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결혼을 거부한 철학 교사 편을 읽으면서(읽는다고 막 자랑하며 설레발을 친 것에 비하면 진도는 아직 2장이네요^^)
드는 생각은 역시 떡잎부터 다른 보부아르의 10대 시절 철학적인 사유에 절로 공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어젯밤 조지 앨리엇의 <플로스강의 물방앗간>을 잠깐 읽다가 꿈나라로 갔다 왔었는데, 보부아르는 아가 학생 시절에 이미 <플로스강의 물방앗간>을 읽고, 느끼고, 백자평?도 썼다.
조지 앨리엇의 <플로스강의 물방앗간>은 아무것도 모를 열한 살, 열두 살 즈음에 읽었다. 그 책에서 떠올린 다른 질문들도 시몬의 생애와 철학에 자취를 남긴다. 앨리엇의 작중 인물 매기 털리버는 똑같은 바느질을 반복하는 패치워크에 시간을 낭비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시몬에게 힘들고 단조로운 가사 노동이 으레 당연한 일처럼 주어진다면 어떻게 자신과 타인의 욕망 양쪽 모두에 충실할 수 있을까? 여성은 많은 것을 희생하는데 남성은 별로 그러지 않는 게 ‘사랑‘이라면 사랑은 과연 할 만한 가치가 있을까? 학생이었던 1926년에 쓴 일기에서 시몬은 여전히 자기 자신을 얼마만큼 양보하고 지켜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숙고한다. 매기 털리버가 사랑하게 된 스티븐은 그런 사랑을 받을 가치가 없는 남자다. 보부아르는 왜 메기가 그에게 끌리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내가 상상할 수 있는 유일한 관계는 친구 같은 사랑이다. 책을 교환하고 대화를 즐기는 남녀 사이가 영원히 남는 것 같다˝
(62쪽)
보부아르는 어린시절부터 ‘나‘와 ‘타인이 보는 나‘ 사이의 양가 감정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진정한 내 모습인 것인지? 고민하는 조숙함이 돋보인다.
타인에게 헌신하는 삶을 살고 싶은 마음과 나를 위해 살고 싶은 마음, 이 상충하는 욕망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는 보부아르의 학생 시절 일기, 실존주의 윤리, 페미니즘의 중심 질문이다.
(65쪽)
어린 시절부터의 오랜 고민이 결국 실존주의 윤리를 이루는 근간이 되었고, 훗날 사르트르에게도 큰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시몬은 일기에서 스스로 삶을 부끄러워하지 말라고 한다. 삶을 얻은 이상, 가능한 한 최선의 방식으로 살아낼 의무가 있다. 자기를 온전히 내어준다는 것은 사실상 ˝정신적 자살˝이다. 자기를 얼마나 내어주고 지킬 것인지 결정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그 편이 쉽다. 시몬은 이때 필요한 것이 ˝균형˝이라고 말한다. 균형이 잡힌 사람들은 ˝타인을 섬기기 위해 자기 의식을 완전히 없애지 않고도˝ 자기를 내어준다. 시몬은 자기를 내어주되 자기를 잃지 않으면서 살고 싶었다.
(81쪽)
어린 시절부터 미래의 약혼자라고 약속 아닌 약속되어진 관계의 자크라는 남자와도 서로 왕래하며 잘 지내왔지만 막상 결혼 적령기가 되었을 때 보부아르는 자크와의 결혼 생활에 대한 기대를 일찌감치 접는다.
보부아르의 어머니는 자크와 연결시켜 보려고 노상 좌불안석이었지만 말이다.
참 갑자기 생각이 났는데 <글 쓰는 딸들> 책에서 보부아르 편에 그려지는 보부아르 어머니 프랑수아즈는 매우 엄격하고, 고지식한 엄모로 그려졌다는 기억이 떠오른다. 여기서는 엄하고 고지식함도 여전하지만, 조금 더 극성스러운 엄마로도 비친다. 그리고 프랑수아즈도 머리가 상당히 비상하였던 듯 하다. ‘딸들이 크고 시간이 많은 프랑수아즈는 독서와 공부에 매달리면서 시몬의 공부를 따라갔다고 한다. 머리가 좋았던 프랑수아즈는 공부를 하면 할수록 다니엘루 선생의 커리큘럼에 감탄하게 되었다.(77쪽)‘
라고 한다. 보부아르의 엄마 프랑수아즈도 환경이 달라 좀 더 많은 교육을 받았더라면 보부아르의 교육의 질은 다른 방향으로 또 달라지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다.
1927년 5 월 일기에서도 이 외로움의 표현을 볼 수 있다.
˝나는 정신적으로 매우 외롭고 내 삶의 초입에서 갈피를 못 잡고 있다...나에게 가치가 있고, 할 일과 할 말도 있다는 생각은 든다.˝ 시몬은 자신의 ˝지적 취미˝와 ˝철학적 진지함˝을 ˝미소˝로 일축해버리던 자크의 태도를 돌이켜 보고 결연하게(여백에 강조까지 해 가면서) 이렇게 썼다. ˝내 삶은 단 하나뿐인데 하고 싶은 말은 많다. 그는 내 삶을 나한테서 앗아 갈 수 없을 것이다.˝
자유를 다시 생각한 시몬은 일기에 이렇게 쓴다.
˝자유로운 결정과 상황의 상호 작용을 거쳐야만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다.˝
(86쪽)
균형, 상호 작용, 자유로운 결정...
줄곧 고민해 온 사유들은 곧 보부아르 철학의 정신을 이루어 준 결과물이었다.
일기에는 자기와 타자 사이의 ‘균형‘ 문제가 계속 나온다. 시몬은 자기 삶을 두 부분으로 쪼개기 시작했다. ˝타자들에 대한˝ 삶과 ˝자기 자신에 대한˝ 삶. 이 구분은 사르트르가 <존재와 무>에서 수립한 그 유명한 구분 -‘대자 존재‘ 와 ‘대타 존재‘ - 보다 시기적으로 훨씬 앞선 것이다. 사르트르의 구분이 시몬의 소설과 <제2의 성>에서 영향을 끼쳤다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그러한 시각은 시몬이 이미 어릴 때부터 독자적으로 수립한 것이다.
(90쪽)
보부아르 관련 책을 먼저 읽고, 사르트르의 책을 순서로 읽어봐야 할 이유를 발견한 셈이다.
근데 언제 읽나?
암튼,
읽으면서 내내 감탄 하며 도넛을 먹다가,
문득 이 도넛과 커피는 보부아르 님께 바쳐야 하는 게 아닐까?
그런 엉뚱하면서도 예의바른? 생각이 들었다는 것이다.
오늘의 보부아르님 책 독서 기록 끝.
![](https://image.aladin.co.kr/product/26266/52/cover150/k832738584_1.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1004/pimg_78607412335806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