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버멘쉬 - 누구의 시선도 아닌, 내 의지대로 살겠다는 선언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어나니머스 옮김 / RISE(떠오름)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아 작성된 리뷰입니다!
삶을 전복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프란츠 카프카는 얼어붙은 바다를 깨뜨리기 위해 책이라는 ‘도끼’를 들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기존의 관념을 깨뜨리기 위해 철학이라는 ‘망치’를 들었다. 하지만 니체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망치보다는 ‘초인(超人)’이라는 인간의 형상이다. 지금에 와서는 초인보다는 ‘위버멘쉬(Übermensch)’라는 말이 새로울 수밖에 없는 존재다. 삶이 무엇인지를 갈구하던 시기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었기 때문이다. 위버멘쉬는 어떠한 고통에서도 자신을 창조하는 존재이다.
프리드리히 니체의 『위버멘쉬』는 말 그대로 위버멘쉬와 함께 하는 인생 수업이다. 삶은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의 연속이다. 결과적으로 문제의 두려움에서 벗어나지 못해 삶은 슬픔과 고통의 바다와 같다. 이러한 역경 속에서 니체는 인간의 영혼을 일깨워주고 있다. 바로 인간은 극복되어야 한다는 독특한 주장을 펼치고 있다.
가령, 니체는 ‘강한 사람’을 주장한다. 강한 사람이라는 비유는 고전적이지만 매우 유효하다. 강한 사람은 고통을 외면하지 않는다. 강한 사람은 ‘좋은 날’이 많은 사람이 아니다. 오히려 좋은 날보다는 나쁜 날이 많은 사람이다. 좋은 날은 삶의 변화가 없다. 반면에 나쁜 날은 삶이 무한히 변화되는 것이다. 그래서 고통 속에서도 자신만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야 하는 법이다. 비록 노력한다고 해서 모든 게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가슴 뛰는 삶이어야 한다.
어느 누구도 고통을 좋아할 리 없다. 그래서 인지 고통을 앞에서도 자신의 일에서 행복을 찾는 사람들이 멋있다는 생각을 했다. 위버멘쉬는 고통을 외면하지 않고 극복하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버티고 싸우며 스스로를 극복하는 것이다. 또한 극복에서 멈추지 않고 앞으로 진보하는 용기가 바로 위버멘쉬였다. 고통 앞에서 적당히 살아온 나에게는 위버멘쉬가 정말이지 강한 사람이었다. 고통으로부터 삶을 배우는 용기 있는 영혼이다. 어제보다 오늘, 오늘보다 내일을 바라는 삶.
위버멘쉬는 진실의 힘을 믿는다. 진실은 단순히 거짓말의 반대는 아니다. 진실은 자신에게 솔직해야 한다는 이야기다. 일찍이 영국의 작가 조너선 스위프트는 한 번의 거짓말은 스무 개의 거짓말을 더 만들어낸다고 했다. 결국 거짓말은 거짓말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거짓말은 삶의 무수한 변명이다. 어디 그뿐인가. 삶에 대한 변명은 곧 자기 자신에 대한 거짓말이다. 우리는 자기 자신과 마주해야 한다. 자신의 방향을 알아야 비로소 자기 자신을 찾을 수 있다. 자기 자신은 태어난 존재가 아니라 자유로운 존재다.
되돌아보면, 나에게도 자유를 갈망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 철학자들의 글을 읽고 싶다는 열망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니체를 만났다. 그의 철학은 불편하면서도 왠지 모르게 느낌이 사뭇 달랐다. 그의 철학은 인간의 삶에서 ‘자유의지’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끝없이 만들어냈다.
그래서 니체가 말하는 위버멘쉬의 핵심은 자유의지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니체는 자유의지를 “인간이 가진 가장 위대한 착각 중의 하나”라고 말한다. 우리는 착각 덕분에 삶을 살아가는 추진력을 얻게 되고 비로소 내 의지대로 살 수 있게 된다. 자유의지는 폭포와 같다. 폭포는 물리법칙에 따라 아래로 떨어진다. 그럼에도 폭포가 만들어내는 모습은 아름답다. 만약에 자유의지가 없으면 폭포는 결코 아름답지 않을 것이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누구나 인생의 주인공이라고 여긴다. 그럼에도 우리는 삶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해 고통을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고통을 인생의 주인공이라고 믿는 것을 부정할 수 없으며 왜 그렇게 사느냐고 함부로 묻지 않을 수 없다.
니체의 말처럼 우리는 ‘위버멘쉬’로 거듭 태어나야 한다. 우리가 무엇을 하며 살고 있고, 무엇을 할 때 행복한가를 생각해야 한다. 불투명한 삶을 걱정하고 두려워만 해서는 아무런 의미도 없을 것이다. 앞서 말했듯 우리는 극복되어야 하는 존재다. 막연히 열심히 사는 것이나 자기 삶의 주인공이 되는 단단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