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옥, 손창섭 그리고 페미니즘

 

   

 

                                                                                                                                                                                                                    문학에 문외한인지라 한국 문학의 전설로 통하는 김승옥의 << 무진기행 >> 을 읽었을 때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문학적 가치를 가름하지 못하는 쪽이다

 

어느 문학 모임에 갔을 때 S 대 국문과 출신이라는 이가 뒤풀이 장소인 호프집에서 이 작품을 " 문체의 혁신과 내용의 전복 " 으로 설명하던데, 나는 그가 내뱉는 장광설이 하도 따분해서 하모니카를 연주하듯이 치킨 닭 모가지를 두 손으로 공손하게 잡은 후에 박힌 살을 세심하게 뜯는 데에만 열중했다발라먹는 이 재미, 아시려나 그는 필사할 한국 문학으로 이 작품을 첫 번째로 뽑던데....... 글쎄올시다, 나는 모르겠습니다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         내가 보기에는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 문체의 혁신1) " 은 인정하지만 " 내용의 전복 " 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  << 무진기행 >> 에서 서른셋인 화자는 제약회사 중역으로 아내의 도움으로 벼락출세한 남자'.

출세를 위한 사랑 없는 결혼으로 읽히는데권태에 빠진 남자는 잠시 휴가를 얻어 세속을 벗어나 무진으로 떠난다. 살면서 좌절을 할 때나 실패를 할 때마다 무진을 찾았다는 화자의 고백으로 미루어 보자면 무진으로 떠난다는 행위는 고개 숙인 남성성'을 회복하려는 수단으로 보인다.  그곳에서 그는 하인숙이라는 처녀를 만나 섹스를 하며 사랑에 눈을 뜬다는 내용그는 < 세속의 명예 > 이냐 < 탈속의 사랑 > 이냐를 놓고 잠시 고민하지만 이내 무진을 떠나기로 결심한다. 하룻밤이지만 즐거웠어 ~              내가 이 소설을 읽으면서 느낀 것은 여성'을 단순하게 오로라민 C 같은 활력 보조제 따위로 취급하려는 것이었다.

내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하인숙이라는 이름이다. 이름 순서를 도치하면 하숙인이 된다. 그러니까 여인숙을 떠올리게 하는 하인숙은 하숙집에 사는 하숙인이란 의미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 > 라는 화자가 일면식도 없는 하인숙이라는 여인과 하룻밤 몸을 섞다가 떠나는 장면은 일종의 여인숙에 머물렀다가 1박 하고 떠나는 2일 여행인 셈이다김승옥이 이 소설을 쓰면서 그것을 의도했는지 아닌지는 모르겠으나설령 의도하지 않았다고 해도 어쩌면 무의식적 발현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주인공 < > 는 하인숙을 만나 진정한 사랑을 느끼지만 그 이면에는 하인숙을 값싼 하급 여관1) 정도로 취급하려는 작가의 애티튜드를 읽을 수도 있다

 

내가 주목하는 작가는 손창섭이다김승옥의 문체와 문장이 아름다울 정도로 세련되었다면 손창섭은 지식인 특유의 계몽적 태도가 없으며 정직하고 꼿꼿한 느낌을 준다단편 << 신의 희작 , 1961 >> 은 압도적 몰입을 가능하게 만드는 걸작이다. 이 소설에서 주인공 S 는 자신을 손창섭이라고 밝힌 후 이야기를 전개한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치즈코'도 실제로 그의 아내 이름'이어서 한국 문단에서는 이 작품이 자전 소설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다소설 내용을 보면 S 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개새끼'. 읽다 보면 이런 개새끼도 없다. 이 소설이 자전 소설( S = 손창섭 )이라면 손창섭은 개새끼'인 셈이다. 그런데 실제로 손창섭은 법 없이도 살 만큼 정직했으며 내성적인 성격에다가 누구보다도 애처가'였다.

