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객 13, 14권이 나왔다. 13권에서는 소내장, 궁중 떡볶이, 겨울 피라미, 식혜, 만두를 다루고 있고, 14권에서는 대구, 김치찌개, 김, 우럭젓국, 닭강정을 다루고 있다고. 비교적 우리의 생활과 익숙한 음식들이 많은 듯.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음식들도 많이 있고. 은근 기대된다.





요새는 1+1도서가 부쩍 늘어난 듯. <화가의 집을 찾아서>를 구입하면 <그 산을 넘고 싶다>를 함께 준다고 한다. 문학을 배우면서 많은 작가들이 자신의 부대끼는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에 대해서 인식하게 됐다. 때문에 실제로 지역과 작품을 연관시켜서 설명한 책들도 있고. 이 책에서는 화가와 장소와의 연관성을 통해 우리 미술을 바라보는 눈을 마련해주는 듯 싶다. <화가의 집을 찾아서>에서는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와 관련된 화가들을, <그 산을 넘고 싶다>에서는 전라도, 제주도와 관련이 있는 화가들을 다루고 있다. 곧 출간될 3권에서는 서울 경기 지방과 관련된 화가들을 다룰 예정이라고.

 








얼마 전에 나온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에 이어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가 출간되었다. 1권은역사,정치편, 2권은 사상편, 3권은 문학 상, 4권은 문학 하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양의 고전을 읽는다>와 마찬가지로 여러 전문가들이 총 72종의 동양 고전을 소개하고 있다. 서양 고전에 비해 다소 낯선 작품들이 많이 보이는 듯.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내용이지만 유교 사상을 가진 중국와 일본의 고전들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도움이 될 듯.



서점에서 잠시 들춰봤는데 생각보다 두꺼운 듯한 느낌이었다. 칼라판이라 그런지 무게도 꽤 묵직했던 편이고. 모리스 샌닥의 시작하는 말로 존 버닝햄이 자신의 삶과 동화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놓고 있다. 간간이 삽화도 있고, 사진도 함께 있어서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을 듯. 존 버닝햄의 전시회에도 가봐야 할텐데.



댓글(9)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07-13 14: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식객 나왔네요 ㅜ.ㅜ

이매지 2006-07-13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3권 제목이 무려 <만두처럼>입니다. ^^;;

가넷 2006-07-13 14: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다시 나왔네요.ㅡㅠㅡ 흠.,.. 그냥 처음에 나왔던 판형으로 나오면 좋을텐데.

이매지 2006-07-13 14: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용이 똑같으려나 모르겠네요. 근데 700장쯤되는 두께는 부담스럽잖아요^^; 하기사 2권짜리가 4권으로 나오면 책값이 뛰니 700장이 나으려나..-ㅅ-a

기인 2006-07-14 0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정말, 우리는 국문과라도 서양고전이 훨씬 익숙하죠? 역시 근대 이후 우리는 서양에 훨씬 더 가까울지도 모르겠어요. 물론 국문과 선생님들 중 극구 아니라고 주장하시는 분들도 많지만 ^^;

이매지 2006-07-14 0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실 제가 읽는 책 중에 90프로는 서양 문학이 아닐까 싶어요. 그나마 좀 내가 명색이 국문학도인데!라고 생각하며 읽는 건데 영 안 땡기더라구요. 한국문학작품들은 그 나름대로의 고유성을 가지고 있긴 한데 서양문학작품이랑 비교했을 때는 소재나 플롯같은게 좀 약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곤해요. 하기사 서양의 문학을 접하면서 자란 사람들이 쓴 글은 서양에 가깝지 않을까 싶긴 해요^^

기인 2006-07-14 08: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넹. 저는 근데, 요즘은 번역된 작품은 목에 뭐가 걸린 듯 해서 잘 못 읽겠어요. 번역을 한 번 해보고 나니까, "이건 그 사람의 언어가 아니야"라는 생각이 너무 강하게 들어서요. (그렇다고 원서는 ㅡ,.ㅡ ) 요즘 한국소설들 재미없는 것들이 태반이지만, 그래도 한국작품들 읽고 있지요 뭐. 전공자지만 유명한 것만 읽죠 뭐 ㅎㅎ

이매지 2006-07-14 1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 이유로 한국작품들을 읽고 계시다니.^^; 전 그래도 번역때문에 재미가 반감되도 그냥 번역서들 읽을래요. (무슨 국문학도가 이렇담)

이매지 2006-07-14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쭉 일반입니다 -ㅅ-;;; ㅋㅋㅋㅋㅋㅋ
이 놈의 마일리지 인생-_-;
 

누가 더 즐거웠을까?

