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수'를 생각한다. 

 

 

- 국뽕의 좋은 예 : 김연아 보고 김연아가 아니라고 한다면 문제는 심각하다. 관계부정은 확장되면 관계망상으로 이어진다. " 너는 대한민국 국민이다 " 가 아니라 " 너는 대한민국이다 " 라고 할 때 개인을 국가로 인식하는 과대망상이 된다. 정신과 치료가 요구된다.

 

 

이번 소치 올림픽 쇼트트랙 경기에서 나는 한국인이기 때문에 한국 선수를 응원했다. 동시에 안현수 선수도 응원했다. 박근혜가 " 비정상화의 정상화 " 를 주문했다면 나는 " 빅토르의 빅토리 " 를 응원했다. 누가 이겨도 좋았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투지'이지 국적이 아니니 말이다. 지금까지 펼쳐진 레이스를 보았을 때, 빅토르의 빅토리'로 끝날 판이다. 인코너를 파고드는 솜씨와 불꽃 질주가 인상적이었다.  지금은 " 국뽕 " 이 제철인지라 안현수의 선전과 비교해서 한국 선수들이 맥을 못 추자 애국심이 투철했던 열혈 시청자들은 빙상에서 빙신으로 추락한 빙상 연맹과 선수들을 부덕의 소치'로 치부했다. 여기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 " 소치 " 는 러씨아의 소치이지 부덕의 소치는 아니다. 부덕이 부곡 하와이 옆에 있는 다운타운인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하여튼, 안현수는 영웅이 되었다. " 빙상인지 빙신인지 빵상인지 " 모를 연맹 때문에 불의에 저항한 영웅이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 안현수에게 토, 토토토토토다는 놈은 모두 to 부정사, 투투 용법, 배신, 배반형이 되는 형국이다. 국뽕이 제대로 발휘되는 시점이다. 사실 안현수를 지지하며 만행을 저지른 연맹과 선수들을 싸잡아서 비판하는 태도는 얼핏 보면 " 스포츠 국가주의를 넘어 한 선수의 개인적 선택을 존중해주는 풍토가 조성된 것 ( 미디어오늘 기사 발췌) "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게 다 한국 쇼트트랙의 성적이 형편없기 때문에 발생한 불만이다. 결국은 성적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성적 지상주의 결과가 역으로 안현수 지지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왜 그런 것 있지 않은가 ? 믿었던 놈이 못하면 오히려 열불이 나서 상대팀을 응원하는 현상 : 한-일 전에서 한국이 1대0으로 지고 있는 상황이라면 목이 터져라 한국의 빅토리를 응원하지만 5대0으로 지고 있으면 차라리 일본의 빅토리를 응원하는 삐딱한 마음 말이다.

 

안현수 사태를 냉정하게 바라보고자 했던 경향일보 기사'는 한순간에 막돼먹은 경향일보'로 찍히는 추세다. 조중동도 안현수를 옹호하며 빙상 연맹을 맹비난하는데 하물며 진보지였던 경향이 ?! 라는 속내가 읽힌다. 그런데 나는 경향일보가 오히려 한쪽으로 쏠리지 않으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여서 좋았다. 경향일보가 < 안현수 파벌 피해 ' 진실 혹은 오해 ' > 라는 기사에서 말하고 싶었던 점은 안현수를 비극적 피해자'로 만들기 위해서 지나치게 한국 선수들을 가해자로 몰고간다는 지적이었다. 안현수는 거대한 조직의 만행과 불의에 맞서 싸우기 위해 투쟁한 영웅이 아니라 단순히 자신이 바랐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러시아 行을 선택한 것이다. 내 말은 안현수는 불의에 대항한 투사'가 아니라 단순히 개인적 꿈을 충족시키기 위한 선택이었을 뿐이라는 점이다. 

