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전당포 살인사건
한차현 지음 / 생각의나무 / 2003년 1월
평점 :
절판


<깊은 산 속에 나무 한 그루가 벼락을 맞아 두쪽으로 갈라졌어. 너무 깊은 산속이라 세상 어떤 사람도 아직까지 그 나무를 본 적이 없대. 그 나무가 벼락을 맞았을 때 소리가 났을거 같아 안났을 거 같아?><넌센스 퀴즈야, 심리 테스트야?><우리들 모두, 차연이고 나고, 언제 어디서나 다른 누군가의 시선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뜻이야. 사람은 혼자가 아니거든. 혼자일 수도 없지. 세상은 그래서 온갖 시선과 시선들이 얽혀 돌아가는 거고>...얼뜨기 대학생활 시절에 선배 하나가 질문을 던졌다. '우리가 지금 앉아서 대화를 나누고 있는데, 여기, 재떨이가 하나 있지. 그런데 지금 아프리카 원시림에 사는 원주민들에게 이 문명의 발명품 중 하나인 재떨이가 존재하고 있을까?'왜 나는 수많은 이야기들 중에 그 한가지 질문을 기억하고 있을까...존재에 대한 의미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바로 그때 고민을 했어야 하는데, 나는 여전히 지금도 그에 대한 해답을 헤매고 있을뿐이다...'사람은 혼자가 아니고, 세상은 그래서 온갖 시선과 시선들이 얽혀 돌아가는 거'라는 말 속에는 '존재'를 '의미'로 받아들인다는 뜻일까? 그것도 잘 모르겠네.

어쨋거나 '영광전당포 살인사건'은 어쩌면 재미있을지도 모를 추리소설을 읽는 기분으로 책을 집어들었다가 전혀 맞닿지 않는 느낌으로 책을 덮게 되는 책이다. 물론 무척이나 흥미롭고 재미있으며, 또한 깊이 생각하다보면 머리가 아플지도 모르는 책이기도 다.
참으로 뜻밖의, 멋진 소설이기도 하며!지금의 정치, 사회현상을 바라보고 있을 때, 요즘은 흔한 말로 '상생(相生)'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또한 과거의 희생으로부터 자유롭게 될 때 이루어질 수 있는 것 아닌가.그래서 소설 속 '차연'의 말은 참 의미깊게 들린다.'화해, 를 원한다'는 말.그래서 그는 자유를 얻었고, 새로운 세계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것이다.라스꼴리니꼬프의 새로운 삶이 아니라, 한차현이 얘기해 주는 '차연'의 새로운 삶,이 시작되는 것이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