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라니아 이야기
호아킴 데 포사다 지음, 안진환 옮김 / 시공사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요즘 우화(寓話)를 통해 삶을 변화시키는 책들이 상한가이다. 기존의 성공에 관한 책에서 볼 수 없었던 재미와 감동이 읽는 이의 마음을 즐겁게 한다. 재치 있는 우화와 함께 솔직한 멘토는 성공의 체감도를 높여주고 있다.
이미『마시멜로 이야기』로 우리의 삶을 바꾸게 한 호아킴 데 포사마가 이번에는『피라니아 이야기』를 선보이며 다시 한 번 성공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깨우침을 일러주고 있다. 앞의 책이 성공을 꿈꾸게 했다면 이 책은 서문에 나와 있듯 ‘실패할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시작조차 하지 않는 것을 두려워하라고.’ 한다. 즉 성공하기 위한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면서 실행하라고 한다.
그런데 피라니아가 뭐지? 피라니아는 이빨이 날카롭고 턱이 강하기 때문에 위험한 물고기이다. 또한 닥치는 대로 먹어 치우는 식성을 가지고 있다. 마치 바다의 하이에나 같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들은 피라니아에 대한 두려움이 과장된 탓이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두려움 때문에 바다에 들어갈 수도 없고 피라니아를 잡을 수도 없게 되었다.
이처럼 이 책은 성공의 비결이 일곱 마리 피라니아를 잡는 것이라고 독특하게 말하고 있다. 그 첫 번째는 고정관념이며 두 번째는 모험 없는 삶이며 세 번째는 목표 없는 삶이며 네 번째는 부정적 감수성이다. 다섯 번째는 질문과 요구 없는 삶이며 여섯 번째는 열정 없는 삶이며 마지막으로 실행하지 않는 삶이다.
돌이켜보면 일곱 마리 피라니아는 우리에게 치명적인 약점이다. 살다보면 숱한 현실의 벽을 만나기 마련이며 이런 저런 변명으로 은근슬쩍 넘어가기 일쑤이다. 그만큼 머리와 가슴이 가까이 있지만 머릿속의 생각을 가슴 밖으로 내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더욱이 성공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오히려 성공에서 멀어지고 만다.
이 일곱 마리 피라니아 중에서 네 번쩨 피라니아를 우선적으로 잡고 싶어졌다. 저자는 스트레스가 심한 상황에 반응하는 개인의 회복하는 정도에 따라 세 명으로 나누고 있다. 즉 민감한 사람, 탄력적인 사람, 반응적인 사람이다. 민감한 사람이 삶에서 만족감을 덜 느낀다면 탄력적인 사람은 주변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반응적인 사람은 양쪽 사이를 오가면서 자신들이 처한 현실에서 적절하게 판단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가 성공하려면 무엇보다도 긍정적인 사람이 되라고 한다. 행복한 생각을 하면 행복해지고 슬픈 생각을 하면 슬퍼진다, 라는 평범한 진리가 우리의 삶을 360도 변화시키는 마인드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이 책에 나오는 다양한 사람들의 성공 드라마를 보면 성공은 부러움의 대상인 동시에 요구의 대상임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사람은 누구나 일곱 마리 피라니아를 잡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런데도 우리가 성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일찍이 벤저민 프랭클린은 ‘미처 활용되지 않은 채 낭비되는 재능을 그늘에 방치된 해시계’라고 경고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누구나 의심하지 않았던 피라니아에 대한 두려움을 떨쳐 버릴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남은 일은 자신감을 미끼로 삼아 피라니아를 잡으면서 최고의 인생을 만들어야 한다. 비록 실패하더라도 오히려 저자는 “실패율을 늘려라.”라고 격려하고 있다. 이것이 성공의 피라니아 법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