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더더기 없는 사회.   

 

 

 

 

 

 

민물 생선 요리를 먹을 때에는 꼼꼼하게 뜯어보며 살을 뜯어먹어야 한다. 방심하면 날카롭운 잔가시'가 목에 걸리기 때문이다. 현대 소비 문화'를 생선 살 바르듯이 꼼꼼하게 뜯어보면 현대 사회는 군더더기 없는 형태에 높은 점수를 준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에둘러 말하지 말고 바로 가자. 좋은 예가 루이비통 로고'다. 남성에게 있어서 빳빳한 명함이 자동차라면, 여성에게 있어서 빳빳한 명함은 루이비통'이다. 루이비통 가방은 동창회에 모인 동창들에게 자질구레한 설명'을 할 필요가 없다. 루이비통이라는 기표가 " 사랑받는 여자 " 라는 기의'를 내포하지는 않지만, 적어도 " 대우받고 사는 여자 " 라는 사실을 전달하는 역할은 한다. 기혼 여성에게 중요한 것은 < 사랑받는 > 이 아니라 < 대우받는 > 이다. 루 ! 이 ! 비 ! 통 ! 을 가진 여자는 축 쳐진 젓가슴을 대신하는 유사 b컵 실리콘'이다.

 

문제는 " 명품의 대중화 " 에 있다. 이제 더 이상 루이비통은 부잣집 유한 마담이 가지고 다니는 명품 가방이 아니다. 귀족이나 서민이나 루이비통 가방 하나쯤은 가지고 있다. 차별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때 등장하는 루이비통은 루이비통 로고를 밖에 드러내 놓지 않고 안으로 감춘다. 가방을 열어야지만 그 안에 로고를 확인할 수 있다. 속뜻은 명확하다. 천박하게 과시하고 싶지 않다는 태도'다. 대중적 루이비통이 멀리서도 로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크기를 키웠다면 귀족적 루이비통은 가까이에서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중적 과시에서 은밀한 과시로 바뀐 것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태도가 겸양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전략일 뿐이다. 나이키 로고가 박힌 라운드티'를 보면 그 나라 GDP를 엿볼 수 있다. GDP가 낮은 나라일수록 티셔츠에 박힌 나이키 로고'가 큰 옷이 잘 팔리는 반면 

 

부유한 나라일수록 나이키 로고는 작은 옷이 잘 팔린다. 가짜일수록 로고는 크다. 저렴할수록 로고가 큰 경향은 사람에게도 적용된다. 사기꾼일수록 호탕하며 예의바르고 친절하다. 그런 놈은 백 프로다. 저렴한 놈이다. 현대 디자인은 점점 군더더기가 없는 형태로 변했다. 스마트폰'은 버튼이 없다 ! 스마트폰은 겉으로 보기에 凸 처럼 생긴 누름단추가 없다. 이 누름단추들은 모두 안으로 들어가 있다. 마치 밖으로 튀어나온 대문짝만한 루이비통 로고가 쪽팔려서 안으로 감추듯이 말이다. 디자인 미학의 기준이 바뀐 것이다. 凹 와 凸 은 이제 더 이상 환영받지 못한다. 그것은 군더더기요, 흉터'가 된다. 이건희 또한 스티븐 잡스처럼 이음매 없이 매끄럽게 감추는 기술을 원했다. 그런데 이러한 경향은 디자인 분야에만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다.

 

한국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서 凹와 凸이 보이지 않도록 요구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건물 청소노동자를 바라보는 시선이다. 그들은 투명인간'이다. 홍길동이 울면서 요구한 호부호형은 자신을 투명인간 취급하지 말라는 요구였는데 여전히 변하는 것은 없는 모양이다. 건물 내에 귀한 손님이 찾아오면 제일 먼저 사라지는 사람들은 청소노동자'다. 건물주가 요구하기 때문이다. 외벽 전체를 통유리가 마감한 건물은 하나의 거대한 스마트폰'이다. 태양에 반사되어 반짝반짝거리면 그렇게 보고 좋을 수가 없다. 건물주는 바우하우스적이며 미니멀한 디자인을 외빈에게 자랑하고 싶다. 그래서 푹 파이거나 튀어나온 흉터( 凹凸 ) 를 감추려는 경향이 있다. 사실 손님맞이를 위해서 유리창을 반짝반짝 닦은 이들은 모두 흉터'였는데 말이다. 언제부터인가 한국 사회는 파이거나 튀어나온 요철을 부끄러워하기 시작했다.