 

나는 개인적 꿈을 위한 안현수 선수의 용기를 비판할 생각이 없다. 문제는 안현수가 아니다. 안현수를 소비하는 당신이다. 안현수 선수가 파벌 싸움의 희생양이었다면 역으로 안현수 선수가 한체대와 비한체대의 싸움에서 혜택을 입었던 적은 없었는가, 라는 반론을 역으로 제기해 볼 필요가 있다. 비한체대 출신 코치가 감독을 맡았을 때 안현수가 차별을 받았다면 역으로 한체대 출신 코치가 감독이었을 때 안현수를 위해 비한체대 선수들이 상대적으로 차별을 받았던 적은 없었을까 ? 애국심에는 적이 필요하다. 또한 영웅을 만들기 위해서는 악당이 필요하다. 베트맨을 위해서 조커가 필요하듯이 말이다. 지금 우리는 안현수라는 베트맨을 만들기 위해서 성적이 나쁘다는 이유로 쇼트트랙 선수들을 조커로 만들고 있다. 내가 보기에는 빙신 연맹과 함께 출전 중인 쇼트트랙 선수들도 도매가로 싸잡아서 비판하는 자세야말로 " 국뽕 "의 전형처럼 보인다.

 

빙신 연맹을 욕해도 좋다. 하지만 열심히 달린 쇼트트랙 선수를 욕하지는 말자. 안현수나 이호석 선수나 모두 열심히 달렸다. 다만 행운의 여신 티케는 안현수를 지지했을 뿐이다.

 

 

 

+

 

http://amd780501.blog.me/130185822278  : 안현수 사태'에 대한 가장 속시원한 글이다. 이 글의 핵심'은 이젠 더 이상 스포츠가 국위 선양이나 인간 승리 따위'의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지 않다고 이 글을 쓴  나턀야 이브첸코 라스콜리니코프'는 말한다. 인기 없는 종목은 퇴출당한다. 마라톤과 함께 올림픽 스포츠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레슬링'도 퇴출당하는 판국에 무슨 올림픽 정신인가. 스포츠를 통해 우정과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 글쎄다, 올림픽 정신을 구현하기에는 현대 스포츠는 지나치게 자본化되어 있다. 개인적 욕망과 국가적 욕망을 혼동하면 안 된다. 대한민국은 될 놈'에게는 관심도 없다. 오로지 된 놈'만 좋아한다. 비록 남자 쇼트 트랙 선수들이 노메달에 그친다고 해도 우리는 안현수를 지지하듯 한국 선수들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 스포츠 성적 우선 주의의 피해자라는 인식 때문에 안현수를 지지한다면, 적어도 당신은 성적 우선'에 얽매여서 노메달에 그친 한국 선수를 비판하면 안 된다. 이율배반적 태도이니깐 말이다. 대한 육식 연맹 총수님 말마따나 애국은 별개 아니다. 소고기 맛있게 사 묵고 먹은 고깃값 에누리 없이 내면 그게 애국이다. 다 큰 어른이 고기 값 비싸다고 " 음마, 앙 돼용 ! " 이라며 애교 떨지 말자. 한국 선수 노메달이라고 몸 부들부들 떨지 말자. 한국 쇼트트랙 노메달이어도 국격은 여전히 G20이다, 라고 이 글을 쓴 나탈야 이브첸코 라스콜리니코프 3세'는 말한다. 그러므로 이 글을 읽고 뿔따구가 난다면, 이 모든 비난은 나탈야 이브첸코 라스콜리니코프  주니어 3세'에게 있음을 알리는 바'다. 링크를 걸어 두니 모든 비난은 그의 블로그에서 하자 ! 나는,  지켜보겠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립간 2014-02-18 07: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과학을 좋아하고 과학에도 상보성이 있지만 과학의 상보성은 저에게 감정적 동요를 일으키지 않는데, 인문학에 존재하는 상보성/역설?은 저에게 불쾌감을 일으킵니다.

내적 유대 강화에 외부 배척 (이것은 외부 배척을 통해 내적 유대가 강화되기도 하죠.) - 같은 이유로 인해 외부에 개방적인 상황을 유도하는 것은 내적 유대감을 약화시킵니다. 외부 배척을 통해 내적 유대를 강화하려는 가장 좋은 예는 남한 사회의 북한을 대하는 태도죠. 경우에 따라 일본이 되기도 하고 중국이 되기도 하고, 서양 문명 자체가 되기도 하고 인종적으로 백인, 흑인이 되기고 하고. 이것은 분명히 도덕적으로 나쁜 것입니다. 타파해야 할 나쁜 인식이죠.

반면 문명 특히 교통 통신의 발달로 근세 이전보다는 외부 배척이 약화된 것은 사실입니다. 그래서 아프리카의 어려운 사람을 돕거나 다른 나라에 지진, 태풍이 있을 때, 국제적인 도움이 있기도 합니다. 여기에 동반된 (부?)작용이 바로 옆에 있는 사람에 대한 연민이 약화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도시에서 노숙자를 외면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일부 진보적 모임에서는 작은 사회 운동을 펼치기도 하죠.)

