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3부작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욕은 무진장한 공간, 끝없이 걸을 수 있는 미궁이었다. 아무리 멀리까지 걸어도, 근처에 있는 구역과 거리들을 아무리 잘 알게 되어도, 그 도시는 언제나 그에게 길을 잃고 있다는 느낌을 안겨 주었다'[유리의 도시에서]

폴 오스터의 초기 작품이라는 이 책을 처음 읽을 때는 그저 그렇게 끝없는 미궁을 걷는 듯한 느낌이 드는 도시의 이야기인줄만 알았다. 초기 작품이라니.. 그럴것 같지 않은가.
그런데 책의 마지막 장을 읽어나갈 즈음에는 갑자기 혼란이 오기 시작해버렸다. 아무래도 이 책은 마지막을 덮으며 다시 첫장을 펴들어야만 할 것 같은 의무감 비슷한 것 때문에 다시 읽어보게 되지 않을까?

어떤 책이든 리뷰를 쓴다는 것이 쉬운것은 아닌데, 이 책은 특히나 더 어렵다. 그저 단순히 '저도 이 책 읽었거든요..'라는 말 외에 내가 할 수 있는 말이 없을 듯 하다. 폴 오스터라는 작가가 도대체 어떤 작가인지도 모르던 90년대 초 우연히 그의 책을 읽고 뭐라 딱히 꼬집을 수 없으면서도 무의식적으로 그의 책이 번역되어 나오면 당연하다는 듯 구입해서 읽기 시작한지 10년이 되어가는 것 같다.

솔직히말하자면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가 아주 위대한 작가라든가 그의 작품이 이러이러해서 대단하다..라는 말을 하지 못한다. 항상 책을 읽고 난 후 뭔가에 머리를 한 대 맞은듯한 그런 둔탁한 느낌을 설명할 수가 없다.

그리고 또 솔직히 말하자면, 폴 오스터의 책은 다른이들의 리뷰를 읽는것보다 직접 그의 작품을 읽어보고 느끼는 것이 최고의 선택이라는 생각을 버릴 수 없다. 그의 작품에서 아주 깊은 내면의 세계를 느끼게 되든, 황당하고 어이없는 가상의 세계를 느끼게 되든 그것은 책을 읽는 자의 몫이려니....

'그러나 아직은 이야기가 끝난 것이 아니다. 마지막 순간이 아직 남아 있고, 그 순간은 블루가 방을 나서기 전에는 오지 않을 것이다. 그것이 세상 돌아가는 방식이다... 그가 어디로 가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어떤 일이건 일어날 수가 있다.... 나는 은밀한 꿈 속에서...'[유령들 중에서]

폴 오스터가 은밀한 꿈 속에서 무엇을 생각하고 있는지 나는 모른다. 그의 말에서처럼 '우리는 아무것도 알지 못하며' 나는 여전히 그 상태로 마치 되돌이표가 있는 듯 이 책을 다시 한번 읽어보려 할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