는데 읽어도 정말 어디가 그리 좋은건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뭐 가끔 좋은 시도 없지 않아 있긴 했지만. 미래파 시인들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렇게 막말을 해도 괜찮은건지;; 흠;;

오랜만에 안도현 시인 시 읽으니까 막 푸근해지네요.

곰곰생각하는발 2015-05-03 10:40   좋아요 0 | URL
미래파 시를 일반 독자가 이해하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뭔 소리인지는 모르겠으나 그런 경향의 시`에 대해 비판할 생각은 없습니다.
저도 가끔 황병승 시 중 확, 마음에 와 닿는 시가 있더라고요.
뭔 뜻인지는 모르지만 왠지 끌린다고나 할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