경향신문의 기사는 저도 읽었습니다. 한편으로 제가 생각했던 것을 이야기해 주어 후련한 면도 있지만, 인문학의 모순이 보여 답답함을 함께 느꼈습니다.

타임머신을 타고 안연수 선수 발탁이 이전으로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겠습니다. 빙상계의 집행위원들은 성인군자입니다. 누구를 선수를 뽑느냐 그 기준에, 재능있고 노력해서 실력있는 선수가 될 가능성을 뽑는 것이 정의롭고, 도덕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가능성 있는 후보가 뽑혀 훌륭한 선수가 되는 것이 아니고 뽑힌 선수가 훌륭하게 자라나는 것이죠. (말콤 글래드웰의 아웃라이어)

마립간 2014-02-18 09:27   좋아요 0 | URL
http://amd780501.blog.me/130185822278

자본주의, 대량 소비 사회 다음에 무슨 사회가 올까요. 무슨 사회가 아니고 인류 멸종이 있으려나.

곰곰생각하는발 2014-02-18 09:46   좋아요 0 | URL
스피드 스케이트'는 기록 경기입니다. 그래서 누구나 최선을 다하면 됩니다. 하지만 쇼트트랙은 스피드 스케이트와는 사뭇 다릅니다. 협동이 필요하죠. 바람잡이가 필요하는 거죠. 그게 바로 작전입니다. 같은 국가 선수 두 명이 오르면 한 명은 질주를 하고 다른 한 명은 조력자가 되어야 합니다. 뒤따라오는 다른 나라 선수의 길목을 차단하거나 앞서 달리는 자국 선수가 힘을 보충하게 만들기 위해서 느리게 질주를 해서 자신이 미는 선수와 격차를 벌이기도 하죠. 그렇다면 누가 선두가 되고 조력자가 되고 싶을까요 ?

안현수 사태는 안현수가 코치진의 작전대로 조력자 역할을 하기에는워낙 실력이 타고 났다는 점입니다. 다들 고만고만한 실력인데 안현수는 탁월했죠. 그래서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없는 겁니다. 하지만 조력자 역할을 했던 나머지 선수들도 실력이 모두 고만고만하다고 해서 당연히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을 겁니다. 바로 이 지점에서 충돌이 생기는 것입니다.

안현수는 파벌 싸움의 피해자이지만 역으로 파벌 싸움에서 수혜를 입기도 했습니다. 바로 그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
자본주의 - 소비 사회 다음은... 음, 지구최후의날이지 싶습니다..
전 지구멸망을 원하지는 않지만 인류멸망에는 동조합니다. 모든 자연생태계는 타자에게 에너지를 공급하죠. 꽃은 열매를 짐승에게 주고 짐승은 그 열매를 먹고 다른 짐승에게 먹이가 되고.. 하지만 인간은 오로지 자연을 착취할 뿐입니다.

마립간 2014-02-18 12:45   좋아요 0 | URL
첨언을 하자면, 우리 나라가 쇼트트랙에서 팀웍이 뛰어나 누구나 질주하는 선수가 되어 금메달을 딸 가능성이 있다면, 선수들이 돌아가면서 질주 선수와 조력자 역할을 바꾸는 것이 옳을까요. 아니면 그래도 역시 잘하는 선수가 질주를 하는 것이 옳을까요. 누군 말에 의하면 이 (지분에 해당하는) 파벌 싸움에 병역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안현수 선수는 탁월한 재능이 있었겠죠. 하지만 탁월한 재능이 꽃 피우는 것에 (곰곰발님일 언급한, 그리고 저도 이해를 하지만) 파벌싸움에 수혜를 입었다는 것이 탐탁하지 않다는 것이죠. 안현수 선수가 아닌 다른 선수가 발탁되었어도 그 선수가 역시 혜택을 받은 것이고요.