 

자본가들이야 그렇다고 치자. 문제는 대학 문화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홍대 청소노동자 파업 때 보여준 몇몇 대학생의 태도는 건물주나 입주자나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입주자 몇몇은 청소노동자가 외치는 소리에 대해 관심이 없다. 화장실 비품 창고에서 쭈그려앉아서 점심을 먹는 게 서러워서 의자 몇 개를 요구하는, 그 소박한 주장은 시끄러운 소음에 불과하다. 그들이 보기에도 대학 내 청소노동자는 푹 파이거나 튀어나온 누름단추'다. 그런데 과연 몇몇 특정 집단에만 적용되는 문제일까 ? 그렇지 않다.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도 가만히 보면 스마트폰처럼 요철 없는 외형에 열광한다. 주름은 적이다. 보톡스는 일종의 다리미'가 되어서 주름 잡힌 피부를 매끄럽게 펴준다. 가만 보면 주름은 凹와 凸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가 ?

 

보톡스는 이 凹와 凸 을 一 로 펴주는 것이다. 이처럼 주름과 흉터를 군더더기라고 생각하고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주름과 흉터를 흉물스러운 기표로 받아들인다면 한국 사회에 미래는 없다. 인문학은 인간의 주름과 흉터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답은 결국 흉물스러운 것에 대한 이해가 아닐까 싶다. 문학도 마찬가지다. 문학은 기본적으로 주름과 흉터를 깊이 있게 들여다보는 영역이다. 한국 사회가 빙판처럼 미끄러지는 직선에 열광한다는 사실은 인문학적 소양이 부족한 탓이다.

 

 

 

 

 


 

 

 

 

 

1. 갑질 사회 : http://blog.aladin.co.kr/749915104/6366382

2, 벼락 사회 : http://blog.aladin.co.kr/749915104/6368210

3. 낙지 사회 : http://blog.aladin.co.kr/749915104/6370810

4.10분 사회 : http://blog.aladin.co.kr/749915104/6395891

5. 행복 사회 :   http://blog.aladin.co.kr/749915104/6491850 

 

 


댓글(2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4-03-19 0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끔찍합니다. 군더더기 없는 사회... 그야말로 디스토피아 아닐까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16:12   좋아요 0 | URL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모든 가전 제품에서 서서히 단추가 사라지는 추세예요.
리모컨 고장나면 대책이 없습니다. 전략인 듯합니다..ㅋㅋ

엄동 2014-03-19 0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군더더기라 업신여겨지는 이들은
음지에서 최선을 다하지만

정작,
가장 먼저 잘려나가고 버려지는 대상 또한
그들임을 알죠


주렁주렁 장식이나 군더더기가 주는
친절함"을 몰라도 너무 몰라요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16:13   좋아요 0 | URL
전 옛부터 군더더기 있는 거 무지 좋아했습니다.
뭔가 좀 인간적이잖아요.
스마트폰 보면 뭐 디자인의 화룡점정이라고 하던데
내가 보기엔 좀 병신 같은 사각형 같다는 느낌이
매우 강하게 듭니다....

samadhi(眞我) 2014-03-19 1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신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껍데기에 집중하는 낮은 정신. 그것도 "정신"이라 부를 수 있다면 말이죠. 공허한 기분이 들텐데 그걸 채우려고 또 새로운 껍질에 치중하고 치장하고.
그나저나 아이폰 홈버튼 쏙들어가 있어서 먼지가 자주 끼어 그거 3번이나 쌩돈 주고 갈아 끼웠습니다. 지금은 홈버튼 없는 전화기라 매우 편합니다. 지나치게 "편리"를 바라기 때문에 군더더기라 부르며 쉽게 잘라내는 게 아닌가 합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16:16   좋아요 0 | URL
버튼이 감추어지는 추세잖아요.
이번에 왜 동대문에 디자인 건물 하나 들어서잖아요.
오세훈이 최고 유명 디자이너 모셔서 만든....
기하학적인....

