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애소설 읽는 노인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정창 옮김 / 열린책들 / 2001년 3월
평점 :
절판
내게 있어 리뷰는 책을 읽은 느낌이 강하면 강할수록 더욱 쓰기 힘들어지는것 같다. 마음속에선 뭔가 강한것이 느껴지는데 그것을 정리한다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연애소설 읽는 노인>이란 제목을 처음 봤을 때는 그냥 흘려버렸었고, 추천도서목록에서 다시 그 제목을 봤을 때는 왜 하필 '연애소설'을 읽는 '노인'일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환경'운운하는 추천의 이야기에 이러한 제목을 가진 환경소설은 어떤 책일까 하는 호기심에 한번 읽어보기로 했다. 책의 제목에서 풍기는 은근한 서정성을 느끼며 무심코 책의 첫장을 열었는데 맨처음 마주하는 작가의 말부터가 일순 긴장하게 만들어버린다.
노인은-그의 이름은 '안토니오 호세 볼리바르 프로아뇨'이지만 그저 '노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더 현실감있게 느껴진다- 그에게서 모든것을 빼앗아간 밀림을 증오하였으나 밀림은 다시 그에게 살아가는 방법을 알려주었고, 그 밀림 속에서 그는 완전한 자유를 누렸다. 증오심도 잊어버렸고, 자신이 자유롭다는 인식조차 잊은채...
밀림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간다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었다. 그리고 밀림 속에서 살아가는 수아르족의 '죽음'에 대한 예식 역시 밀림을 살아가는 자의 것이라는 것을 느끼게 한다.
노인이 가장 좋아하는 '연애소설' 읽기를 멈추게 하는 삵쾡이의 사냥에서 '먼저 싸움을 건 쪽은 인간이었고 인간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잃은 짐승은 인간과의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싸움을 벌인 후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기를 원한다'는 사실을 느낀 노인은 그 싸움을 피하지 않는다.
이 모든것의 시작은 '인간'이 밀림에 사는 그들의 영역을 침범하여 세상의 모든 창조물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금속성의 짐승을 마구 휘두른데서 시작되었다...
책을 다 읽고 나니, 그 수많은 책들 중에서 다섯달이나 걸려 노인이 결론을 내린 좋아하는 책은 '연애소설'이라는 말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마음아파하고 인내하고 슬퍼하지만 어쨋거나 연애소설에는 사람들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가 담겨 있다는 것을 천.천.히 새겨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