아랫글도 비슷한 내용
http://sports.media.daum.net/sports/column/newsview?newsId=20140218090604511&gid=110349

다크아이즈 2014-02-18 08: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격하게 공감합니다. 안현수 잘못도 없지만 안현수 사태 때문에 다른 선수들이 가해자가 되는 형국은 옳지 않다고 봅니다.
빙상연맹이 잘못한 건 백 번 지당하지만 그 때문에 그 어떤 선수도 전적으로 피해자거나 가해자가 될 수는 없습니다. 선수 모두 피해자인 게지요. 이 건 관련 각종 자료를 훑어본 입장에서 결코 안현수만이 피해자가 아니라는 걸 확신하게 되었습니다.우리 선수 모두가 피해자였지요. 지금 안현수 선수는 영웅이 되었고 심리적 경제적 보상이라도 받게 되었지만, 또다른 피해자인 선수들은 어떻게 되나요?

차제에 금메달 하나에 애국을 들먹이는 과격한 풍경이 없어지기를 바랄 뿐입니다.
개인의 영광이 타인에게 더불어 흐뭇함을 선사할 수는 있지만 온 국민이 그짓에 열광하는 것은 코미디보다 더한 코미디일 뿐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4-02-18 09:44   좋아요 0 | URL
그렇죠. 제가 하고 싶은 말을 팜므 님이 정확하게 뽑으셨습ㄴ다. 지금 뛰고 있는 선수들은 가해자가 아닙니다. 같은 피해자라고 봐야죠. 그래고 박근혜가 철딱서니없이 성급하게 경기 중에 뒷조사 운운해서 지금 뒤숭숭할 것입니다. 그들이 뭔 죄가 있나요. 4년 동안 단 며칠의 이 축제를 위해 여기 서 있을 뿐인데 말이죠.

스포츠 국가주의, 참 천박한 것인데 이게 없어지질 않아요. 올림픽만 되면 모두 안중근 의사 같습니다. 놀라운 광경임..

samadhi(眞我) 2014-02-18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지구멸망=인류멸망으로 가볍게 인식했고, 머지 않아 곧 이라는 생각에 2세도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극단적인 생각까지 가질 정도입니다. 저도 그냥 망했으면 좋겠습니다. 제가 그렇게 바라지 않아도 하루하루 멸망을 향해 달려가는데요.

언제나 분야별 스포츠협회, 연맹때문에 선수들만 죽어나는 것 같습니다. 책임자들이 심지어 그 분야 전문가도 아니고. 어쩌면 그렇게 구태의 정치행태와 똑같은지.

곰곰생각하는발 2014-02-18 20:37   좋아요 0 | URL
사람들이 흔히 인류멸망하면 지구멸망이라고 착각하더라고요. 인류가 멸망하면 지구는 번성하죠.
전 인류는 멸망해야 한다고 보는 1인입니다. 그게 지구를 착취했던 인간이 마지막에 해야 할 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모든 연맹을 꿰차고 있는 놈들은 모두 정치인이죠. 쓰레기들입니다.

나탈야 이브첸코 라스콜리니코프 2014-02-18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빙신연맹이 지랄이라서 그렇지 선수들끼리는 사이 좋답니다. (코팜)

연맹자체를 없애버려야함. 선수들 상금받으면 그거 삥뜯어 운영하는 조직이- 정작 선수한테 지랄 염병

곰곰생각하는손. 2014-02-18 14:13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전적으로 공감입니다.
대한민국 체육계는 주로
연맹이란 새키들이 죄ㅡ말아먹죠ㅡ

근데 나탈야랑 라스콜리니코프,는 알겠는데
이브첸코? ..는 어디서 가져다 붙이신 겁니까?

음.. 제법 매력적인 이름이란 생각에 궁금해서..

나탈야 알렉산드로브나 로마노바 2014-02-18 16:43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당황스럽군요... <나탈야 이브첸코 라스콜리니코프>는 페루애님이 본문에다가 직접 만들어 적어주신이름 아닙니까... ㅇㄴㄹㄴㅁㅇㅎㄴㅇㅎㅁㅇㅎ

저의 본명은 사실 다음과 같습니다.
Natalya Aleksandrovna Iskander Romanova

나탈야 알렉산드로브나 이스칸더 로마노바.

곰곰생각하는손 2014-02-18 19:21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어? 첨엔 링크만 달랑 있었는데 어느새 글이 불어났네?!ㅎㅎㅎㅎ

오호~ 본명은 그러했군뇨?! 스펠까지 가르쳐주셔서 감사하므니다.
음 그러니까 당신은.. 나탈야 알렉산드로브나 이스칸..응? 로마노.... ?

