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은 미학에 앞선다



                                                                           봉준호 감독은 아카데미 시상식 무대 위에 올라 감독상 수상 소감을 밝히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 내가 영화 공부할 때 항상 가슴에 새겼던 말이 있었는데, " 가장 개인적인 것이 가장 창의적인 것이다. " _ 그것은 우리의 위대한 마틴 스코세이지 감독님께서 하신 말씀입니다.” 


이때 봉 감독이 사용했던 문장은   When I was young and studying cinema..... 이다. 그는 영화를 지시하는 단어 무비 movie, 시네마cinema, 필름film 중에서 cinema라는 낱말을 선택했다. 세 용어는 모두 다 영화를 지시하는 단어이지만 낱말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 무비 > 는 영화의 상업성을 강조하고, < 필름 > 은 예술성에 방점을 찍고, < 시네마 > 는 무비와 필름의 속성을 모두 포괄한다. 봉준호 영화의 성격은 분명하다. 강우석이 무비를 생산하고 홍상수가 필름을 전시한다면 봉준호는 시네마를 만든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윤리적 태도'다. 


김기덕 영화(film)의 메시지가 전복적 정치성을 띠고 미학적으로 아무리 뛰어나다 한들 추악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김기덕의 윤리적 태도에 있다. 정희진 에세이집 <<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쓴다 >> 에서 밝혔듯 정치학(입장), 윤리학(방법), 미학(영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윤리적 태도'다. 그렇기에 영화의 메시지가 아무리 뛰어난 정치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고 훌륭한 장면을 연출했다 해도 결국에는 영화 속에서 재현된 타자에 대한 윤리적 태도가 제일 중요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 사태에서 우리가 정작 놓치고 있는 것은 정치성도 아니고 미학도 아니다. 윤리학이다. 


모두가 환호할 만한 훌륭한 장면을 만들지 못했다고 비판하기에 앞서 나는 한국 질병관리본부가 질병이라는 이 무시무시한 대타자 앞에서 보인 윤리적 태도에 감동했다. 질병과 싸우되 결코 타자를 혐오하지는 않는다. 모두가 은폐하며 배제와 혐오의 방식으로 타자를 추방할 때 한국 정부는 포옹하되 물러나지 않는다. 이것은 하나의 놀랄 만한 품격이다. 시간이 지나면 이 공포도, 이 싸움도 언젠가는 추억이 될 것이다. 타자의 체온이 여름에는 지옥이겠지만 겨울이 오면 그 체온을 그리워할 날이 올 것1)이다. 윤리학는 미학에 앞선다. 




                            

1)   없는 사람이 살기는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고 하지만, 교도소의 우리들은 없이 살기는 더합니다만 차라리 겨울을 택합니다. 왜냐하면 여름 징역의 열 가지 스무 가지 장점을 일시를 무색케 해버리는 결정적인 사실, 여름 징역은 자기의 바로 옆사람을 증오하게 한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모로 누워 칼잠을 자야 하는 좁은 잠자리는 옆사람을 단지 37℃의 열덩어리로만 느끼게 합니다. 이것은 옆사람의 체온으로 추위를 이겨나가는 겨울철의 원시적 우정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형벌 중의 형벌입니다.' ......


아버님 서한에 육년래(六年來)의 혹한(酷寒)이라고 하였습니다만 그런 추위를 실감치 않았음은 웬일일까. 심동(深冬)의 빙한(氷寒), 온기 한 점 없는 냉방(冷房)에서 우리를 덮어준 것은 동료들의 체온(體溫)이었습니다. 추운 사람들끼리 서로의 체온을 모으는 동안 우리는 냉방이 가르치는 ‘벗’의 의미를, 겨울이 가르치는 ‘이웃의 체온’을 조금씩 조금씩 이해해가는 것입니다.


-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중에서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cyrus 2020-03-01 19: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날씨가 따뜻해진 봄이 왔는데도 코로나 때문인지 세상은 더 추워지는 것 같아요.

곰곰생각하는발 2020-03-02 16:04   좋아요 0 | URL
봄날이 오듯, 좋은 날도 오겠죠..

수다맨 2020-03-02 14:45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도 외출할 시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며 평소보다 손씻기에 신경을 씁니다만 어디까지나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하는 행동이지 코로나에 대한 두려움이 솔직히 크지는 않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코로나는 그저 일반 독감보다 전염성+위험성이 다소 높은 독감이라는 생각이 들어서 말이죠.
제가 보기에는 코로나의 치사율은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오늘자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의 설명에 따르면 현시각 코로나의 치사율은 약 0.5%이고 80세 이상 고령층에서 치명률이 37%까지 달한다고 하더군요. 저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노약자/투병자에 한해서는 위헙하지만 질병, 장애, 고령 등으로 인해 건강이 나쁘지 않은 일반인이라면 치명적인 위협을 주지는 못할 것이라고 봅니다.
페스트나 폴리오처럼 악명 높은 전염병이면 모를까 코로나 때문에 지나친 공포심이나 혐오감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그런데 정말로 몸이 아프신 어른이나 환자라면 모를까, 황색언론과 제1야당이 대중의 공포심/혐오감을 이용해서 여론을 호도하고 있는 것을 보니 구토가 나오더군요.

곰곰생각하는발 2020-03-02 16:04   좋아요 1 | URL
오늘 뉴스 보니 치사율이 대략 0.5 더라고요. 이건 감기죠. 일반 감기도 감기 자체로 사망하는 경우는 없죠. 기저질환이 있는 분의 면역력이 약한데 여기에 감기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 코로나 감기보다 위험하다고 볼 수는 없죠. 잘 이겨 나가리라 믿습니다..

라로 2020-03-04 18: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한해 인플루엔자로 인한 사망이 (미국에서) 30,000에서 35000명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러니까 치사율이 0.3% 정도. 코로나가 0.5%면 해마다 유행하는 인플루엔자 정도라는 얘긴데 왜 이렇게 온 세계가 난리일까요? 일본은 올림픽 개최까지 위협을 받는 것 같고...참
곰발님에게 와서 괜한소리ㅎㅎㅎㅎㅎ

곰곰생각하는발 2020-03-04 18:46   좋아요 0 | URL
선거철이잖아요. ㅎㅎㅎㅎ. 저는 정말 코로나와 마스크에 대해서 할 말이 많은데
사람들 다 마스크 쓰거든요. 지금 마스크 하나에 4000원인 곳도 있어요.
그런데 마스크 안 쓰면 걸리나요 ? 어떤 사람 보니까 마스크 쓰면서 정작 식당에서는
마스크 벗고 김치찌개 서로 열심히 나눠먹더라고요... 이거 더 위험한 거 아닌가요 ? 하도 어이가 없어서.....

고양이라디오 2020-03-17 13: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곰발님 서재에 방문합니다. 좋은 글들 많이 읽고 갑니다. 무비, 필름, 시네마의 차이 잘 배우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