피터 매카티 글, 그림 / 장미란 옮김 / 바다어린이

 

 




 

고양이 페이비언은 창가에서,

강아지 혼도는 마루에서,

저마다 가장 좋아하는 자리에서

색색 자고 있습니다.

 

 




 

"혼도야, 일어나. 놀러 가야지!"

혼도는 재미있는 곳에 놀러 갑니다.

 

 




페이비언은 집에 남아 있습니다.

 

 




도는 자동차를 타고 어디로 가는 걸까요?

 

 




혼도는 바닷가에서 친구랑 놉니다.

 

 




페이비언은 집에서 아가랑 놉니다.

 

 




혼도와 친구는 신이 나서 바다로 첨벙 뛰어듭니다.

 

 




페이비언은 어디론가 뛰어갑니다.

 

 




혼도는 친구랑 재미있게 놀고 있습니다.

 

 




페이비언도 재미있게 놀고 있습니다.

 

 




이제 혼도는 배가 고파요.

혼도는 물고기가 먹고 싶어요.

 

 




페이비언도 배가 고파요.

페이비언은 칠면조 샌드위치가 먹고 싶어요.

 

 




드디어 혼도가 돌아왔습니다.

어서 저녁밥을 먹어야지요!

 

 




혼도와 페이비언은 사이 좋게 저녁밥을 먹습니다.

 

 




혼도와 페이비언은 배가 부릅니다.

이제 늘 자던 곳으로 돌아갑니다.

 

"혼도야, 잘 자."

"너도 잘 자."

 

 




"아가도 잘 자!"

 

 

 

햇살이 따뜻한 곳에서 읽으면 너무나 잘 어울릴 것 같은 책이죠?
짤막짤막한 글임에도 여운이 길게 남습니다.
누가 강아지와 고양이를 천적이라고 했을까요?
여기서는 너무 다정해 보이기만 하는걸요.
그림도 너무 예뻐요.
전 그림을 보자마자 크빈트 부흐홀츠를 떠올렸는데 여러분은 어떠세요?
부드러운 파스텔 그림이 서로 닮은 것 같아요.
파스텔은 선명하다기보단 은은한 느낌이잖아요.
그래선지 꼭 꿈을 꾸고 있는 기분이 들어요.
아기가 자기 전에 읽어 주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책은 저만 예쁘다고 생각한 게 아니었나 봐요.
2002년에는 <뉴욕타임즈> 올해의 최고 그림책상과 2003년에는 칼데콧 아너상을 수상했거든요.
(칼데콧상은 최우수상 1권, 칼데콧아너상은 우수상으로 1~5권이 선정됩니다.)

이책을 보고 나니 고양이를 키우고 싶은 마음이 더 커진 것 같아요.
(의자 위에 예쁘게 앉아 있는 페이비언이... 마치 "날 가지세요~." 하고 유혹하는 것만 같아요. ㅠ.ㅠ)아이가 태어나기 전에는 고양이는 요물이라는 집안 식구들의 반대로
아이가 태어나서는 아이 건강에 해롭다는 반대로
이래저래 고양이와는 인연이 없는데요.

만화가 이우일씨네 집에 있는 너무나도 멋진 고양이 카프카가 순간 떠오르네요.
그럼 날 때부터 카프카와 함께 자란 은서는 어떻게 건강하단 말입니까!!!

참, 책 날개 뒷쪽에는 혼도와 페이비언의 진짜 모습도 볼 수 있답니다.
피터 매카티와 그의 아내 윤희, 딸 숙희가 실제로 키우는 애완동물들이거든요.
이름을 보니 우리 나라 분과 결혼하셨나 본데...
그렇다면 페이비언과 함께 놀던 아가가 숙희인가 봐요.
아무튼 오랫만에 따스한 감성의 그림책을 만나 기분이 너무 좋았어요.
혼도와 페이비언 둘 중에 누가 더 즐거웠는지는 여러분의 생각에 맡길게요! ^^

 

출처 : http://paper.cyworld.com/book-lover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7-06 10: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담아갈게요.^^

이매지 2006-07-06 14: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매거진 T에서 소개된 걸(http://www.aladin.co.kr/blog/mypaper/906496) 보고 조금 관심있는 정도였는데 기인님께서 보고싶다고 원츄를 날려주시니 괜히 따라서 나도 갑자기 보고 싶어져서 어둠의 경로로 보게 된 드라마. 이제 겨우 에피소드 2개를 봤을 뿐이지만 생각보다 재미가 쏠쏠하다.