ㅎㅎㅎㅎ(에잇~ 본명은 이브첸코 머시기보다 더 지긋지긋 매력적인 이름이로군!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4-02-18 20:39   좋아요 0 | URL
나탈야 이브첸코 라스콜리니코프 주니어3세가 아니라 원래
나턀야 알렉산드로브나 로마노바'로군요. ㅎㅎㅎㅎ
전 이상하게 이 러시아 이름이 뭔가 굉장히 귀족적이고 입에 짝짝 붙어요.
다음에는 긴 이름을 달 수 있는 나라에서 태어나고 싶습니다.


+

곰곰생각하는손 ? 오늘은 우리 곰곰가문이 모두 출동해서 손발이 다 척척 맞는구나.


밤하늘의별소리 2014-02-18 19: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선전 보다보니 소름이 돋네요... 무서울지경..

또 주제에 엇나간 댓글을 남기자면, 저는 서경식의 <디아스포라 기행>을 읽고 있는 와중에 안현수 선수가 러시아로 귀화한 과정을 알게 되었어요. 한국 빙상연맹의 부패를 견디지 못하고 한국을 떠나 러시아로 간 안현수 선수가 멋있지만,저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 조선을 떠났지만 다시 돌아오지 못하고 일본에서 애매한 신분으로 남아있을 수 밖에 없는 재일조선인인 서경식 선생님의 처지에 계속 마음이 가더라구요.

<디아스포라 기행>에 나온 한 구절이예요
: 실재로 재일조선인들 중에는, 일본이 정말로 싫어져 해외이주를 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그렇게 할 수 있는 이들은 경제력이나 특별한 능력을 지닌 소수뿐임 을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
재일조선인의 대다수가 일본 식민지배의 결과 의도하지 않은 채 이 나라에서 태어났다. 때문에 이 나라의 언어밖에 모르고, 여기밖에는 집이 없고, 여기밖에 직장이 없고, 여기밖에는 친구도 아는 사람도 없다. 다시 말하면, 삶의 기반이 여기 외에는 없는 것이다. 어떤 때는 완곡하고 부드러운 말로, 어떤 때는 거친 목소리로 싫으면 나가라고 하는 말을 들어가면서, 그래도 여기밖에는 살 곳이 없는 것이다. (31)

한국의 여건이 자신과 맞지 않아 스스로 한국을 떠나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선수를 바라보면서, 한국에서 떠나야만했지만 여전히 국적을 '한국'으로 지니고 일본을 터전으로 살아가고 있기에 어느 국가에도 동화되지 못하고 살아가야만하는 그 경계인의 슬픔이 느껴지는데, 너무 억지로 문제를 연결시켜버린건가..하는 생각이 들기도하고 디아스포라의 삶에 대해서 아는 것도 잘 없어서 좀 더 알아보고 있는 중이예요;;ㅎㅎ

곰곰생각하는발 2014-02-18 20:49   좋아요 0 | URL
저게 굉장히 위험한게 자세히 보면 < 너는 한 명의 대한민국 국민이다 > 가 아니라 < 너는 단 1명의 대한민국이다 > 라고 하잖아요. 대한민국 국민이다 와 대한민국이다, 는 전혀 다르잖습니까. 멘트를 전자'로 차용했다고 해도 스포츠 국가주의인데 후자는 이에 한발 더 나아가 파시즘이 되는거죠. 이건 완벽한 파시즘입니다. 개인과 국가를 합일의 차원으로 이미지화한게 대표적으로 무엇인가요 ? 가미가제 특공대 아닙니까.
그때 그들에게 세뇌시켰던 것은 너는 국가'다. 그래서 자기 목숨 버리고 뛰어든 거...

이슬람 과격 단체도 같은 논조 아닐까요 ? 너의 희생은 국가의 부활이다, 바로 이 슬로건으로 미친듯이 자살 폭탄 테러를 감행하는 거죠. 저 광고는 그냥 재수없는 광고가 아니라 한국 사회가 파시즘으로 흘렀다는 증거를 제시하는 기표이기도 합니다.

+
디아스포라, 저도 읽어보았습니다. 많지 않은 분량인데 참 많은 것을 메시지를 던져주더군요. 문득 송두율 교수도 생각나고 스티브 유도 생각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