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그 자체 - 현대 과학에 숨어 있는, 실재에 관한 여덟 가지 철학
울프 다니엘손 지음, 노승영 옮김 / 동아시아 / 2023년 8월
평점 :
축구를 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공을 다루는 기술을 물론 상대 선수들의 움직임과 경기에 감각이 대한 있어야 합니다. 이밖에도 다양한 변수들을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누군가 축구 선수에게 수학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한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답해야 할까요?
이러한 도발적인 질문에 이론물리학자 울프 다니엘손은『세계 그 자체』에서 흥미로운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하나, 수학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축구를 하는 동안 수학방정식을 풀어가며 매순간 공을 차는 선수는 없을 것입니다. 둘, 수학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착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축구 선수의 노하우는 많은 경험이 축적된 결과입니다. 이는 무의식적으로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셋, 그럼에도 수학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역설적인 발상입니다.
되돌아보면 과학자들의 창의성은 수학적인 통찰이 없으면 불가능합니다. 뉴턴은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법칙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뉴턴의 사과는 유명합니다. 하지만 거꾸로 수학이 없다고 한다면 사과가 떨어지는 간단하면서도 어려운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 당연히 수학이 더 필요합니다. 수학은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마리입니다.
저자는 수학의 유용성을 부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학이 정말로 필수불가결해야 하는가? 라는 까다로운 딜레마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필수불가결의 논리에 따르면 만유인력법칙 때문에 사과는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런 주장은 평범하면서 타당해보입니다. 문제는 사과와 만유인력은 서로 상관이 없습니다. 사과는 실재하지만 만유인력이라는 자연법칙은 실재하지 않습니다. 과학자들이 발견하는 자연법칙이란 실재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우리가 만든 기술입니다.
저자는 기술에 대한 기존의 상식을 반격합니다. 그리고는 거듭 “부디 세계를 세계에 대한 우리의 기술과 혼동하지 말라.”고 합니다. 수학이 발달하면서 복잡하다고 의심되는 문제들의 근본원리를 탐구하게 되었습니다. 자연법칙은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것을 자연법칙이 결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자연법칙이 모든 것에 좌우된다는 사실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자연법칙은 실재하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마치 실재하는 것처럼 집착합니다. 이것이 저자는 말하는 “플라톤의 유령”입니다.
저자는 계속에서 ‘데카르트의 유령’을 이야기 합니다. 데카르트에 따르면 인간은 특별한 존재입니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생각은 곧 정신입니다. 정신이 어디에서 생겨나는지를 생각해보면 뇌 속에 있다고 봅니다. 이런 물리적인 한계에도 불구하고 육체와 정신이 독립적으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저자는 생각하는 능력이 아니라 ‘움직이는 능력’을 바탕으로 인간이라는 존재를 파악합니다. 가령, 우리가 생각하기 때문에 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기 때문에 말을 하는 것입니다. 같은 이유로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없습니다.
세계란 무엇일까요? 세계는 실재이고 실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여러 가지 자연법칙이 있을 것입니다. 자연법칙은 세계의 방정식을 해결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자연법칙의 복잡한 계산을 생각한다면 모든 것은 수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모든 것은 수학이 아니라 ‘세계 그 자체’라는 관점을 제시합니다. 결과적으로 8가지 실재에 관한 연구를 통해 거듭 세계 그 자체가 분명해진다는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