기존의 수사드라마들, 그러니까 CSI에서는 범인을, WAT에서는 실종자, 24에서는 테러범을 찾았다면 크리미널 마인즈에서는 범인의 성향을 알아내어 추가적인 범죄를 막고자한다. (물론, 범인의 검거도 목적이지만) 드라마의 등장인물들은 FBI의 프로파일링 팀으로 행동과학, 성범죄, 강박범죄분야의 스페셜리스트, 비범한 천재, 베테랑 프로파일러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적인 물증으로 범인을 찾는 것이 아니라 범인의 입장에서 그의 심리적인 상태를 포착하여 추론해내는 방식이라 다소 뜬구름잡기식의 수사라고 보일 수도 있겠지만 따지고보면 꽤 논리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듯. 

미국 내에서 FBI의 프로파일러는 총 FBI 요원 12000명 가운데 29명밖에 없을 정도로 최정예요원들이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권일룡 경사가 유일한 프로파일러라고 한다. 낯선 개념인 프로파일링의 세계에 대해 흥미롭게 접할 수 있는 드라마인 듯. 아. 그리고 등장인물인 기니언이 읊조리는 명언같은 것들도 나름대로 인상깊은 드라마.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werpoll 2006-07-05 14: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저 이거 볼까 CSI볼까 하다가 우선 CSI부터 보자 !하고 요새 그거 보고 있는데
CSI다보고 난뒤 이거 봐야겠네요+ㅁ+ㅎ

Mephistopheles 2006-07-05 15: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가운데 앉아 있는 심약해 보이는 청년이 납치범의 미간사이에 아무 주저없에 총알을 박는 걸 보고 경악을 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이매지 2006-07-05 23: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토깽이탐정님 / 이건 아직 1시즌밖에 안나와서 금방 볼 것 같은^^ WAT도 나름대로 재미있어요^^
메피스토님 / 아니 저 청년이 납치범에게 총질을! 의외로군요! 그나저나 메피스토님도 은근 드라마 보신 게 많은 듯 ㅋ
 

 <궁중그네>와 <인더풀>, 그리고 <라라피포>로 접해본 오쿠다 히데오의 신작인 점도 관심을 끌었지만 그보다 더 관심을 끌었던 것은 <박사가 사랑한 수식>과 <밤의 피크닉>의 뒤를 이어 2006년 서점대상을 수상했다는 점때문에 관심이 간 책. 책의 표지도 다른 책들과는 달리 만화틱하면서 개성넘치는 듯해서 마음에 든다. (왠지 오쿠다 히데오와 어울리는 듯한 느낌이랄까.) 여튼 이번에도 익살스러움과 정곡을 찌르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파이이야기>의 작가 얀 마텔의 2003년 작품이 출간되었다. <파이이야기>에서는 호랑이와 소년이 태평양을 표류하는 이야기를 그렸다면 이번 책에서는 하룻밤 만에 성별이 바뀐 한 남자의 이야기라고 한다. 의도하지 않게 성별이 바뀌어버린 주인공의 삶이라. 이번에도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날 수 있을 듯.





인테리어 관련 도서들을 보면 DIY용이라고 해도 따라하기에 너무 어려워보이는 것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요새는 비전문가들의 인테리어 도서들이 부쩍 많이 출간되는 듯하다. 이 책 <혜나네 집에 100만명이 다녀간 까닭은?>도 직장여성의 8년간의 노하우를 담은 책이다. 실질적인 내용의 구성도 좋지만 홈페이지에 오른 질문들의 Q&A를 담은 것도 꽤 도움이 되는 듯.