그러니까 이 소설은 " 팩션 / faction " 이 아니라 " 픽션 / fiction " 인 셈이다그가 이 소설에서 말하고 싶었던 것은 한국 남자라는 사실에 대한 자기 혐오'가 깃든 자기 부정이 아니었을까 손창섭 문학은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다시 읽어야 할 매우 중요한 텍스트'특히 << 삼부녀 >> 는 매우 흥미로운 펄프픽션이다.  < 주간여성 > 에 연재되었다가 1970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원조교제와 계약 가족이라는 파격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서 막장 세태 통속소설로 치부되고 있지만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 한국문학 사상 이보다 파격적이며 전복적인 소설은 이 소설이 유일하다. 이 소설을 읽다 보면 뭐, 이런 막장 소설이 있나 _ 하며 한탄하게 된다.

아내는 시누이 남편과 바람이 나서 이혼한 상태이고, 남편은 여대생과 원조교제하는 사이이다. 결국 가족은 해체되어 모두 집을 떠나지만 남자는 떠난 자리를 마이너한 타자 - '로 채운다. 원조교제하는 여대생을 유사 아내로 모셔오고 술집에서 일하는 친구의 딸을 딸자식 역할로 데려온다새로운 가족을 재구성한 셈이다.  과연, 이 나쁜 가족극은 성공할 수 있을까 ?  얼핏 이 소설은 남자의 성적 판타지를 총족시키기 위한 싸구려 통속소설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뜯어보면 정반대로 가부장 욕망과 가족 역할의 재배치를 다룬다. 그렇기에 이 소설은 오히려 페미니즘적 시각으로 다시 읽어야 한다고 내가 주장하는 이유이다. 손창섭이 이 소설에서 주장하고자 했던 것은 낡은 가부장제 해체'이다

​그는 국내 유력 문학상을 두 번이나 수상한 뛰어난 작가였지만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다한국 정치에 대한 혐오와 한국 남성(가부장제)에 대한 경멸'이 반영된 것처럼 보인다나중에 밝혀진 사실이지만 그는 한국을 떠나 일본에 정착하며 개명한 이름은 우에노 마사루 였다. 우에노 마사루, 부계의 '을 따르는 한국 (부)성' 거부하고 아내 이름을 따랐으니 모계의 (모)성을 받아들인 것이다완벽한 자기 부정인 셈이다그는 2010623일 향년 88세로 숨을 거두었다. 숨을 거두기 전에 마지막으로 한 말은 아내에게 " 그동안 잘 대해줘서 고맙다 " 는 말이었다.

 

 

 

 

                                    

 

1) 이 소설의 문체와 문장은 정말 모던하다. 완벽하다 ! 안개에 대한 풍경 묘사는 압권이다.

2)  하숙집의 사전적 의미가 값싼 하급 여관이다

 


댓글(17)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asulemono 2018-12-20 11: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 <무진기행>을 두고 ˝내용의 전복˝을 이야기하는 건 과해보이네요. 저 정도를 ˝전복˝이라고 하면 이상의 <날개>같은 작품을 두고는 뭐라 할지...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1:59   좋아요 0 | URL
제가 그때 좀 알딸딸한 상황이어서... 뭐 하여튼 전복전복하더군요..ㅎㅎ

2018-12-20 1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1:59   좋아요 0 | URL
그렇죠 ? 왜 그 이름으로 정했을까? 첫 번째 드는 의문은 그것이었습니다.
왜 작가들은 이름 지을 때 고심을 많이 하잖아요. 상징성도 넣으려고 하고...

잠자냥 2018-12-20 13:2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손창섭에 대해 하신 말씀 구구절절 공감하면서 좋아요 7개를 누르고 갑니다.
덧붙여 ‘하모니카를 연주하듯이 치킨 닭 모가지를 두 손으로 공손하게‘에서 미친듯이 웃고 갑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1:58   좋아요 0 | URL
제가 치킨 부위 중에서 닭모가지를 제일 좋아해서..
닭모가지 살을 발라내는 데 시간이 걸리다 보니 다른 녀석들은 날개와 닭다리를 다 먹더군요..ㅎㅎ
전 항상 손해를 봅니다..

cyrus 2018-12-20 17: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얼어 죽을 전복 같은 소리하네... ㅎㅎㅎ 그 국문학과 사람한테 전복죽이나 먹으면서 정신 차리라고 말하고 싶네요.

