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전히 책 이야기 없는 곁가지 책 이야기다.
(내용을 기대하셨던 분들이라면 패쓰하세요.)
며칠 전 벽돌책 <백래시>를 드디어 다 읽고 홀로 자축하느라 며칠을 허비했다. 난 너무 기분파!
몇 년 전 <제2의 성>을 읽고 나서 넘 기분 좋아 곁에 있던 아무 딸을 데리고(나중에 물어보니 막내 딸을 데리고 갔었다고 했다. 난 큰 딸인 줄 알았는데?....혼자 가기 뭣해서 아무나 집에 있는 딸을 데려갔었다.) 집 근처 카페에 가 크림치즈 와플을 시켜 먹으며 자축을 했었다.
그땐 뭐랄까? 책 내용을 음미하는 그런 수준의 독자가 못되었어서 그저 책을 완독한 기쁨에만 취해 있었던 것이다.
딸에게 엄마가 이런 책을 완독했단다.
중학생이었던 딸에게 자랑을 자랑을....늘어 놓았던 나.
듣지도 않고 달달한 와플 먹기에만 바빴던 딸.
이제 몇 년이 지난 나는 비슷한 벽돌책 두께의 <백래시>를 읽었지만 이젠 와플 먹으러 달려 나가지 않는다.
그저 혼자 씨익 웃는다.
이렇게 나는 성숙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침에 미미 님의 페이퍼를 읽고 잠깐 정신연령 테스트를 해보니 33세가 나왔다.
음.....
길가메시가 먹으려던 그 젊어진다는 바닷속 깊은 곳에 감춰진 풀을 혹시 내가 먹었던 것인가!
음.....
그래도 젊다는 게 어딘가!
<제2의 성>과 <백래시> 두 권은 상당한 두께감이 있다.
두 권 중 무엇을 읽어야 할까요? 묻는다면 곤란하다.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두 권은 다 읽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백래시>는 햇볕이 드는 쪽에 책장을 놔뒀던지라 책 표지가 바랬다. <제2의 성>은 오랜 시간 펼쳐 놓고 읽느라 책 가운데가 갈라져 있다. 누가 보면 이 두 권을 상당히 고심하며 공부하듯 읽은 줄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 아니다. 읽고 나서 기억나는 구절이 그닥 없다. 전체 흐름만 기억될 뿐이다.
그럼에도 한 번쯤은 읽어볼만한 고전이란 생각이 든다.
남편이 어느 날 그런 얘기를 했다. 요사이 2~3년 전부터 내가 좀 변한 것 같다는 말을 했다. 생각해보면 최근 2~3년사이 내가 변한 게 뭔가?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없다. 늘어난 허릿살, 주름살?
다시 추궁을 하니 생각이 좀 변한듯 하단다.
그건 내가 생각해봐도 변하긴 했다.
2~3년사이 관점이 변하도록 만든 원인이 무엇인가? 찾아보니 아무래도 여성주의 책을 읽기 시작한 횟수와 맞아떨어진다.
남편은 변한 내가 어떠해 보이냐고 물은 내게 변해서 더 좋다고 생각지도 못한 긍정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예전엔 남편과 대화를 하면 너무 말이 많이 막혀서 대화를 할 때 싸워서 이기고 싶은 마음에 책을 읽었다. 지금은 대화를 해서 이기고 싶은 마음은 사라진지 오래였고, 뭐랄까, 저 사람은 왜 저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이고, 이 상황이 일어나게 된 근원이 무엇인지 궁금해서 책을 읽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궁금증이 풀리게 되면 회의감이 잦아들었던 만큼 이해의 폭이 넓어지는 느낌이어 말을 좀 아끼게 되었던 것 같다.
그리고 달마다 정희진 선생님의 오디오 매거진의 강의를 들으면서 더욱 더 삶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는 느낌이 들었다.
특히나 7월(8월이었나?)에 들었던 ‘성숙된 사랑‘에 대한 주제는 내게 큰 감동이었다.
아마도 남편은 내가 희진 샘 강의를 듣고 잠깐 며칠간의 깨달음에 통달하여 행동한 나를 보며 우리 마누라가 변했구나!라고 느낀 듯하다.
여성주의 책을 읽고 나면 늘 속이 답답하고 때론 가슴 아픈 내용들이 많아 축 처질 때도 있다. 그래서 당을 보충하거나 기분전환을 해야 한다.
하지만 정신을 깨게 만드는 도끼 역할을 하는 그 무엇인가가 분명히 있다.
내가 내 목소리를 내려면 나태하게 있어선 안 되는 것이지 않나? 싶어 부러 집 안에서라도 막 움직이게 된다.
(물론 투비 덕분에 그렇게 열심히 하지 않던 요리를 올 들어 가장 많이 하고 있다만...힘들다. 그래도 내 목소리를 내려고 그냥 한다. 아니 더 열심히 한다.)
암튼 결론은 여성주의 책은 어려워도 계속 많이 읽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분도 조금씩 읽어 보세요.!
암튼........................
암튼......
지금 페이퍼를 쓰면서 이런 내용을 쓰려고 했던 게 아니었단 생각이 지금 퍼뜩 든...
원목 테이블!! 그래. 원목 테이블!
<백래시> 책을 다 읽고 올 초에 깔아두었던 ‘북적북적‘앱에 등록을 했더니 난 이제 원목 테이블이 되었다.
원목 테이블은 3단계에서 나타나는 캐릭터다.
최종 6단계까지 업그레이드 하려면 한 2년은 걸릴 것 같다.
좀 웃겼던 건 앱 상에서도 <백래시>는 두께감의 존재감을 나타낸다.
역시는 역시다.
연말까지 3단계를 통과하는 게 목표다.
이거 자랑하려고 쓴 페이퍼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2/pimg_7860741234025724.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2/pimg_786074123402572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2/pimg_7860741234025726.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22/pimg_786074123402572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