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레카 - 젊은 세대를 위한 단 한권의 과학사 이야기
레슬리 앨런 호비츠 지음, 박영준 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3년 3월
평점 :
절판
4월 21일은 과학(science)의 날이었다. 사물의 대한 이해를 규명하는 과학의 특성상 다른 학문과는 달리 우리의 생활과 많은 부분에서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따라서 과학은 개인의 주관성보다는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객관성을 기초로 하고 있다. 우리가 사물에 대해 알고자하는 것은 사물의 법칙을 발견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생활 속에 과학을 실천하는 것이다. 실천은 곧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기 때문에 과학은 미래지향적인 학문이다.
그러나 미래는 글자와는 다르게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게는 창조적 고통이 따를 수밖에 없다. 진리의 주관성인가 아니면 객관성인가, 라는 경계선에서 그들은 신념과 고뇌를 반복하다가 끝내는 통찰력을 가지고 위대한 발견을 하게 된다. 위대한 과학자란 바로 이러한 위대한 발견을 통해서 인류의 지적인 혁명을 가져왔다. 따라서 위대한 발견의 역사를 되새겨 보는 것은 단순한 과거로의 여행이 아니다. 그 보다는 과학은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음을 발견하는 것이다.
『유레카』라는 책은 제목만 보면 이러한 위대한 과학자들의 발견의 역사를 보는 듯하다. 하지만 저자는 위대한 발견의 순간을 포착하고 있다. 그는 아주 흥미로운 사실을 우리에게 제공하는데 그 순간이 우연스럽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위대한 과학자들에게 있어 우연성이 말 그대로 우연성인지 아니면 우연성을 넘어선 우연성인지 생각해 볼 일이다. 저자는 이 문제에 대해 접근하고 있는데 그는 먼저 과학자들의 일상사를 보여주는 동시에 과학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아주 자연스럽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과학에 대한 문외한이라도 쉽게 읽을 수 있으며 그 내용 또한 딱딱하지 않고 물렁물렁해서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유쾌하다. 그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위대한 발견은 세상을 놀라게 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더욱 놀라운 것은 과학자들은 위대한 발견에 앞서 하나의 전환점을 맞이하는데 그 순간이 전혀 뜻밖이라는 데 있다. 즉 우연스럽다는 것이다.
뉴턴의 사과나 케큘러의 꿈에서 보듯 과학자들은 고민했던 방향에서 벗어나 아주 우연하게도 다른 방향에서 그 해답을 찾았다. 이는 저자 말대로 어느 날 갑자기 섬광처럼 왔기 때문에 더욱 우연스러울 밖에 없다. 하지만 정말로 위대한 발견이 우연의 결과라고 한다면 과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지적인 호기심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 것이 문제다. 즉 그들의 창조성을 너무 가볍게 하지는 않나, 혹 상처를 입히지 않을지 우리는 자칫 잘못하면 논리적인 오류에 빠질 수도 있다.
저자는 이를 경계하며 과학사에 대한 단편적인 지식을 거부한다. 이는 우연스러운 사실을 더욱 우연스럽게 만들기 때문이다. 대신에 좀 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그는 일찍이 파스퇴르가 “행운은 준비된 사람에게만 찾아온다”라고 말했음을 주시하고 있다. 그렇다고 준비된 모든 사람에게 행운이 다 찾아오는 것도 아니다. 준비된 단 한사람을 선택하기 때문에 그들의 창조성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비록 위대한 발견에 있어 우연의 일치가 사실일지라도 타당성에 있어서는 다를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위대한 과학자들의 우연한 발견을 경험했다. 이러한 우연성을 통해서 우리는 숨겨진 두 가지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우연성이 곧 우리가 미처 몰랐던 과학자들의 창조성의 연장선이라는 것이다. 더욱이 창조성은 고정된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그리고 어떻게 나올지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겉으로 보기에 더욱 우연스러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바로 우연성 때문에 풀리지 않을 듯 한 과학의 수수께끼들이 풀린다는 것이다. 이는 약방에 감초와 같다. 만약 과학자들에게 우연성마저 없다면 어떻게 될까? 과학은 여전히 복잡할 것이다. 결국 과학자들에게 우연성은 사소한 것 같지만 결코 사소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