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다 양자역학 때문이야
제레미 해리스 지음, 박병철 옮김 / 문학수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원한 건 절대 없어 결국에 넌 변했지 이유도 없어 진심이 없어 사랑같은 소리따윈 집어 쳐 오늘밤은 삐딱하게...

하아, '이게 다 양자역학 때문이야!'

뭔가 절묘하게 노래 가사와 책 제목이 하나의 문장처럼 이어지고 있다. 철학적 명제로 영원한 것은 없다,라고 생각해보면 지금의 나와 1초전의 나는 절대적으로 똑같을수가 없는데, 지금 글을 쓰고 있는 나 역시 내가 맞다고 할 수 있을까? 뭐 이 내용이 이 책의 주제는 아니니 '양자역학'의 이야기로 돌아가자면, 솔직히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전혀 모르는 내가 '우주 만물의 근본적 특성에 대해 알고 싶은' 마음과 이토록 유쾌하게 양자역학을 이야기한 책이 없다는 말에 홀랑 넘어가 책을 펼칠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물론 첫 시작은 무슨 말인지 몰라도 뭘 말하려고 하는지는 알 것 같았다. 지금까지 흔히 접해왔던 조건 명제와는 달리 두개의 상황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좀비 고양이가 탄생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전자가 도는 방향에 따라 자전감지기가 켜지면 발사체와 연결된 권총이 발사되어 고양이가 죽고, 전자가 반대방향으로 돌면 전자감지기와의 접촉이 없어 권총은 움직임이 없게 되고 따라서 고양이는 살아있다. 전자 election는 시계방향으로도 반시계방향으로도 돌 수 있기에 고양이는 죽었을수도 살아있을수도 있는 것이다. 이 고양이의 존재를 본적은 없지만 좀비고양이라고 한다...


비약적인 상상력으로 나를 구성하는 원자가 빛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면 나의 순간 이동은 현실이 되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양자역학과 관련된 의문인가 싶긴 하지만, 전자의 입자가 이렇게도 움직이고 저렇게도 움직이고 있다면 이게 불가능은 아니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사실 양자역학은 책으로 읽으며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물리학 선생님과 같이 읽으면서 터져나오는 궁금증을 묻고 답을 들으며 배워야 정말 재미있고 유쾌한 양자역학으로 인식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책을 읽으면서 - 물론 저자의 글쓰기 흐름이 그렇게 유도를 하게 한 것이겠지만 - 확실히 '자유의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기기 시작했는데 '양자 세게의 자유의지'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도 한다. 뭔가 정리를 잘 해주고 있기는 하지만 개념 정의가 확실하기 전에 그 이론에서 확대되어 인문 철학의 이야기로 이어지고 있으니 책을 읽을 때는 아하! 라고 했더라도 지금 내게 설명해보라고 하면 이 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건 그저 좀비 고양이일뿐이다. 

뭐, 좀비 고양이의 존재를 믿을 수 있느냐는 또 다른 문제지만.

이해하기 힘든 책읽기가 되었지만 그래도 누군가 '양자역학'에 대해 이야기를 꺼낸다면 기꺼이 귀기울여 듣고 싶은 주제가 된 것은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