<모든 살인은 증거를 남긴다>와 <프로파일링>의 저자 브라이언 이니스의 신작. 수백장의 컬러사진으로 과학수사의 세계를 생생한 현장감으로 느낄 수 있게 했다. 이번 책에서도 실제 CASE와 함께 여러 이론을 보여주고 있는 듯. 차례를 보니 내용적인 면에서는 <모든 살인은 증거를 남긴다>와 <프로파일링>과 겹치는 부분이 있는 듯. 물론 이 책이 더 뒤에 나온 책이니 좀 더 최신식의 과학수사기법을 수록하였겠지만 왠지 찝찝한 느낌이 들기도.



1940년대부터 시작된 강준만의 한국 현대사 산책이 이제 1990년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비교적 가까운 시대의 사건을 다루고 있는 책이라 거리감없이 읽어갈 수 있을 듯하다. 저자는 1990년대라는 최신 현대사를 세밀하게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서문에서 "100년 전보다는 10년 전을 알 때에 이 세상에 대한 이해가 선명해지는 경우가 아주 많다. 10년 전 역사에 대한 이해는 대단히 실용적이고 유익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과연 그가 바라본 지난 10년의 모습은 어떠했는지 궁금해진다.


뉴토익에 발맞춰 꾸준히 나와주는 Superb Elite TOEIC이 벌써 3권째 출간되었다. 앞선 2권과 같게 테잎과 모의고사로 구성된 책은 뉴토익 뚜껑이 열린 후에도 꾸준히 나와줘 현재로서는 부족하기만 한 뉴토익 모의고사 분야를 채워주는 듯 하다. 좋은 문제들로 감을 익힌다면 실전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3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인 2006-07-01 2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강준만 교수의 열정은 당췌!!! ^^

이매지 2006-07-01 20: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단한 것 같아요. 1년에 책을 당췌 몇 권을 내는지.
기억이 흐릿해질만하면 한 권씩 툭툭.
심지어 이렇게 3권이 한꺼번에.

마태우스 2006-07-03 14: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땡스투 하러 왔습다.

이매지 2006-07-03 2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님의 취향에 맞는 책이라면 남쪽으로 튀어! 사신건가요? ^^

마태우스 2006-07-04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삽니다..어제는 주문하다가 뭔가 잘못되서요^^

이리스 2006-07-10 0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혜나네... 이거 땡투 했어요. ^^;

이매지 2006-07-10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 기다릴께요^^
 

1. 소개

이제 막 의사로서 발을 내딛은 외과 인턴들의 이야기. 5명의 인턴(메러디스, 크리스티나, 조지, 이지, 알렉스)와 그들을 담당한 레지던트 베일리(일명 나치)와 외과의 버크와 셰퍼드가 등장한다. (뭐 이 외에 치프나 간호사들도 등장하긴 한다만.)

단순히 초보의사들의 좌충우돌 이야기가 아닌 병원 안에서의 사랑과 우정, 그리고 개인사 등에 대한 이야기라 의학 드라마라고 해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듯. 시즌 1은 총 9편, 시즌 2는 29편까지 있다. 

2. 감상

대개 에피소드들은 메러디스의 나레이션으로 시작된다. 삶에 대한 그녀의 읊조림을 듣고 있노라면 그녀의 마음을 옅볼 수 있고 또한 드라마를 보는 사람들도 자신의 마음 속에 질문을 던져볼 수 있는 듯. 솔직히 말하면 시즌 1을 볼 때만 해도 풋풋한 느낌과 함께 공감가는 느낌이었는데 시즌 2 들어서 초보의사들만의 고민보다는 그들의 연애에 치중하는 감이 없지 않은 듯. 특히나 닥터 셰퍼드와 메러디스의 이야기는 다소 지루해지고 있는. 그냥 닥터 셰퍼드가 시애틀을 떠났으면 하는 마음까지 들 정도. 시즌 3이 시작되어봐야 알겠지만 지금으로써는 둘 사이를 질질 끌지 말고 어떻게 좀 해버렸으면 하는 마음. 그들의 사랑은 더이상 로맨틱하지도 애타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시즌 2를 너무 결정적이게 마무리 지어놔서 시즌 3 되도 보게 될 듯. ㅠ_ㅠ  

3. 덧붙임

요새 부쩍 미국드라마에서 한국배우들을 많이 볼 수 있게 된 것 같아 좋다. 이 드라마에서 크리스티나 역으로 등장하는 산드라 오는 한국계 캐나다 출신 배우로 이 역할로 2006년 골든글로브 TV 미니시리즈, 영화부문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4. 스틸컷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