이 건물 보고 정말 엄청 웃었씁니다.
한국 서울처럼 땅덩어리 좁아터진 나라에서
이 건물은 말그대로 곡선 활용이 많아서 공간 허비가 어마어마해요.
동대문과는 어울리지 않는 듯합니다. 이런 것도 군더더기죠.
미학도 좋지만 어느 정도는 공간과 어울어져야 한느 거 아닌가 싶습니다.

마립간 2014-03-19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겸양이 전략의 부분 집합인지, 교집합을 가지나 별도의 영역이 있는지 생각 중입니다.

수학을 영속불변으로 은유했을 때, 직선이 보다 수학적이라고 생각했는데 (논리적 판단), 실제는 곡선이 더 영속적이며 불변적이더군요 (경험적 판단). 우리는 수학적 세계에 살고 있다기보다 물리학적 (프랙탈)의 세계에 살고 있죠.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16:17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 저도 이 공간은 결국 프랙탈적 세계가 아닌가 싶습니다.
순환, 환생, 재생 이런 것들의 총합이 아닌가 싶어요.
그래서 전 진화나 진보를 믿지 않습니다.
역사는 반복일 뿐이지 싶습니다.

밤하늘의별소리 2014-03-19 16: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곰발님........ 문학은 주름과 흉터를 깊이있게 탐구하는 학문이다...
저 오늘 수업시간에 무지무지 슬프고 서러운 일이 있었는데, 곰발님 덕분에 제가 잘못한것만은 아니라는 생각을 갖게 되었어요. 곰발님은 울퉁불퉁 삐죽삐죽 모난 제가 그래도 힘내서 살아갈 수 있게 힘을 주는 멋진 어른 중의 한 분이셔요...(근데 나이차이 얼마 안나면 어쩌죠..........ㅠㅋ)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18:38   좋아요 0 | URL
어른.... ㅎㅎㅎㅎㅎ 나 같은 놈이 무슨 어른입니까.
개똥같은 소리입니다. ㅎㅎㅎㅎ.
나이만 어른이고 하는 짓은 말똥구리'죠.

무슨 서러운 일이 있었는지는 모르나,
말똥구리가 잘나봤자 별볼일 없습니다.

푸르푸르 2014-03-19 19: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나보고 사기꾼이라고! ?

곰곰생각하는발 2014-03-19 20:04   좋아요 0 | URL
뜬금없이 왠 사기꾼이랍니까....

개니리 2014-03-20 14: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비겁한 또라이 새끼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0 15:38   좋아요 0 | URL
아이피 따니 누군지 알겠다. 증거 자료로 가지고 있을 게 . 시발것아..

나탈야 2014-03-20 19:46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아니 왜 비겁한 또라이처럼 익명으로 욕질이야????

당당하게 실명까고 나타나서, 페루애 빅엿 좀 먹여주세여~ 히힣~!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0 20:03   좋아요 0 | URL
사실 새나리 이 사람 비로그인으로 들어와서 댓글 달았는데
사실 전 이 사람 알라더니 닉네임 알고 있습니다. 충격적이네요. 이름달고 내건 말투와
비로그인으로 단 욕말과 전혀 다르다는 사실... 굉장히 충격적임...

곰곰손 2014-03-20 22:14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곰발이 종종 비겁한 것도 맞고 또라이인 건 더 맞지만

'새끼'라뇨?!?!?!

욕하지마라 !!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04:57   좋아요 0 | URL
곰곰손 은근히 날 디스하는 거 같어.....
흠....

엄동 2014-03-21 09:43   좋아요 0 | URL
지능적 안티"이실수도.

(오늘따라 오지랖ㅋㅋ)

엄동 2014-03-20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철렁하겠군요

엄동 2014-03-20 21: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 지금 이상함
로그인 괜히 했네
(후회)

곰곰생각하는발 2014-03-21 04:58   좋아요 0 | URL
뭐가 이상합니까. 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