그나저나 역시 손창섭 마니아다운 글입니다. 페미니즘 소설이 나오는 것도 좋지만, 페미니즘 시각으로 읽을 수 있는 소설들도 많이 알려져야 합니다. ^^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1:57   좋아요 0 | URL
제가 아마 손창섭의 첫 번째 마니아일 겁니다. 자랑자랑.. ^^

akardo 2018-12-20 20: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문체는 모르겠는데 내용의 전복은 헛소리 같은데요. ㅋㅋㅋ 우리나라 근대 남성작가들 소설에 흔히 나오는 게 아내 아닌 여자와 그렇고 그런 관계 맺는 거 아닌가요. ㅋ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1:57   좋아요 0 | URL
지금 생각하니 내용의 전복성은 아니고 형식의 전복성인가... 뭐, 하여튼... 전복 전복 그랬던 것은 기억이 나네요... 알딸딸할 때 들은 내용이라.... ㅎㅎ

akardo 2018-12-20 22:13   좋아요 0 | URL
형식의 전복이라면 무진에서 옛날 여자를 만나 사람이 확 바뀌어 새 삶을 살게 됐다는 식의 근대 교양 소설에서 벗어나 도로 원래 생활로 돌아갔다는 걸 말한 걸지도 모르겠네요. 그렇게 해석한 글도 본 듯한데 말이죠. 여행을 갔다가 돌아왔어도 주인공의 내면과 외면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도 포함해.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2:39   좋아요 0 | URL
이 소설 보면 무진 사람들은 다 멍청하고 속물이에요....
이 소설에는 서울에서 살던 사람이 딱 둘인데 하인숙과 주인공 남자입니다..
이 양반 둘이 주구장창 무진 사람들 속물근성에 대해 말하는데
전 이게 엘리트주의의 계몽주의적 태도로 보여서 읽는 내내 불편했던 기억이 납니다..
뭔가 더럽게 좀 가르치려고 해요..


반면에 손창섭 소설에는 그런 게 전혀 없습니다. 문체는 투박해도 문체가 꼿꼿해요..

akardo 2018-12-20 22:45   좋아요 0 | URL
오래전에 읽어 자세힌 기억 안 나는데 무진사람 속물근성 흉도 봤었군요. 아니 제가 보기에 속물근성은 주인공 양반이 제일 강한데 말이죠. ㅎㅎㅎ 손창섭 소설 재미있게 잘 봤었는데 다시 찾아봐야겠습니다.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2:50   좋아요 0 | URL
제가 보기엔 자기들도 속물이면서 무진 사람 속물이라고 흉을 보고 있죠...ㅎㅎㅎㅎㅎ
뭐, 그게 작가의 의도 같기도 하고.... 일단, 전 주인공이 꼴도 보기 싫어서..
이런 인간 질색입니다. 겉으로는 꽤나 정직한 척하지만 속은 더럽게 속물인...

akardo 2018-12-20 22:56   좋아요 1 | URL
주인공에게 감정 이입은 안되는 소설이었죠. ㅎㅎ 막장드라마에서 원래 여자 배신하고 부잣집 여자와 결혼해놓고선 불행해 웅엥웅거리는 주인공 같아 비호감이었는데.ㅋㅋ

곰곰생각하는발 2018-12-20 23:41   좋아요 0 | URL
제가 진짜 이 소설을 이해 못하는 대목이


딱 보면 남자가 출세를 위해서 제약회사 회장 딸과 결혼하잖아요.
이 사람이 곧 전무 승진을 합니다. 주주총회가 열리는데 아내가 잠시 무진 내려가 있으라고 하죠
아빠와 둘이서 일을 잘 마무리짓겠다고.. 아마도 논란이 있겠죠
남자는 무진으로 가요. 그리고는 종종 서울 일을 궁금해 하는데
회장이 주주총회에서 자신을 전무로 승진하려는 것을 상상하는데
하여튼.. 주인공은 그 장면이 좀 역겹다,.. 뭐 그런 마인드를 가졌더라고요..
속으로 제가.. 이나 시발놈, 출세에 눈이 멀어서 사랑 없는 결혼을 한 주제에
장인이 전무 추진하면 감사해야지.. 웬 정의로운 코스프레를 하지 ?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

akardo 2018-12-20 23:52   좋아요 0 | URL
위선적이죠. ㅎㅎ한국 드라마에서 자기보다 잘난 집 여자를 만나 결혼한 남자가 여자가 시댁을 무시한다느니 어쩌고하면서 그래서 나는 불행해 뭐 이러는 거 보는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