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리포트 1 - 나는 고발한다
정경아 지음 / 길찾기 / 2006년 8월
평점 :
절판


위안부라는 소리에 명치 부근이 저려왔다. 태평양 전쟁의 성적 희생양이 되어 버린 여성들의 한(恨)맺힌 삶을 들여다보는 일은 무척이나 가슴을 시리게 했다. 여성의 성적인 몸이라는 이유만으로 강요된 성의 노예화는 한 인간의 삶을 송두리째 부수어버리고 말았다. 허울뿐인 이념은 상처를 아물게 하지 않았으며 대신에 듣기 좋게 위안부라는 진통제로 비양심적으로 치료하려고 했다.


하지만 말이 좋아 위안부(comfort women)이지 실상은 전혀 달랐다. 이 책에 나오는 얀 뤄프 오히르네가 오랜 침묵을 깨뜨리고 증언한 사실만으로도 그녀들은 강간 피해자(rape victims)였다. 그래야 비로소 수치심이 아닌 악몽 같은 세월로 얼룩진 역사에 대한 심판을 내릴 수 있었다.


이렇듯 강간 희생자들을 보고 있으니 너무 처절해서 숨이 막힐 지경이었다. 더구나 그 버림받음을 생각하면 안타까웠다. 성의 정체성을 잃어버린 여성에게 남아있는 것은 양심이라는 경계를 넘나드는 것이 아니라 죽음의 경계에 더욱 가까웠다.


그런데도 위안부는 육체적 정신적 피해자이면서도 침묵하며 살아왔다. 일찍이 한나 아렌트는『혁명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는데 “은폐할 때는 솔직했던 것이 노출될 때는 거짓된 것 같으며 아무리 절실한 동기를 느꼈다 하더라도 일단 공개되고 보면 인간의 마음은 통찰보다는 오히려 의심의 대상이 된다.”고 했다.


그래서 일까? 우리가 위안부를 보는 시선은 한편으로는 슬프다고 하면서도 의심을 버릴 수 없었다. 그녀들이 피해자인 것은 사실이나 성(性)이라는 미묘한 감정이 우리의 눈과 귀를 흐리게 했다. 더구나 가해자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은 잘못을 반성하기는커녕 그녀들에게 비난의 화살을 겨누고 있다.

 

이런 조작된 각본 속에서 어느 누군가가 자신이 한때는 위안부이었다, 라는 사실을 드러낸다는 것은 일종의 모험이 아닐 수 없었다. 어떠한 변명을 무색하게 만들어 버린다. 자신의 위안부 행위가 역사적으로 어쩔 수 없다고 말하는 순간 스스로를 죄인의 굴레를 만들어 버린다.


이제 우리에게 위안부는 더 이상 남의 일이 아니다. 비록 우리가 당사자는 아니더라도 우리 민족이 겪어야 했던 참다한 상황을 생각한다면 위안부에 대한 아니 강간 피해자에 대한 진실을 파헤쳐야 한다. 타인의 고통에 대한 침묵은 우리를 비겁하게 만든다. 더구나 타인이 우리의 어머니이자 딸이라고 한다면 그 충격은 어마어마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전쟁의 광기와 참혹함을 충격적으로 볼 수 있다. 전쟁을 목적으로 성을 도구로 삼은 일본의 만행은 악몽이었다. 그런데도 그들은 전쟁 후 아무런 책임도 없이 위안부들의 잘못만 크게 부풀려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오히려 이로 인해 반사이익을 노리는 이율배반적인 그들을 보니 더욱 울분이 치밀어 올랐다.

 

과연 우리는 역사의 승리자인가? 패배자인가? 일본이 패망하여 직접적으로 우리는 광복을 맞이했지만 지금까지 우리는 과거사 청산문제를 놓고 보면 역사의 패배자라는 생각이다. 매번 과거사(위안부) 문제로 한일 양국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도 끝내는 우리만 복수심에 가득 찬 분풀이에서 끝나고 마는 악순환을 반복해왔다.


이 책을 읽으면서 더 이상 시행착오를 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방송인 김미화씨는 이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기를 솔직히 말했다. 그만큼 잘못된 역사를 심판하는 자리에 우리 모두가 합류하기를 바라고 있다. 정말로 그랬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